구문 (ver. TOTAL)
-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와 복수
- 셀 수 없는 명사(불가산 명사)
- 주의해야할 가산/불가산 명사
- 한정사와 어울리는 명사
- 문장의 기본 구조
- 주어의 이해
- 목적어의 이해
- 보어의 이해
- 동사의 시제
- 동사의 태
- 조동사
- 가정법 구문
- 형용사적 수식어 1
- 형용사적 수식어 2
- 부사적 수식어
- 등위절과 병렬구조
- 명사절
- 관계사절
- 비교구문
- 상관구문
- 병렬구조
- 전명구를 동반하는 동사구문
- 특수구문
명사
셀 수 있는 명사의 단수와 복수
셀 수 있는 명사는 반드시 하나(단수) 또는 여럿(복수)임을 표시합니다. 명사가 하나일 때는 단어 앞에 a나 an을 붙이는데, 명사의 발음이 [a, e, i, o, u]로 시작될 경우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a 대신 an을 붙입니다. 명사가 여럿일 때는 단어 끝에 대체로 -(e)s를 붙이지만 예외도 있습니다.
- 단수 : a bus, an accident, an hour 등
복수 명사 | 예시 |
---|---|
대부분의 명사 : <명사 + -s> |
rose - roses cat - cats |
-s, -sh, -ch, -o로 끝나는 명사 : <명사 + -es> |
bus - buses church - churches dish - dishes potato - potatoes |
-f, -fe로 끝나는 명사 : |
shelf - shelves knife - knives |
<자음 + y>로 끝나는 명사 : |
baby - babies story - stories |
혼동하기 쉬운 셀 수 잇는 명사
단어 | 뜻 |
---|---|
discount | 할인 |
document | 문서 |
location | 위치, 지점 |
compliment | 칭찬, 찬사 |
permit | 허가증 |
purpose | 목적 |
employee | 직원 |
increase | 증가 |
machine | 기계 |
approach | 접근(법) |
chance | 기회 |
position | 직위, 위치 |
셀 수 없는 명사(불가산 명사)
토익에 자주 나오는 셀 수 없는 명사
단어 | 뜻 |
---|---|
advice | 조언 |
equipment | 장비 |
machinery | 기계류 |
research | 연구 |
baggage[luggage] | 수하물 |
information | 정보 |
merchandise | 상품 |
consent | 동의 |
employment | 고용 |
access | 접근 (권한) |
stationery | 문구류 |
permission | 허가 |
주의해야할 가산/불가산 명사
의미가 비슷하지만 셀 수 있는 명사 또는 셀 수 없는 명사로 쓰이는 명사를 기억하도록 합니다.
셀 수 있는 명사 | 셀 수 없는 명사 |
---|---|
employee 직원 | employment 고용 |
machine 기계 | machinery 기계류 |
product 상품 | merchandise 상품 |
한정사와 어울리는 명사
셀 수 있는 단수 명사 앞
한정사 | 예 |
---|---|
each 각각의 | each (guest / |
every 모든 | every (guest / |
another 또 다른, 또 하나의 | another (guest / |
셀 수 있는 복수 명사 앞
한정사 | 예 |
---|---|
both 둘 다의 | both ( |
several 여럿의 | several ( |
various[= a variety of] 다양한 | various ( |
a number of 많은 ~ | a number of ( |
one of the ~중 하나 | one of the ( |
셀 수 있는 복수 명사 / 셀 수 없는 명사 앞
한정사 | 예 |
---|---|
any 어떤 ~ | any employees any advice |
some 일부의 | some investors some information |
most 대부분의 | most restaurants most baggage |
all 모든 | all vehicles all merchandise |
주의해야 할 한정사
- 셀 수 있는 복수 명사 앞에만 쓰이는 한정사 : many, (a) few, fewer
- 셀 수 없는 명사 앞에만 쓰이는 한정사 : much, (a) little, less
셀 수 있는 명사 (복수형) | 셀 수 없는 명사 |
---|---|
many customers 많은 고객들 |
much knowledge 많은 지식 |
a few customers 소수의 고객들 |
a little knowledge 약간의 지식 |
few customers 거의 없는 고객들 |
little knowledge 희박한 지식 |
문장의 구성
문장의 기본 구조
문장의 기본요소 :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 + 수식어
8 품사 | 예시 |
---|---|
명사 | student, bank, tree, air, success 등 |
대명사 | it, he, she, this 등 |
동사 | drink, wirte, is, are, look 등 |
형용사 | young, wise, short, helpful 등 |
부사 | beautifully, late, really 등 |
전치사 | by, at 등 |
접속사 | and, but, or, so 등 |
감탄사 | Wow, Oops, Ouch 등 |
문장의 형식 | 예문 |
---|---|
[1형식] 주어 + 동사 | The chicken ran away. 그 닭이 달아났다. She sang beautifully. 그녀는 아름답게 노래 불렀다. |
[2형식] 주어 + 동사 + 보어 (몸의 감각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가 2형식에 많이 쓰입니다.) - 감각 동사 : sound (~처럼 들리다), look (~처럼 보이다), seem (~처럼 보이다), taste (~한 맛이 나다), feel (~처럼 느끼다), smell (~한 냄새가 나다) - 기타 동사 : be (~이다), become (~이 되다), get (~이 되다) |
단어 | 구 | 절 |
---|---|---|
company | the new company | the new company released the product |
- 동사의 개수 : 1 + 접속사의 수
- 주어 :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
- To 부정사[to + 동사원형]나 동명사[동사 + ing]는 동사가 아니다.
- 명령은 주어 생략하고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 명사구 : 형용사 + 명사
- To 부정사[to + 동사원형], 동명사[동사 + ing] : 명사 역할
- that + S + V ~ : 명사절
- 명사 + 전치사 + 명사 / 동명사 + 명사[목적어]
SV
- 수식어(suddenly) 없이 SV만으로도 문장이 성립한다.
SV 문형으로 잘 쓰이는 주요 동사 | 예문 |
---|---|
happen | Change doesn`t happen / suddenly.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 갑자기. |
occur | The accident occurred. |
appear (나타나다) | A stranger appeared. |
rise | The sun rise |
die | |
fall |
SV 문형에 쓰이는 구동사 | 예문 |
---|---|
run away | |
get up | |
come in | |
sit down | |
take off(이륙하다) | |
break down(고장 나다) |
e.g. If you don`t have the power [to change yourself]. // then nothing will change around you.
만약 당신이 당신 자신을 바꿀 힘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 그러면 당신 주위에서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해석에 유의해야 할 SV 문형 동사
해석에 유의해야 할 SV 문형 동사 | 예문 |
---|---|
matter (중요하다, 문제가 되다) | Age doesn`t matter / in love. 나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 사랑에 있어서. |
count (중요하다) | Every vote counts / in an election. 모든 표가 중요하다 / 선거에서. |
work (효과가 있다) | The vegetarian diet worked well / for my health. 채식주의 식단은 상당히 효과가 있었다 / 내 건강에. |
do (충분하다) | A glass of water will do for me. 저는 물 한잔이면 충분할 거예요. |
pay (이익이 되다) | Honesty will pay / in the end. 정직은 이익이 될 것이다 / 결국에는. |
last (계속되다) | The meeting lasted for two hours. 회의는 두 시간 동안 계속되었다. |
There
There는 형식적인 주어로 쓰인다. [there is[are] ~]는 ‘~이 있다’라고 해석한다.
e.g. There is no royal road [to learning].
왕도는 없다 [배움으로의].
SVA를 취하는 주요동사
SV 문형 중에는 반드시 부사적 어구(A)가 있어야 의미가 완전해지는 것이 있다. A가 없으면 문장의 의미가 제대로 이해되지 않으므로 다른 수식어(M)와 구별한다.
SVA형 동사 | 의미 | 비고 |
---|---|---|
be | 있다 | |
stand | 서 있다 | |
live | 살다 | |
lie | 눕다; 놓여 있다 | |
stay | 머무르다 | cf. stay가 SVC 문형에 쓰일 땐 ‘~채로 있다’ 라는 의미로 S = C 가 성립한다. |
e.g. Our new building stands / in Yeoksam-dong.
우리 새 건물은 (~에) 서[위치해] 있다 / 역삼동에.e.g. A journey of a thousand miles / must begin with a single step.
천 마일의 여정은 / 하나의 걸음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수식어구(M)
영어 문장이 복잡하고 길어지는 것은 여러 수식어구가 붙기 때문이다.
다음 특징들만 간략히 알아두자.
- 수식어가 위치하는 곳은 다양하나, 대부분 수식을 받는 어구 가까이에 위치한다.
우리말과 달리, 수식어가 길어지면 명사 뒤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e.g. Children can develop poor vision if they have
glasses
inappropriate for their eyes.
어린이들은 눈에 맞지 않은안경
을 쓰면 시력 저하가 생길 수 있다.
SVC
SVC문형 | 동사 |
---|---|
상태 (~이다, ~인 채로 있다) | be, keep, remain, stay, lie, stand, hold … |
변화 (~이 되다) | become, get, go, come(~되다), run(~되다), turn, fall, make, grow … |
인식 (~으로 보이다, ~인 것 같다) | seem, appear, look, … |
감각 (~한 느낌이 나다) | sound, feel, taste, smell, … |
e.g. Have patience. All things are difficult // before they become easy.
인내심을 가져라. 모든 것은 어렵다 // 그것들이 쉬워지기 전에는.
SVC에서 C는 반드시 명사나 형용사
SVC에서 C는 반드시 명사나 형용사여야 함을 기억하자. 특히 C가 형용사인 경우 자연스러운 우리말로는 마치 ‘부사’처럼 해석이 되므로 ‘부사’로 잘못 표현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e.g. They all remained silent after the bell. (silently (X))
벨이 울린 뒤 그들은 모두 조용히 있었다.e.g. The speaker appears quite confident. (confidently (X))
그 연사는 꽤 자신감 있게 보인다.
SVO / SVOA
e.g. I stand on my desk / to remind myself / that we must constantly look at things / in a different way.
나는 내 책상 위에 선다 / 나 자신에게 상기시키기 위해 / 우리가 항상 사물을 바라봐야만 한다고 / 다른 방식으로.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목적어가 ‘~을[를]’이 아닌 다른 조사(~에, ~와 등)로 해석될 경우 동사 뒤에 전치사가 붙는다고 착각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을[를]’로 해석되지 않는 동사 | 예문 |
---|---|
enter |
enter 방에 들어가다 |
answer |
answer 질문에 답하다 |
attend |
attend 회의에 참석하다 |
approach |
approach 달에 접근하다 |
reach |
reach 런던에 도착하다 |
discuss |
discuss 그 문제에 대해 토의하다 |
mention |
mention 그의 책에 관해 언급하다 |
resemble |
resemble 아버지와 닮다 |
marry |
marry 제인과 결혼하다 |
suit |
suit 너에게 어울리다 |
answer | answer the question 질문에 답하다 |
attend | attend the wedding 결혼식에 참석하다 |
call | call her (그녀에게 전화하다) |
obey | obey his order 그의 명령에 복종하다 |
survive | survive his wife 그의 아내보다 오래 살다 |
approach[reach] | approach[reach] the station 역에 다다르다[도착하다] |
marry | marry her 그녀와 결혼하다 |
resemble | resemble his mother 그이 엄마와 닮다 |
enter | enter the room 방으로 들어가다 |
suit[become] | suit[become] me 나와 어울리다 |
mention | mention it 그것에 대해 언급하다 |
SVC와 SVO의 구별
SVC : S = C | SVO : S ≠ O |
---|---|
He became a teacher . 그는 선생님이 되었다 |
He saw a teacher . 그는 선생님 한 분을 만났다 |
The roses smelled good .그 장미는 좋은 향이 났다. |
I smelled the roses .나는 장미 냄새를 맡았다. |
특정 전명구를 동반하는 SVO
어떤 동사들은 목적어 뒤에 부사적 어구로 특정한 전명구를 짝으로 취한다. 이러한 동사들은 대부분의 교재에서 숙어처럼 익히게 되어 있으므로 그때그때 잘 익혀 두도록 하자.
SVO + 전치사 구문 | 의미 |
---|---|
regard[look upon, think of, view] A as B | A를 B로 여기다 |
thank A for B | A에게 B에 대해 감사하다cf. appreciate B : B에 대해 고마워하다 |
substitute A for B | A로 B를 대신하다, B 대신 A를 쓰다 |
cure A of B | A의 B(병, 상처)를 치료하다 |
accuse A of B | A를 B의 이유로 고소[비난]하다 |
convince[assure] A of B | A에게 B를 확신시키다 |
take A for B | A를 B로 잘못 알다cf. take A to B : A를 B로 데려가다 |
e.g. Before the game started, / the instructor reminded us / of a few simple rules.
게임이 시작되기 전에, / 그 강사는 우리에게 (~을) 상기시켜 주었다 / 두세 개의 간단한 규칙을.
SVOO
첫 번째 목적어(간접목적어 : IO, Indirect Object)는 ‘~에게’, 두 번째 목적어(직접목적어 : DO, Direct Object)는 ‘~을[를]’로 해석된다. 이 문형은 간접목적어를 전치사구(to[for] ~)로 바꿔 SVO 문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때 동사(V)는 ‘~에게 …을 주다’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어 ‘수여동사’라고도 한다.
수여동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전치사 | 수여동사 |
---|---|
to ~를 취하는 동사 | give, bring, show, lend, send, hand, pay, offer, tell, teach, promise, wish, write |
for ~를 취하는 동사 | buy, bring, make, get, find, call, cook, order, choose, prepare |
of ~를 취하는 동사 | ask |
e.g. Many businesses send future customers free gifts or samples / in order to promote their products.
많은 기업들은 미래의 고객들에게 공짜 선물이나 샘플을 보낸다 / 자신들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수여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동사 // SVOO (X)
SVOO(X) : explain, announce, introduce, propose, mention, describe, state, suggest, say, complain, confess, declare, point out 등.
우리말로 ‘~에게 …해주다’ 또는 ‘~을 말하다’처럼 해석되어 SVOO 문형에 쓰이는 동사 같지만, 실은 SVO 문형에 쓰이는 동사들에 유의해야 한다.
e.g. She explained the situation to me. (O)
그녀는 내게 상황을 설명해주었다.
-> She explained me the situation. (X)e.g. She explained how to operate the machine to me. (O)
그녀는 내게 그 기계의 작동법을 설명해주었다.
-> She explained me how to operate the machine. (X)
SVOC
목적어를 설명해주는 보어(C)가 있어야 의미가 완전해지는 문형이다. 기본적으로 O = C 의 관계가 성립한다.
OC가 SV 관계, 즉 주술관계를 이루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포함하여 보어에 대한 자세한 학습은 뒤에서 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목적격보어가 명사, 형용사인 경우에 한해 살펴본다.
유형 | SVOC 문형 동사 |
---|---|
O = C (로) 명명[선출, 임명]하다 | name, call, choose, elect, appoint 등 |
O = C (의 상태로) 만들다, 두다 | make, keep, leave, drive, get 등 |
O = C (라고) 생각하다, 알다 | think, believe, find, feel, consider, suppose 등 |
(보어 앞에 to be가 생략된 것으로 볼 수 있다.)
e.g. If all sides of a rectangle have the same length, // we call it a square.
직사각형의 모든 변이 동일한 길이를 지나면 // 우리는 그것을 정사각형이라고 부른다.
SVOO와 SVOC의 구별
SVOO : IO ≠ DO | SVOC : O = OC |
---|---|
My mom made me a cake . 엄마는 나에게 케이크를 만들어주셨다. |
My mom made me a teacher . 엄마는 나를 교사로 만드셨다. |
He found her a good job .그는 그녀에게 좋은 일자리를 찾아주었다. |
He found her a good girl .그는 그녀가 좋은 여자라는 것을 알았다. |
주어의 이해
주어의 다양한 형태
- 명사구 주어 :
(대)명사 외에 to-v, v-ing도 명사구로서 주어가 될 수 있다. ‘v하는 것’으로 해석하며 단수 동사로 받는다. - 명사절 주어 :
접속사 that과 whether, 관계대명사 what, 의문사 그리고 복합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은 주어로 올 수 있다. 명사구 주어와 마찬가지로 단수 취급한다.
주어의 다양한 형태 | 의미 |
---|---|
v-ing ~, to-v ~ | v하는 것은, v하기는 |
that + S + V | ~라고 하는 것 |
whether + S + V ~ (or not) | ~인지 (아닌지) |
what + (S) + V | ~하는 것 |
who[what, which, when, where, why, how] + (S) + V | 누가[무엇이, 어느 쪽이, 언제, 어디서, 왜, 어떻게] ~하는지 |
whoever + V | ~하는 누구든지 |
whichever + (S) + V | ~하는 어느 쪽이든지 |
whatever + (S) + V | ~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
e.g. Not wearing a hijab / is a sin in Islam. Everything [except the hands and face] / has to be covered.
히잡을 쓰지 않는 것은 / 이슬람 사회에서 죄이다. 모든 것은 [손과 얼굴을 제외한] / 덮여 있어야 한다.
주어의 의미 범위
주부가 (대)명사 + 수식어구, 명사구, 명사절의 구조일 때 대부분 복잡하고 길어지게 된다. 일단 수식어구를 제외하고, 주부의 핵심이 되는 주어와, 술부의 핵심이 되는 동사를 우선적으로 파악한다. 동사 앞을 끊어서, 앞은 주부(~은), 뒤는 술부(~이다)로 이해한다.
e.g. Some books [useful for students [preparing for the competitive exams]] / were procured in the school library.
몇 권의 책들이 [학생들에게 유용한 [경쟁시험을 준비하는]] / 학교 도서관에 구비되었다.
주어의 의미 범위에서 동사 파악에 주의해야 하는 경우
동사를 찾아 문장을 훑어나갈 때, 아래 형광펜 부분을 동사로 착각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동사 파악에 주의해야 하는 경우 | 예문 |
---|---|
주어를 수식하는 과거분사를 동사로 착각하는 경우 | If the overall outcome is pleasurable enough, any unpleasantness suffered along the way is minimized.전반적인 성과가 충분히 만족스러우면, 도중에 겪는 어떤 불쾌함도 최소화된다. |
주부를 이루는 어구 중 하나를 동사로 착각하는 경우 | Giving people the latitude and flexibility to use their judgment and apply their talents rapidly accelerates progress.사람들에게 자신들의 판단력을 사용하고 재능을 적용하게 하는 자유와 유연함을 주면 발전이 빠르게 가속화된다. |
명사로 잘 쓰이는 단어라서 미처 동사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 | Most people who are sensitive to caffeine experience a temporary increase in energy and elevation in mood.카페인에 민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에너지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경험한다. |
주어 자리의 it
영문 속의 it이 아래의 네 가지 경우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순간적으로 파악하기란 쉽지 않을 수 있다. 서로를 혼동하여 뜻을 왜곡해서 이해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각 특징을 확실히 구별해서 알아두어야 한다.
주어 자리가 it일 때 유형 | 구별법 정리 |
---|---|
대명사 : 앞에 나온 명사, 구, 절을 받는다. |
문맥으로 알아낸다. |
가주어 (that이하가 완전한구조) : to-v나 명사절이 주어인 경우, 주어 자리에 it을 쓰고 진짜 주어는 뒤로 보내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it은 진짜 주어 대신 형식적으로 쓴 것이다. |
it의 자리에 진짜 주어로 생각되는 부분을 대입하여 의미가 통하는지 살펴본다. |
비인칭 주어 : 시간, 날씨, 거리, 명암, 막연한 상황 등을 나타낸다. |
‘그것’이라고 해석하면 어색하다. |
강조구문의 it (that이하가 불완전한 구조) :It is[was] ~ that[who, which] ... (...하는 것은 바로 ~이다[였다]) 강조하는 주어가 사람이면 that 대신 who를, 사물이면 which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강조하는 주어가 인칭대명사인 경우, 주격보다는 목적격을 사용하고 who보다 that을 사용한다. |
강조구문을 이루는 [It is[was] … that]을 제외한 나머지 어구만으로 문장이 성립해야 한다. |
가주어 it
to-v나 that절 등이 주어로 쓰일 수는 있지만 가주어 it으로 대신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시험에서 이를 표현할 때는 [it ~ to-v[that + 완전한 구조]]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e.g. It is pleasant to lie in the sun.
햇빛을 받으며 누워 있는 것은 기분이 좋다.e.g. It`s a shame that he isn`t here.
그가 여기에 없는 것이 아쉽다.e.g. It doesn`t matter when we arrive.
우리가 언제 도착할지는 상관없다.e.g. Negative advertising [in political campaigns] / isn`t desirable: // It creates the impression / that all politicians are corrupt or incompetent / or both.
네거티브 광고는 [정치 선거 운동에서의] / 바람직하지 않다. // (왜냐하면) 그것은 (~라는) 인상을 만든다 / 모든 정치인들이 부패해 있거나 무능하다는 / 혹은 둘 다라는.
비인칭 주어 it
it은 비인칭 주어로서 시간, 날씨, 거리, 명암, 요일, 상황 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막연한 상황’을 나타내는 형태로도 잘 쓰인다. it과 마찬가지로, 해석하지 않는다.
이때의 it을 가주어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that절 이하가 it 대신 문두에 올 수 없다는 점이 가주어와 다르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이것을 비인칭 주어로 본다.
‘막연한 상황’을 나타내는 it | 의미 |
---|---|
It seems[appears] that ~ | ~인 듯하다 (= It seems[looks] like ~) |
It must be that ~ | ~임에 틀림없다 |
It may be that ~ | ~일지도 모른다 |
It happens[chances] that ~ | 우연히[마침, 공교롭게도] ~하다 |
It follows that ~ | 따라서 ~하게 되다 |
e.g. It took me 40 years / to write my first book.
(= It took 40 years for me / to write my first book.)
내게 40년이 걸렸다 / 나의 첫 책을 쓰는 데.e.g. It seems // that the medicine helps his recovery.
(= The medicine seems to help his recovery.)
~인 것 같다 // 그 약이 그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것.
동명사구를 진주어로 하는 관용표현 (제한적 표현)
동명사구를 진주어로 하는 것은 관용표현을 포함한 다음 몇 가지 예들에 불과할 정도로 제한적이다.
관용표현 | 의미 |
---|---|
it is no use v-ing | v해도 소용없다 |
it is worth v-ing | v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
it is fun v-ing | v하는 것은 재미있다 |
it is nice v-ing | v하는 것은 좋다 |
[점검하기] 다음 it의 역할에 대해 각각 생각해보자.
It`s unknown whether there are any casualties, but It is unlikely considering this sparsely populated area.
사상자가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이렇게 인구 밀도가 희박한 지역임을 고려한다면 (사상자가) 있을 것 같지 않다.-> 첫 번째 It은 whether절이 진주어인 가주어이고, 두 번째 it은 앞의 there are any casualties를 받는 대명사이다.
Sometimes, someone saying you can`t do something is good for you. It builds mental toughness and conviction.
때로, 당신이 어떤 일을 할 수 없다고 말하는 이가 당신에게 유익하다. 그것은 정신적인 강인함과 확신을 증대시킨다.-> someone’s saying you can’t do something을 의미한다
Most people attack a new problem by relying heavily on the tools and skills that are most familiar to them. While this approach can work well for problems that are similar to those previously solved, it often fails, and fails miserably, when a new problem is particularly novel.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가장 익숙한 도구나 기술에 강하게 의지함으로써 새로운 문제를 공략한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이전에 해결된 문제와 유사한 문제들에 대해서는 잘 통할 수 있지만, 새로운 문제가 특히 참신한 것일 때는 종종 실패하는데 그것도 아주 비참하게 실패한다.-> it은 앞에 나온 this approach를 가리킨다.
It`s warm enough for the kid to play outside.
아이들이 밖에서 놀기 충분히 따듯하다.-> [It ~ for O to-v]의 구조로서 It이 마치 가주어로 생각될 수 있으나 ‘날씨’를 뜻하는 비인칭 주어이다. 가주어라고 생각되는 자리에 진주어를 대입했을 때 의미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it이 가주어가 아님을 알 수 있다.
-> To play outside is warm enough for kid. (X)
Whether trees have needles or broad leaves, it is their ability to survive harsh climates that has enabled them to cover such vast areas of the Earth.
나무가 침엽수이든 활엽수이든, 나무들이 지구의 그렇게 광활한 지역을 뒤덮는 것을 가능하게 해온 것은 바로 혹독한 기후에도 살아남는 그것들의 능력이다.-> 언뜻 it이 가주어이고 to survive ~가 진주어 같지만 강조 구문의 it이다. 강조구문은 그 구문을 이루는 it is와 that을 제외한 나머지로 완벽한 문장을 이룬다.
-> (= Their ability to survive harsh climates has enabled them to cover ~.)
Essentially, your reputation is your most valuable asset - so guard it well. But do not be terribly demoralized if you make some mistakes along the way. With time, it is possible to repair a stained reputation.
근본적으로, 당신에 대한 평판은 당신의 가장 귀중한 자산이다. 그러므로 그것을 잘 지켜라. 하지만 그러다가 실수를 조금 저질렀다고 해도 너무 의기소침하지는 마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오점이 생긴 평판을 바로잡는 것이 가능하다.-> 첫 번째 it은 your reputation을 가리키는 대명사이고, 두 번째 it은 to부정사구가 진주어인 가주어이다.
to-v/v-ing의 의미상의 주어
to-v(to부정사), v-ing(동명사)는 원래 동사에서 나온 것이므로 v의 동작이나 상태를 취하는 주체, 즉 주어가 있다. 이를 문장의 주어와 구별하여 ‘의미상의 주어’라고 한다. 의미상의 주어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이 있다.
- for[of] + O + to-v
- 소유격[목적격] + v-ing
-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와 겹치는 경우
- 막연한 일반인이 의미상의 주어인 경우
to-v의 의미상 주어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 예문 |
---|---|
일반인일 때 | It is important to keep early hours . |
문장의 주어와 같을 때 | I have a lot of things to do today . |
문장의 목적어와 같을 때 | The doctor advised me to get more exercise . |
e.g. It is necessary for people [entering the laboratory] / to wear protective clothing.
사람들에게 필수적이다 [실험실에 들어가는] / 방호복을 착용하는 것은.
for + O + to-v // [for + O]를 to-v의 의미상 주어로 쓰는 경우
be동사의 보어로 사람에 대해 설명을 하는 형용사가 아니면, to-v의 의미상 주어로 [for + 목적격]의 형태로 쓰인다.
e.g. It is necessary for us / to recycle waste.
우리가 (~하는 것은) 필요하다 /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것이.e.g. Real leaders make space [for others to shine]
진정한 리더들은 공간을 만들어준다 [다른 사람들이 빛날].
of + O + to-v // [of + O]를 to-v의 의미상 주어로 쓰는 경우
보통 for + O을 의미상의 주어로 쓰지만, 아래와 같은 형용사가 be동사의 보어인 경우에는 의미상의 주어를 [of + 목적격]으로 나타낸다. 주로 사람의 행동(to-v의 내용)에 대한 ‘칭찬’이나 ‘비난’을 의미하는 내용이 된다.
- good, kind, nice, generous, polite, clever, considerate, careless, rude, foolish, stupid, cruel 등
e.g. It was careless of you / to lose your umbrella again.
너는 조심성이 없구나 / 우산을 또 잃어버리다니.
to-v앞의 [for + O]가 의미상의 주어가 아닌 경우
[for + O]가 to-v 앞에서 의미상의 주어가 되려면 반드시 주어, 동사 관계가 성립해야 한다.
A : Would you like me to wait here or in the room?
B : It would be better for me to wait in the room.
A : 제가 여기서 기다릴까요, 아니면 방에서 기다릴까요?
B : 저는 (당신이) 방에서 기다리시는 게 더 좋겠습니다.
즉 to wait의 동작은 you가 하는 것이므로, for me는 to wait의 의미상 주어가 아니다.
수식을 받는 주어
주어는 종종 형용사적 수식어의 수식을 받아 길어진다. 형용사적 수식어로는 형용사(구) 외에 전명구, to-v 분사(v-ing / p.p.), 관계사절 등이 있다. 주어 뒤에 이어지는 수식어를 [ ]로 묶으면, ‘주어-동사’가 잘 드러난다.
e.g. The day [most exciting for kids] / is Christmas.
그날은 [아이들에게 가장 신나는] / 크리스마스이다.e.g. A leader [without vision] / is a stamped letter [without address]; // it can never reach its destination.
지도자는 [비전 없는] / 우표를 붙인 편지이다 [주소없이]; // 그것은 절대 목저지에 도착할 수 없다.
도치된 주어
의문문이 아니라면 주어는 동사 앞에 온다. 그런데, 의문문이 아닌데도 [(조)동사 + 주어]의 순서가 되는 경우(도치)가 있다.
도치된 경우 | 예문 |
---|---|
부정어 + 조동사 + S + V : 부정어(구)가 문장 앞에 올 때는 ‘주어-동사’의 위치가 바뀌는 도치가 일어나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부정어 : not, no, never, little, hardly, scarcely, seldom, rarely, only(준부정어) 등) |
Little did I know // that the movie would take so long. 나는 전혀 알지 못했다 // 그 영화가 그렇게 오래 걸릴 줄은. (= I didn`t know that the movie would take so long.) Little did the writer, the director, and the producer know // that the drama would become a major success. 작가, 감독과 제작자는 거의 알지 못했다 // 그 드라마가 큰 성공작이 될 줄은. |
부사(구) + S + V [또는 V + S] : 강조 등의 이유로 다른 어구(부사, 보어 등)가 문장 맨 앞에 올 수 있다. 부사(구)나 보어가 문장 앞에 올 때 도치가 일어나기도 한다. |
Among the things [you can give and still keep] are / your word, a smile, and a grateful heart. (~인) 것 중에는 [당신이 주고도 여전히 가지고 있을 수 있는] ~이 있다 / 당신의 말, 미소, 그리고 고마워하는 마음. With great power / comes great responsibility. 거대한 권력과 함께 / 큰 책임감이 온다. |
가정법 도치 : 사실과 반대로 가정, 상상, 소망할 때 가정법으로 표현한다. If를 생략하면 [(조)동사 + 주어]의 어순으로 도치되는데, If절의 (조)동사가 were, should, had인 경우에 잘 일어난다. |
Should anyone arrive late, admission is likely to be refused. 혹시라도 누가 늦게 도착하면, 입장이 거부될 것이다. (= If anyone should arrive late, admission ~) |
목적어의 이해
목적어 파악에 걸림돌이 되는 경우
- 명사구 (to-v, v-ing)나 명사절이 목적어인 경우
- it을 가목적어로 사용하는 경우
- 목적어가 문두로 나온 경우(OSV)
- 목적어와 보어의 위치가 바뀐 경우 (SVCO)
-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수식어구가 위치하는 경우
to-v가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v 할 것을 (대개 ‘미래성’ 함축)
유형 | to-v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
---|---|
희망, 기대 | hope, wish, expect |
계획, 결심 | plan, decide, determine, choose |
동의, 거절, 약속 | agree, refuse, promise |
기타 | afford, need, arrange, learn, pretend, fail 등 |
e.g. Things only change // when we want to change them.
상황은 오직 바뀐다 // 우리가 그것들을 바꾸기를 원할 때.e.g. Don`t choose / to waste your life / on guilt about the past / or concern for the future.
(~을) 선택하지 마라 / 당신의 인생을 허비하는 것을 / 과거에 대한 죄책감으로 / 혹은 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v-ing가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v하는 것을, v한 것을 (‘현재성, 과거성’ 함축)
유형 | v-ing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
---|---|
종료 | finish, stop, quit, give up |
연기 | put off, postpone, delay |
회피 | avoid, mind |
시인, 부인(과거성) | admit, deny |
기타 | enjoy, consider, keep, practice, suggest 등 |
e.g. For a happier life, quit living according to others` expectations.
더 행복한 삶을 위해서, / 다른 이들의 기대에 따라 사는 것을 그만두어라.e.g. In perfectly formal writing, / you should avoid / **using “so” as a synonym for “very”.
완벽하게 격식을 차린 글쓰기에서, / 당신은 (~을) 피해야 한다 / ‘very’의 동의어로서 ‘so’를 사용하는 것을.
to-v와 v-ing 모두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어떤 동사는 to-v와 v-ing 모두 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데, 동사에 따라 의미 차이가 거의 없거나 분명하게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으므로 독해에 주의해야 한다. try의 목적어가 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개 to-v는 동사 시점에서 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 v-ing는 동사 시점에서 이미 일어난 ‘과거’ 또는 ‘현재’를 뜻한다.
의미 차이가 없는 동사 : like, love, hate, prefer, attempt, intend, start, begin, continue 등
의미 차이가 있는 동사 : remember, forget, regret, try, stop
to-v | v-ing | |
---|---|---|
remember | (앞으로) v할 것을 기억하다 잊지 않고 v하다 |
(과거에) v한 것을 기억하다 |
forget | (앞으로) v할 것을 잊어버리다 | (과거에) v한 것을 잊어버리다 |
regret | (앞으로) v하게 되어 유감이다 | (과거에) v한 것을 후회하다 |
try | v하려고 노력하다[애쓰다] | 시험 삼아 v해보다 |
stop | [부사적 용법(목적)] - v하려고 멈추다 - 멈추고 v하다 |
v하는 것을 멈추다 |
e.g. You begin to feel thirsty // when your body loses 1% of its water.
당신은 목마름을 느끼기 시작한다 // 당신의 신체가 체내 수분의 1퍼센트를 잃으면.e.g. When things are tough, // remember to remain calm and rational.
상황이 힘들 때, // 침착함과 이성을 유지하는 것을 기억해라.e.g. I remeber / hearing many words of wisdom / from my grandfather.
나는 기억한다 / 많은 지혜의 말들을 들은 것을 / 나의 할아버지로부터.e.g. Life becomes infinitely easier // when we remember / to thank others for their acts of kindness.
인생은 무한히 더 쉬워진다 // 우리가 (~할 것을) 기억할 때 / 다른 사람들에게 그들의 친절한 행동에 대해 감사할 것을.e.g. Please remember / staying at the Palm Beach Hotel, / especially the high quality service.
(~하신 것을) 기억해 주세요 / 팜 비치 호텔에서 묵으신 것을, / 특히 품질 높은 서비스를.
명사절 목적어
주어로 쓰일 수 있는 명사절이 모두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 명사절이 목적어인 경우, 자연히 길이가 길어지므로 그 전에 한번 끊어 읽는다.
명사절 목적어 | 설명 |
---|---|
that 명사절 | that은 문장에서 흔히 생략된다. |
whether[if] 명사절 | if명사절은 주어로는 쓰이지 않지만 목적어로는 구어에서 whether명사절보다 더 많이 쓰인다. whether[if] 명사절을 목적어로 잘 취하는 동사로는 ask, tell, know, wonder, doubt 등이 있다. ‘~인지 (아닌지)’로 해석된다. |
who, when, where, what, why, how의 의문사가 이끄는 절 | 각 의문사 고유의 의미로 해석된다. |
what 등의 관계사가 이끄는 절 | ‘~인[한] 것을’로 해석된다. |
e.g. I believe // that success is a journey, / not a destination.
나는 믿는다 // 성공은 여정이라고, / 도착지가 아니라.e.g. More people are realizing // music videos can bring out / the color of the singers and their songs.
더 많은 사람들이 깨닫고 있다 // 뮤직 비디오가 (~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을 / 가수와 그들 노래의 색깔을.
that의 생략
that이 많이 생략되어 있을수록 문장의 구조나 의미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유의한다. 아래 예문의 _은 that이 생략된 자리를 나타낸다.
e.g. Did you hear the government said they\’re going to help small businesses financially which didn`t know _ they were eligible for assistance last year?
작년에 지원받을 자격이었다는 것을 몰랐던 소기업들을 재정적으로 구제해줄 거라는 정부 발표를 들었니?
가목적어 it
목적어가 to-v구나 명사절이면 그 길이가 길어서 문장 전체 구조를 이해하는 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경우 목적어를 간단히 it(가목적어)으로 표시하고 진짜 목적어는 문장 뒤로 보낸다. 이유는 [긴 목적어 + 보어]의 구조보다 [it + 보어 + 목적어]의 구조가 더 간명하게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SVOC 문형에서 특히 자주 나타난다.
S + V + O + (C)
-> S + V + it + (C) + to-v
-> S + V + it + (C) + that + S’ + V’ ...
e.g. He thought it better / to tell the truth.
그는 (~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 진실을 말하는 것이.e.g. I made it clear // that I objected to the proposal.
나는 (~을) 명확하게 했다 // 내가 그 제안에 반대한다는 것을.e.g. Motivation is important for good studying. When you are motivated, // you will find it easy / to stay focused over a period of time.
동기부여는 좋은 학습을 위해서 중요하다. 동기부여가 되면, // 당신은 (~이) 쉽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 일정 시간 동안 집중해 있는 것이.
대명사 it과 가목적어 it
it은 앞에 나온 어(구), 절의 내용을 대신하는 대명사로도 쓰일 수 있으므로 가목적어 it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e.g. The hallmark of a truly successful
organization
is the willingness to abandon what made it successful and start fresh.
정말로 성공적인 조직의 특징은 그것을 성공적으로 만든 것을 기꺼이 포기하고 새로 시작하려는 마음가짐이다.
(-> 이때의 it은 organization을 대신한다.)
가목적어 it이 쓰이는 관용적 표현
가목적어 it 관용적 표현 | 의미 |
---|---|
make it a rule to-v | v하는 것을 규칙으로 하다 |
take it for granted (that) | ~을 당연하게 여기다 |
see to it that | 꼭 ~하게 하다 ~하도록 마음쓰다 |
~ has it that S + V | ~에 따르면 (= according to ~, S + V) |
재귀대명사 목적어
목적어는 주어가 하는 동작의 대상이므로 원칙적으로 S ≠ O 관계이다.
e.g.
The boss
gavehim
a day off. (the boss ≠ him)
사장은 그에게 하루 휴가를 주었다.
그러나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로 행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때 목적어로 재귀대명사를 사용한다. 재귀대명사는 인칭대명사의 목적격이나 소유격에 -self(단수), -selves(복수)를 붙인 형태로서 ‘자신을’, ‘자신에게’라고 해석한다.
e.g.
The boss
gavehimself
a day off.
사장은 자신에게 하루 휴가를 주었다.e.g. Children like talking about themselves. (Children = themselves)
아이들은 자신들에게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한다.
(cf. Children like talking about them.(Children ≠ them))e.g. Parents often blame themselves / for the way [their children behave].
부모는 종종 자신들을 탓한다 / 자녀들이 처신하는 방식에 대해.
재귀대명사의 강조 용법
재귀대명사는 (대)명사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재귀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때는 목적어가 문장의 필수 요소이므로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하지 않지만,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문장에 첨가된 것이므로 생략해도 문장이 성립한다.
e.g. She told me herself. = She herself told me.
<주어 강조> 그녀 자신이 내게 말했다.e.g. She visited him himself.
<목적어 강조> 그녀는 (다른 사람이 아닌) 그를 방문했다.
재귀목적어의 관용적 표현
타동사 + 재귀목적어
타동사 + 목적어 | 의미 |
---|---|
devote oneself to | ~에 전념하다, 몰두하다 |
dedicate oneself to | ~에 전념하다, 헌신하다 |
help oneself (to) | (~을) 마음껏 먹다 |
avail oneself of | ~을 이용하다 |
enjoy oneself | 즐기다, 즐겁게 보내다 |
commit oneself to | ~에 전념하다, 헌신하다 |
apply oneself to | ~에 전념하다 |
absent oneself (from) | (~에) 결석하다 |
make oneself at home | (스스럼없이) 편히 지내다 |
behave oneself | 예의바르게 행동하다 |
전치사 + 재귀목적어
전치사 + 목적어 | 의미 |
---|---|
by oneself | 홀로 (= alone); 혼자 힘으로 (= for noeself) |
in oneself | 원래, 그 자체로는 |
beside oneself | 제정신이 아닌 |
of itself | 저절로, 자연히 |
between ourselves | 우리끼리 얘긴데 |
come to oneself | 제정신이 들다 |
목적어의 위치
목적어는 기본적으로 동사 바로 뒤에 위치하지만 간혹 다음과 같은 위치에 오는 경우도 있다.
목적어의 위치가 동사 바로 뒤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 예문 |
---|---|
OSV(C) : 목적어가 강조되어 문두에 나간 형태로서 상당히 자주 볼 수 있다. 목적어에 부정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한 주어와 동사의 도치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
One thing my father left to me, // and it was more valuable than a fortune. 아버지께서 내게 한 가지를 남겨주셨다, // 그리고 그것은 재산보다 더 귀중했다. What one has not experienced, / one will never understand in print. 자기가 경험하지 못한 것을, / 사람은 활자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Those books [which have made a lasting contribution to man`s quest for truth], we call great books. 저 책들을 [인간의 진리 탐구에 오랜 기여를 한], / 우리는 명저라 칭한다. |
SVMO :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전명구와 같은 수식어구가 자리하는 경우가 있다. |
One of the function of a college education is / to enable the college graduate to read _ / with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 articles and books [which otherwise he could not so read]. 대학의 교육의 기능 중 하나는 ~이다 / 대학 졸업자가 (~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 / 이해와 공감을 가지고 / 글과 책들을 [그렇지 않고서는(= 대학 교육이 없다면) 그렇게 읽지 못할]. |
SVCO : 목적어가 상대적으로 길고 보어가 짧은 경우, 또는 목적어 내용이 보어보다 더 중요한 경우 서로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
Laboratory tools make _ easier / the job of scientists / and their experiments 실험실 도구들은 (~을) 더 쉽게 해준다 / 과학자들의 일과 / 그들의 실험을. |
전치사의 목적어
전치사는 말 그대로 (대)명사 앞에 위치하여 [전치사 + (대)명사]의 형태로 ‘구’를 만든다. 이때 전치사 뒤에 나오는 (대)명사를 전치사의 목적어라 한다. 전치사의 목적어로 (대)명사 외에 v-ing(동명사)가 주로 쓰이고, 명사절일 경우는 주로 의문사, 관계대명사 what, 접속사 whether가 이끄는 절이 쓰인다.
- 전치사의 목적어는 문장 요소로서의 목적어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목적어 | 전치사의 목적어 |
---|---|
I like the color of your jacket . |
I like the color of your Jacket . |
e.g. The sun is shining brightly / behind the clouds.
태양은 밝게 빛나고 있다 / 구름 뒤에서.e.g. Don`t be afraid of growing slowly, // be afraid only of standing still.
더디게 성장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라, 가만히 멈춰 서 있는 것만 두려워해라.
예외적인 전치사 + that절
전치사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전치사 + that절 | 의미 |
---|---|
in that | ~라는 점에서 |
except[but] that | ~라는 것 외에는 |
e.g. I know nothing abouot your sister except that she is fourteen.
(나는 네 여동생이 열네 살이라는 것 외에는 그녀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
보어의 이해
보어와 수식어의 구별
주격보어(SC) | 수식어(M) |
---|---|
She appeared at a loss . (She = at a loss)그녀는 당황한 것처럼 보였다. |
She appeared on the TV show . (She ≠ on the TV show)그녀는 그 TV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
목적격보어(OC) | 수식어(M) |
---|---|
I found him quite funny . (him = quite funny)나는 그가 꽤 재미있다는 것을 알았다. |
I found him in the kitchen . (him ≠ in the kitchen)나는 그를 부엌에서 발견했다. |
보어의 형태
(대)명사와 형용사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보어로 쓰일 수 있다. (대)명사와 형용사 외에도 to-v, v, v-ing, p.p., 전치사구, 명사절 등 다양한 형태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구문 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형태보다는 보어가 주어나 목적어를 어떻게 보충 설명해주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학습이 중요하다.
S = C (SVC)
주로 ‘명사’ 역할을 하는 어구가 C에 해당한다. 이때의 보어는 보충 설명하는 대상, 즉 주어와 동격의 개념이다.
e.g.
L.A.
has becomethe largest city in the U.S. to ban plastic bags
.
로스앤젤레스는 비닐봉지를 금지한, 미국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
(L.A = the largest city in the U.S. to ban plastic bags)e.g. The beginning is /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work].
시작은 ~이다 / 일의 가장 중요한 부분.e.g. We seem to learn / life`s best lessons / at the worst times.
우리는 배우는 것 같다 / 인생의 가장 좋은 교훈을 / 가장 힘든 때에e.g. My point is // that we`re spending too much time / on details
내 요점은 ~이다 // 우리가 너무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는 것 / 세부적인 것에.e.g. Teen [who are confident] / have a good sense of self / and become happy adults.
자신감이 있는 십 대들은 / 자신에 대한 감각이 뛰어나다 / 그래서 행복한 성인이 된다.
주격보어로(to-v)를 취하는 동사 (S + V + to-v, SVC )
SVC의 C에 to-v를 취하는 동사는 be동사 외에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하나의 덩어리(chunk)로 알아두자. to-v가 to be일 때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S + V + to-v (SVC) | 예문 |
---|---|
seem[appear] to-v (v인[v하는] 것 같다) |
He didn`t appear (to be) nervous even before the big match. 그는 큰 경기 전에도 긴장하는 것 같지 않았다. You seem (to be) very sociable. 너는 매우 사교적인 것 같다. No one appeared to know the truth. 누구도 진실을 알지 못하는 것 같았다. |
happen to-v (우연히[마침, 공교롭게도] v하게 되다) |
She happened to meet an old friend in town. 그녀는 우연히 오랜 친구를 시내에서 만나게 되었다. |
prove[turn out] to-v (v로 판명되다) |
The experiment proved (to be) too costly. 그 실험은 비용이 너무 많이 드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come to-v (v하게 되다) |
I came to like my biology teacher very much. 나는 생물 선생님을 매우 좋아하게 되었다. |
[S + be + to-v]의 여러 의미 (S ≠ C(to-v), SVC(X))
주어 ≠ to-v인 경우, 다음 의미 중 하나가 아닌지 살펴보자.
[be + to-v]의 여러 의미 | 예문 |
---|---|
예정 | The Minister is to announce an emergency plan on climate charge. 장관은 기후 변화에 대한 긴급안을 발표할 것이다. |
의무 | You are to turn in your sales report by noon for a meeting in the afternoon. 오후 회의를 위해 정오까지 판매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
가능 | Happiness is not to be exchanged for money. 행복은 돈과 바꿀 수 없는 것이다. |
의도 | If you are to get pearls, you`ve got to learn how to dive deep in the sea. 진주를 얻으려면, 바다 깊이 잠수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
O = C (SVOC, SVCO)
이때의 보어는 보충 설명하는 대상, 즉 목적어와 동격의 개념이다. O, C가 모두 명사인 형태라서 SVOO 문형과 혼동할 수 있는데 O = C (SVOC), IO ≠ DO (SVOO)로 판단하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e.g. He called
the current situation
a disaster
. (the current situation = a disaster)
그는 현재의 상황을 재앙이라고 했다
명사, 형용사가 목적격보어인 동사 | |
---|---|
호칭, 선택 | call, name, choose, appoint, elect |
생각, 인식 | think, believe, find, consider, suppose |
상태 | make, turn, keep, leave, drive |
e.g. We make our own fortunes // and we call them fate.
우리는 우리 자신의 행운을 만든다 // 그리고 우리는 그것을 운명이라고 부른다.e.g. Experience makes even fools wise.
경험은 바보들조차도 현명하게 만든다.e.g. His calm determination won him / the respect of his teammates [who elected him captain].
그의 침착한 결정은 그에게 (~을) 안겨주었다 / 그의 팀원들의 존경을 [그를 팀장으로 뽑은].
cf. Her parents chose her a classy name.
\그녀의 부모는 그녀에게 고급스러운 이름을 골라주었다.
to-v가 목적격 보어(OC)
to-v가 목적격 보어인 동사 | |
---|---|
바람, 기대 | want, wish, expect |
요구, 명령 | ask, require, order |
허락, 가능 | allow, permit, enable |
강요 | force, compel |
설득, 장려, 유도 | persuade, encourage, get, cause, lead |
충고, 경고 | advise, tell, remind, urge, warn |
e.g. I want / my life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 on others.
나는 원한다 / 내 삶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 다른사람들에게.
S + V + O + to-v 구조일 때 주의사항
to-v가 수식어(M)나 DO에 해당하는 경우에 주의해야 한다. SVOC와는 다르게 아래 두 경우 모두 목적어와 능동 관계, 즉 SV 관계를 이루지 않는다.
S + V + O + to-v | 예문 |
---|---|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의 to-v | The guy changed his name to hide his background. 그 남자는 자신의 배경을 감추려고 이름을 바꾸었다. |
직접목적어(DO)로 쓰인 명사적 용법의 to-v \ |
He promised me to buy me a new car. 그는 내게 새 자동차를 사주겠다고 약속했다. |
v(원형부정사)가 목적격보어(OC)
목적격보어로 v(원형부정사)가 오면 to-v의 경우와 같이 목적어와 ‘주어-술어’ 관계가 성립한다.
- 사역동사 : make, have, let
- 지각, 감각 동사
- cf. help : 목적격보어로 to-v, v 모두 취할 수 있다.
e.g. What made you decide to work / for an international NGO?
너는 왜 일하기로 결정했니 / 국제 NGO를 위해?e.g. We could see / every star [in the sky] twinkle / on the hill.
우리는 볼 수 있었다 / 하늘의 모든 별이 반짝반짝 빛나는 것을 / 언덕에서.
지각동사와 help의 예외적 부분
- 지각동사 : 지각동사는 O와 C가 능동일 때 v-ing도 목적격보어로 취할 수 있다.
- help + (목적어) + 동사원형 :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e.g. You should help (me) set the table.
너는 (내가) 상 차리는 것을 도와줘야 해.
v-ing(현재분사)가 목적격보어(OC)
to-v나 v에 비해 동작이나 사건이 진행 중 또는 아직 완료되지 않았음을 강조한다.
- 지각동사
- keep, get, leave 등
e.g. We watched / the sun rising over the sea.
우리는 지켜보았다 / 태양이 바다 위로 떠오르고 있는 것을.e.g. Sometimes / fear and guilt / gets us walking on the right track.
때때로 / 두려움과 죄책감은 / 우리가 올바른 방향으로 걸어가도록 한다.
p.p. (과거분사)가 목적격보어(OC)
- 사역동사
- 지각동사
- keep, leave, find 등
- have : 여러 의미로 해석되므로 주의
have의 쓰임 | 의미 | 예문 |
---|---|---|
사역, 수동 | (목적어가) ~하게 시키다 | have my hair cut |
경험 | (목적어가) ~을 당하다 | have my bike stolen |
완료 | (목적어를) ~을 해버리다, 마치다 | have my homework done |
상태 | (목적어가) ~인 상태이다 | have no money left |
e.g. Many buildings and houses / had their roofs torn off / by the tornado.
많은 건물과 집은 / 지붕이 뜯겨 나갔다 / 토네이도에 의해. <경험>e.g. Someday, / you may find yourself improved / by all your struggles today.
언젠가, / 당신은 자신이 향상된 것을 알게 될지도 모른다 / 오늘날 당신의 모든 노력에 의해.
목적격 보어가 분사일 경우 주의해야할 점
분사는 형용사로서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므로 문맥상 목적어와 목적어 뒤의 분사의 관계를 잘 파악하여 해석한다.
e.g. I know all of the students [studying in my school].
나는 모든 학생이 우리 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다는 것을 안다. (X)
-> 나는 우리 학교에서 공부하는 모든 학생을 안다. (O)
목적어와 분사를 주술관계로 해석하면 문장 전체의 의미가 매우 어색하므로 목적어 뒤의 분사는 수식어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C는 S/O의 상태, 성질
형용사, 전명구가 C에 해당한다. 이때의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의 상태나 성질 등을 보충 설명한다.
편의상 S = C, O = C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지만 보어가 주어나 목적어의 일부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므로 직접적인 동격 관계는 아니다.
e.g.
Everyone
remainedsilent
after the bell.
벨이 울린 후에는 모두가 조용하게 있었다.e.g. Don`t leave
the door
open
.
문을 열린 채로 두지 마라.e.g. The dish looked very healthy and fresh, / probably because of the colorful vegetables.
그 요리는 매우 건강에 좋고 신선하게 보였다, / 아마도 색색의 채소 때문일 것이다.
C는 S/O와 능동 관계
to-v, v, v-ing가 주어나 목적어와 SV의 관계를 이루어 ‘S[O]가 V하다’라는 능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e.g. It took me several days to read this book // because I kept crying.
내가 이 책을 읽는 데 며칠이 걸렸다 // 내가 계속 울었기 때문에.e.g. Diplomatic discussions were planned / to persuade the rival nations to return to the negotiating table.
외교적 논의가 계획되었다 / 경쟁국들이 협상 테이블에 복귀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C는 S/O와 수동 관계
p.p.가 주어나 목적어와 SV의 관계를 이루어 ‘S[O]가 ~되다’라는 수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이다.
e.g. Good leaders are like baseball umpires; // they go practically unnoticed / when doing their jobs right.
좋은 지도자들은 야구 심판과 같다 // 그들은 사실상 주목받지 못하므로 / 그들의 일을 제대로 하고 있을 때에는.e.g. The mayor had the recent bank heist / properly investigated by the police.
시장은 최근의 은행 강도 사건이 ~하도록 했다 / 경찰에 의해 제대로 조사받도록.
서술어의 이해
동사의 시제
동사의 동작이나 상태가 일어난 때에 관한 정보는 동사의 형태 변화로 나타내며 이를 시제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현재시제는 ‘현재(시)’, 과거시제는 ‘과거(시)’, 미래시제(미래조동사 + 동사원형)는 ‘미래(시)’를 나타내지만, ‘시제’와 ‘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한 독해를 위해서는 이러한 경우에 특별히 유념해야 한다.
시제와 시 | 예문 |
---|---|
현재시제 = 현재 | The parcel weighs about 3 kilos. 그 소포는 약 3킬로의 무게가 나간다. |
과거시제 = 과거 | The parcel weighed about 3 kilos. 그 소포는 약 3킬로의 무게가 나갔다. |
미래시제 = 미래 | The show will start in 30 minutes. 그 공연은 30분 후에 시작할 것이다. |
현재시제 = 미래 (현재시제 ≠ 현재) | The show begins at 9:00 p.m. 그 공연은 밤 9시에 시작할 것이다. |
다양한 때를 나타내는 현재시제
현재시제는 ‘현재의 상태, (반복적인) 동작, 습관’ 등을 나타내며 ‘불변의 진리, 격언’도 현재시제로 표현된다. 또한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는 부사구가 있는 문장이나 시간, 조건의 부사절에서 현재시제는 미래를 나타낸다.
e.g. He goes hiking / every Saturday.
그는 등산하러 간다 / 토요일마다.e.g. Will you wait here // until I come back?
여기서 기다릴래 // 내가 돌아올 때 까지?e.g. Brainy Smurf [in the animated movie The Smurfs] / wears glasses / and often lectures to the rest of the Smurfs / without really knowing what he is talking about.
똘똘이 스머프는 [만화영화 ‘스머프’의] / 안경을 쓴다 / 그리고 나머지 스머프들에게 자주 훈계한다 / 자신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를 잘 모르는 채.
cf. He is wearing glasses.
그는 안경을 쓰고 있다.
현재시제 vs. 현재진행시제
현재시제 | 현재진행시제 |
---|---|
현재시제는 현재진행시제보 더 장기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도 그러하며 미래에도 상당 기간 지속되리라는 뉘앙스로 써야 한다. | 현재진행시제는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시적인 것을 나타낸다. |
e.g. The river flows slowly. 그 강은 천천히 흐른다. |
e.g. The river is flowing faster after the rain. 그 강은 비가 내린 후 더 빠르게 흐르고 있다. |
미래표현
- will + 동사원형
- be going to-v
- 현재진행형 (be v-ing)
- be about to-v
- be to-v
- ETC
e.g. Respect yourself // and other will respect you.
너 자신을 존중해라 // 그러면 다른 사람들도 너를 존중할 것이다.
have p.p.
현재완료(have p.p.)는 과거에 일어난 일을 현재와 연결해주는 표현이다. 그러므로 명백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구(yesterday, last week[month etc.], ago, in + 특정 연도, when 등)와는 같이 쓸 수 없다.
현재완료(have p.p.)는 다음 네 가지로 해석되는데, 주로 같이 잘 쓰이는 부사를 통해 해석이 분명해진다. ‘완료’와 ‘결과’는 그 구별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문맥 | 같이 잘 쓰이는 부사 | 예문 |
---|---|---|
완료 : (지금 막) ~했다 | just, already, now, recently, lately, still, yet 등 | She`s only twenty, // but she has already achieved / worldwide fame. 그녀는 겨우 스무 살이다. // 하지만 그녀는 이미 얻었다 / 세계적인 명성을. |
경험 : (지금까지) ~해 본 적이 있다 | ever, never, once, twice, before, often, so far 등 | Have you ever imagined your future? 너의 미래를 상상해본 적이 있니? |
계속 : (지금까지 죽) ~해왔다 | alawys, for, since, how long, so far, all day 등 | We have been friends / since childhood. 우리는 죽 친구였다 / 어린 시절부터. |
결과 : ~했다 (그 결과 지금 …인 상태이다) | My father has left for New York / on business. 아버지는 뉴욕으로 떠나셨다 / 업무상 (그래서 지금 이곳에 안 계심.) cf. My father left for New York. |
e.g. Reseach has recently found / that lavendar is among the best smells [to help lower anxiety and induce sleep].
연구는 최근에 (~임을) 발견했다 <완료> / 라벤더가 최고의 향 중 하나라는 것을 [불안을 줄이고 잠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되는].
have been v-ing
과거의 동작이 현재까지 계속 진행됨을 나타낸다. 현재완료보다 동작이 계속됨을 좀 더 강조한다.
e.g. How long have you been looking for a job?
<계속> 얼마나 오랫동안 일자리를 찾아왔습니까?
현재완료에서 주의할 점
명맥한 과거를 나타내는 부사구
e.g. The Olympic Games
have been(X) -> were(O)
held in Seoul in 1988.
올림픽 경기는 서울에서 1988년에 개최되었다.
when : 특정 과거 시점을 의미할 때
e.g. When I was in high school, I
have joined (X) -> joined(O)
a rock band.
나는 고등학교 때 록밴드에 가입했다.
had p.p.
- ‘대과거~과거’를 나타내며 현재완료와 마찬가지로 완료, 경험, 계속, 결과를 나타낸다.
- 과거에 일어난 두 가지 일의 순서를 표시하고자 ‘먼저 일어난 일’을 과거완료형(had p.p.)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대과거’라 한다.
문맥 | 예문 |
---|---|
완료 : (그때 막) ~했다 | |
경험 : (그때까지) ~해 본 적이 있었다 | |
계속 : (그때까지 죽) ~하고 있었다 | |
결과 : ~했다 (그 결과 그때 …인 상태였다) |
e.g. When I entered the classroom, // the lesson had already begun.
내가 교실에 들어갔을 때, // 수업은 이미 시작되었다.
- 과거에 일어난 두 동작이 거의 동시에 일어났거나, 일어난 순서대로 표현할 때, 또는 시간 순서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어구(after, before 등)와 함께 쓰일 때는 과거시제로 표현한다. 일어난 순서대로 표현하지 않을 때는 대과거를 사용한다.
문맥 | 예문 |
---|---|
두 동작이 동시에 일어남 | The music started and the curtains opened. |
일어난 순서대로 표현 | She bought the present and sent it to me. |
after로 시간 순서가 명확함 | I arrived after the play started. |
cf. 구입한 것이 보내준 것보다 나중에 서술되므로 대과거 사용 | She sent the present to me that she had bought. |
had been v-ing
- 과거의 어떤 때를 기준으로 그 이전에 시작한 동작이 그때까지 계속되었음을 강조한다.
e.g. The movie had been playing for about ten minutes when we arrived at the theater.
영화가 10분 정도 상영되었을 때 우리는 영화관에 도착했다.
will have p.p.
- 미래완료(will have p.p.)는 현재완료가 나타내는 네 가지 의미를 ‘미래의 어느 때’로 옮겨 생각하면 된다.
- 미래완료진행(will have been v-ing)은 복잡하고 매우 딱딱한 느낌이 있어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문맥 | 예문 |
---|---|
완료 : (그때까지는) ~하게 될 것이다 | |
경험 : (그때까지는)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 |
계속 : (그때까지 죽) ~하고 있을 것이다 | |
결과 : (~해서 그 결과 그때까지는) ~인 상태일 것이다 |
e.g. She will have graduated from college // by next year.
그녀는 대학을 졸업하게 될 것이다 / 내년에는.
부정사, 동명사의 완료형
부정사, 동명사가 문장의 동사가 나타내는 때보다 이전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는 완료형으로 표현한다.
준동사 | 문장의 동사와 같은 때 | 완료형(문장의 동사보다 앞선 때) |
---|---|---|
to-v | to-v | to have p.p. |
v-ing | v-ing | having p.p. |
e.g. I`m very satisfied / to have tried many kinds of sports last year.
(= I`m very satisfied that I tried many kinds of ~.)
나는 매우 만족스럽다 / 작년에 많은 종류의 스포츠를 시도해 본 것이.e.g. He admitted / having made a serious mistake.
(= He admitted that he had made a serious mistake.)
그는 인정했다 / 심각한 실수를 저질렀음을.
과거에 이루지 못한 일을 나타내는 to have p.p.
[wanted, hoped, wished, expected, meant + to have p.p.(완료부정사)]는 단순히 더 이전의 일만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원했지만 실제로는 하지 못한 일을 뜻한다.
e.g. I wanted to have written a book review worthy of his work.
나는 그의 작품에 걸맞은 서평을 쓰고 싶었는데 못 썼다.
(= I wanted to write a book review worthy of his work, but I couldn`t.)
동사의 태
- 동사는 주어가 동작을 행하는지(능동태), 또는 당하는지(수동태)에 대한 정보도 제공한다.
보통, 행위의 주체보다 행위의 대상이 더 중요한 관심사일 때 수동태로 표현한다.
능동태 | 수동태 |
---|---|
I painted this wall last week. 나는 지난주에 이 벽을 칠했다. |
This wall was painted last week. 이 벽은 지난주에 칠해졌다. |
S + be p.p.
수동태는 [be p.p.]의 형태를 취한다. ‘~에 의해’를 뜻하는 [by + 행위자]는 자주 생략된다.
[be p.p.]를 하나의 동사로 취급하여 ‘~받다, ~되다’로 해 하면 된다. 구어에서는 be대신 get도 많이 쓴다.e.g. All things are won by industry.
모든 것은 근면에 의해서 얻어진다.e.g. An intransitive verb / is not followed by an object / and can never be used in the passive.
자동사는 / 목적어가 따르지 않는다 / 그래서 수동태로 절대 쓰일 수 없다.한편, 두 단어 이상이 모여 하나의 타동사 역할을 하는 구동사는 수동태에서도 하나의 덩어리로 움직인다.
구동사가 [타동사 + 목적어 + 전치사]인 경우, 구동사 내의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e.g. Believe it or not, // so much attention was paid / to making cars faster or lighter / in the past // that little or no attention was paid / to the safety of the driver.
믿든지 말든지, // 많은 관심이 (~에) 기울여져서 / 자동차를 더 빠르거나 더 가볍게 만드는 것에 / 과거에는 // 거의 또는 전혀 관심이 기울여지지 않았다 / 운전자의 안전에.
- 다음과 같은 경우 두 개의 수동태 문장이 가능하다.
e.g. Jack paid no attention to my advice.
잭은 내 충고에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 My advice was paid no attention to by jack.)
(= No attention was paid to my advice by Jack.)
- 다음과 같은 경우 두 개의 수동태 문장이 가능하다.
[by + 행위자]의 명시하는 경우
수동태에서 [by + 행위자]는 생략되는 경우가 워낙 많으므로, 어떤 경우에 생략되는지를 알아두기보다는 오히려 명시하는 경우를 알아두는 것이 경제적이다.
수동태에서 [by + 행위자]를 명시하는 경우 | 예문 |
---|---|
새로운 정보일 때 | While she was walking down the street, her purse was snatched by a young man. 그녀가 길을 걷고 있었을 때, 어떤 젊은이가 그녀의 지갑을 낚아챘다. |
무생물일 때 (행위자는 보통 ‘생물’로 예상하므로 ‘무생물’이면 명시하는 경우가 있다.) |
All the lights are switched on and off by this electrical device. 모든 전등은 이 전기 장치로 켜고 끈다. |
저명한 사람이라서 정보로 포함해야 하는 경우 | The Mona Lisa was painted by Leonardo da Vinchi. 모나리자는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렸다. |
S + be p.p. + O
SVOO의 두 개의 O중, 하나는 수동태의 S로, 나머지 하나는 그 자리에 그대로 남게 된다.
e.g. He was given a fine / for parking his car / in the wrong place.
그는 벌금을 부과받았다 / 그의 차를 주차했다는 이유로 / 부적당한 장소에.e.g. We believe // that each individual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develop and achieve] / to the maximum extent possible.
우리는 믿는다 // 각각의 개인에게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개발하고 성취할] / 가능한 최대한으로.e.g. We must remember // that when traveling is made too easy and comfortable, / its spiritual meaning is lost.
우리는 기억해야 한다 // 여행이 너무 수월하고 편안하게 이루어질 때, / 그것의 정신적인 의미는 상실된다는 것을.
SVOO의 수동태
SVOO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IO나 DO를 주어로 하는 수동태가 다 가능하지만, 의미가 매우 어색해지는 것은 수동태로 표현하지 않는다.
SVOO 수동태가 가능한 경우 | SVOO 수동태가 불가능한 경우 |
---|---|
My friend told me the bad news. -> I was told the bad news by my friend. (O) -> The bad news was told to me by my friend. (O) |
My friend bought me a present. -> A present was bought for me by my friend. (O) -> I was bought a present by my friend. (X) |
S + be p.p. + C
SVOC의 동사 중,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인 원형부정사는 to-v로 전환된다.
e.g. Laughter is called the best medicine.
웃음은 최고의 약이라고 한다.e.g. You`re not allowed to take pictures / in the museum.
사진 찍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 박물관에서.
조동사, 시제와 결합된 수동태
조동사, 시제와 결합된 수동태 | 의미 |
---|---|
조동사 + be p.p. | null |
will be p.p. | ~될 것이다 (미래) |
have[has, had] been p.p. | ~되어 왔다 (완료, 결과, 경험, 계속) |
be being p.p. | ~되고 있다 (진행) |
e.g. Nothing can be done / without hope and confidence.
아무것도 이루어질 수 없다 / 희망과 자신감이 없으면.e.g. Much progress has been made / in the last six months / in my English.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 지난 6개월간 / 내 영어 실력에 있어서.e.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radioactive waste disposal] /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 and waste management is lacking.
방사성 폐기물 처리의 환경적인 영향은 / 충분히 평가되어 오지 않았고, // 폐기물 관리가 부족하다.e.g. Social media is being used / to promote companies` products / and raise brand awareness.
소셜 미디어는 사용되고 있다 / 기업들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 그리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형태에 유의해야 할 수동태
구동사의 수동태
- put off, take care of 등의 구동사는 수동태에서도 하나의 덩어리로 움직인다.
구동사 | 의미 |
---|---|
depend[rely] on | ~을 신뢰[의지]하다 |
catch up with | ~을 따라 잡다 |
pay attention to | ~에 주의를 기울이다 |
take care of[look after] | ~을 돌보다 |
bring up | ~을 키우다, 훈육하다 |
take up | (시간, 공간을) 차지하다, 쓰다 |
run over | (차가) ~을 치다 |
do away with | ~을 제거하다 |
put up with | ~을 참다 |
look forward to | ~을 기대하다 |
hold back | ~을 말리다, 억제하다 |
refer to A as B | A를 B라고 부르다 |
e.g. She is looked up to / by other women / as an inspirational role model.
그녀는 존경받는다 / 다른 여성들에게 / 영감을 주는 역할 모델로서.
(<- Other women look up to her as an inspirational role model.)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하는 문장의 수동태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할 수 있는 동사
say, think, believe, know, expect, suppose, consider, report 등[They + say + that + S` + V` ~]처럼 목적어가 that절인 경우 다음 두 가지 형태의 수동태가 가능하다.
They + say + that + S` + V` ~ | |
---|---|
= [It is said that S` + V` ~] | (가주어 It 이용) |
= [S` + is said to-v ~] | (that절의 주어가 문장의 주어) |
e.g. It is said // that habit is second nature.
사람들은 말한다 // 습관은 제2의 천성이라고.
(= Habit is said to be second nature.)e.g. It is said // that books are better / than the movies [created from books].
(~라고) 말해진다 // 책이 더 낫다고 / 책을 원작으로 하여 만들어진 영화보다.
(= Books are said / to be better than the movies [created from books].)
-> They say **that books are better than the movies created from books.e.g. It is believed // that small fish cluster together / in order to confuse their predators / and thereby protect themselves from harm.
~라고들 믿는다 // 작은 물고기들은 함께 무리를 이룬다고 / 포식자를 혼란스럽게 하기 위해 /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해를 입는 것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한다.
(= Small fish are believed // to cluster together / ~ from harm.)
수동태의 관용적 표현
수동태에서 by 이외에 다른 전치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그 밖에 관용적으로 쓰이는 수동태 표현도 잘 익혀 두자.
by 이외의 전치사를 쓰는 수동태
수동태 + 전치사( |
예문 |
---|---|
be interested in ~에 흥미가 있다 |
Are you interested in seeing a movie ? 당신은 영화 보는 것에 흥미가 있나요? |
be covered with ~으로 덮여 있다 |
Most of Antarctica is covered with ice and snow. 남극 대륙의 대부분은 얼음과 눈으로 덮여있다. |
be filled with ~로 가득 차다 |
The concert hall was filled with people. 콘서트홀은 사람들로 가득 찼다. |
be satisfied with ~에 만족하다 |
He is satisfied with his appearance. 그는 자신의 외모에 만족한다. |
be surprised at[by] ~에 놀라다 |
The old fisherman was surprised at[by] the enormous size of the fish. 늙은 어부는 그 물고기의 엄청난 크기에 놀랐다. |
be engaged in ~에 종사하다 |
She is engaged in foreign trade. 그녀는 해외 무역에 종사하고 있다. |
be known for ~으로 유명하다 |
She is known for her fine piano playing. 그녀는 뛰어난 피아노 연주 실력으로 유명하다. |
be known as ~으로 알려져 있다 |
This area is known as Little Venice. 이 지역은 작은 베니스로 알려져 있다. |
be known by ~에 의해 알 수 있다 |
A man is known by the company he keeps. 사람은 그가 사귀는 친구로 알 수 있다. |
be known to ~에게 알려져 있다 |
His name is known to everybody in the school. 그의 이름은 학교에서 모두에게 알려져 있다. |
be caught in (비 따위를) 만나다 |
The climbers were caught in a sudden storm. 등산객들은 갑작스런 폭풍우를 만났다. |
관용 표현
관용 표현 | 예문 |
---|---|
be supposed to-v v하도록 되어 있다 |
People under 18 are not supposed to enter here. 18세 미만인 사람은 이곳에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다. |
be obliged to-v v하지 않으면 안 된다, v해야 한다 |
At some restaurants, you may be obliged to pay a service charge. 어떤 식당에서는 서비스 요금을 지불해야 할지도 모른다. |
be scheduled to-v v할 예정이다 |
He is scheduled to see the dentist at 3 o`clock. 그는 3시 정각에 치과 진료를 받을 예정이다. |
be required to-v v하도록 요구되다 |
All staff are required to attend the staff meetings today. 모든 직원은 오늘 직원회의에 참석하도록 요구된다. |
준동사(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수동태
준동사(부정사, 동명사, 분사)는 본질적으로 동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의미상 주어가 ‘~당하다, ~되다’의 의미 즉 수동 관계일 때는 수동형을 취한다. 또한, 문장의 동사보다 앞선 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각각의 완료 수동형을 쓴다.
준동사 | 수동형 | 완료 수동형 |
---|---|---|
to-v | to be p.p. | to have been p.p. |
v-ing | being p.p. | having been p.p. |
e.g. I am happy / to be invited to your party / and of course to meet you.
(= I am happy that I`m invited to your party and ~.)
저는 기쁩니다 / 당신의 파티에 초대받아서 / 그리고 물론 당신을 만나게 되어.e.g. Nobody likes being talked about / behind his or her back.
아무도 (자신에 관해) 얘기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자신의 등 뒤에서.e.g. It is not always enough / to be forgiven by others. Sometimes / you have to learn to forgive yourself.
(~은) 항상 충분하지 않다 / 다른 사람들에 의해 용서받는 것은. 때로는 / 자신을 용서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e.g. We should look for the opportunity / in every difficulty // instead of being paralyzed at the thought of the difficulty / in every opportunity.
우리는 기회를 찾아야 한다 / 모든 어려움에서 // 어려움에 대한 생각으로 마비되기보다는 / 모든 기회에서.
형태는 능동이지만 의미는 수동인 특수 표현
- to let, to blame
e.g. This house is to let / to be let.
이 집은 세를 놓습니다.
e.g. Who is to blame / to be blamed for the accident?
누가 그 사고에 책임을 져야 하는가?
- need[want] + v-ing
e.g. The front door needs[wants] mending.
현관문을 고쳐야 한다.
(= The front door needs[wants] to be mended.)
조동사
조동사의 모양 : can[may, will, should, must 등] + 동사원형
기본적으로는 모두 ‘추측’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그 외에 각기 고유한 뜻을 따로 가지므로 일종의 다의어처럼 알아두면 된다. ‘과거형’ 조동사라고 해서 반드시 ‘과거(시)’를 뜻하지 않는 등, 고유한 특성이 있기 때문에 독해에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문법적 역할의 조동사
문법적 역할 : be동사, have동사, do동사
be동사 | have동사 | do동사 |
---|---|---|
수동태(be p.p.) 진행형(be v-ing) |
완료시제(have p.p.) | 일반동사의 의문문과 부정문을 만드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주로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
동사의 의미를 더해주는 역할의 조동사
동사의 의미를 더해주는 역할 : can, may, must, should 등
본동사(main verb)를 도와 ‘허가, 추측, 충고, 의무’ 등의 의미를 더해준다.
e.g. You may request a full refund of the purchased price.
e.g. A full refund of the purchased prices pay be requested.
능력(Ability), 허가(permission)
일반적으로 can은 능력을, may는 허가를 나타낸다, can도 허가의 의미로 쓰일 수 있으며, cannot은 금지의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e.g. She can speak several languages / plus her own language.
그녀는 몇 개 국어를 말할 수 있다 / 그녀의 모국어 외에. <능력>e.g. You may keep the change.
거스름돈을 가져도 좋습니다. <허가>
- be able to-v (v할 수 있다) :
‘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미래의 능력을 나타낼 때 조동사는 두 개를 연달아 쓸 수 없으므로 (will can (X)), will be able to-v의 형태로 나타낸다.
현재나 미래에 대한 가능성, 추측(Possibility)
대부분의 조동사에는 기본적으로 가능성, 추측의 의미가 있는데, 그 확신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다. 과거형 조동사(might, could, should, would)는 과거의 일이 아닌 현재나 미래의 일에 대한 가능성, 추측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하자. 각각의 현재형보다는 확신의 정도가 더 낮다.
might — may — could — can — should — ought to — would — will — must(<-> cannot)
e.g. Accepting your flaws / might lead to personal growth and change.
당신의 결점을 받아들이는 것은 / 개인의 성장과 변화로 이어질지도 모른다.e.g. There may be an easier way [of solving the problem].
더 쉬운 방법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 문제를 해결하는].e.g. If you take this pill, // it might stop the cold / or at least lessen the severity.
네가 이 알약을 먹으면, // 그것은 감기를 멈출지도 모른다 / 혹은 최소한 괴로움을 덜어 주거나.e.g. She can`t be hanging around with her friends / this late at night. She must be at home sleeping.
그녀는 친구들과 어울릴 리가 없다 / 이렇게 밤늦게. 그녀는 틀림없이 집에서 자고 있을 것이다.
‘추측’의 의미로 잘 쓰이지 않는 조동사
should와 ought to는 ‘의무’와 혼동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추측’의 의미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e.g. She should be back home soon.
그녀는 곧 집에 돌아올 것이다. <추측>
그녀는 곧 집에 돌아와야 한다. <의무>e.g. My friends ought to be at their school by now.
내 친구들은 지금쯤 그들의 학교에 있을 것이다. <추측>
내 친구들은 지금쯤 그들의 학교에 있어야 한다. <의무>
과거에 대한 가능성, 추측
[조동사 + have p.p.]는 ‘과거’의 일에 대한 가능성, 추측을 나타낸다. 앞에서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조동사에 따라 확신의 정도가 다르다.
조동사 + have p.p. | 의미 | 확신의 정도 |
---|---|---|
must have p.p. | ~했음이(에) 틀림없다 | (과거 사실의 강한 확신, 과거 사실의 단정적 추측) |
can`t have p.p. | ~했을 리가 없다 | (과거 사실의 단정적 추측, 과거 사실의 부정적인 추측) |
could have p.p. | ~했을 수도 있다 | (과거 사실의 추측) |
may have p.p. | ~했을지도 모른다 | (과거 사실의 불확실한 추측) |
might have p.p. | 어쩌면 ~했을지도 모른다 | (may have p.p.보다 더 약한 추측) |
must have p.p. — could have p.p. — may have p.p. — might have p.p.
can`t have p.p.
e.g. I`m sorry. I must have dialed the wrong number.
죄송합니다. 제가 잘못된 번호로 전화 걸었음이 틀림없습니다.
(= I`m sorry. It is certain that I dialed the wrong number.)e.g. I may have read the book // but I hardly remember any of it.
나는 그 책을 읽었을지도 모른다 // 그러나 나는 그 어느 것도 거의 기억나지 않는다.
(= It is possible that I read the book, but I hardly remember any of it.)e.g. You must have been in such a hurry this morning / to wear your shirt the wrong side out.
너는 오늘 아침에 매우 바빴던 게 틀림없다 / 셔츠를 뒤집어 입은 걸 보니.
과거에 대한 후회
과거에 대한 후회, 유감 | 의미 |
---|---|
should[ought to] have p.p. | ~했어야 하는데 (하지 않았다) cf. 당연히 ~했을 것이다 (과거의 일에 대한 추측, 가능성) |
should not[ought not to] have p.p. | ~하지 않았어야 하는데 (했다) |
needn`t have p.p. | ~할 필요 없었는데 (실제로는 했다) |
e.g. Your application is too late. You should have submitted it / by June 30.
당신의 지원서는 너무 늦었습니다. 당신은 그것을 제출했어야 합니다 / 6월 30일까지.
(= Your application ~. It was a mistake that you didn`t submit it by June 30.)c.f. I didn`t ask John yet, but he should have finished his work already.
아직 존에게 물어보진 않았지만, 그는 당연히 자기 일을 벌써 끝냈을 것이다.
충고(Advisability), 의무(Necessity)
Should, ought to, had better, need, must는 기본적으로 ‘~해야 한다’라는 의미로, 충고나 의무의 뜻을 나타낼 수 있다. 정도의 차이는 약간씩 있는데, should가 가벼운 조언으로 권고의 정도가 가장 약한 반면, must는 피할 수 없는 의무로 가장 강한 어조의 표현이다.
should — ought to — had better — need — must[have to]
must와 have to | 의미 |
---|---|
must = have to | ~해야한다 <의무> |
must not | ~하면 안 된다 <금지> |
don`t have to = need not | ~할 필요가 없다 <불필요> |
e.g. You should not criticize others / behind their back.
너는 다른 사람들을 비난해서는 안 된다 / 그들이 없는 곳에서.e.g. To live a creative life, / we must lose our fear / of being wrong.
창의적인 삶을 살기 위해, / 우리는 두려움을 없애야 한다 / 틀리는 것에 대한.
should
should가 ‘~해야 한다’의 의미일 경우
- 요구, 주장, 제안, 필요, 명령 등을 나타내는 동사, 형용사, 명사 뒤의 that절 내용이 ‘당위성(~해야 한다)’을 의미할 경우 that절에는 [(should) + 동사원형]을 쓴다. 이때 보통 should는 생략되어진다.
유형 | 동사 |
---|---|
~을 요구하다 | ask, demand, require, request 등 |
~을 제안하다 | suggest, propose 등 |
~을 주장하다 | insist 등 |
~을 권고하다 | recommend 등 |
~을 명령하다 | order, command 등 |
유형 | 형용사 |
---|---|
매우 중요한 | necessary, essential, important, desirable, urgent, imperative 등 |
유형 | 명사 |
---|---|
wish, suggestion, proposal, recommendation 등 |
e.g. Justice demands // that there (should) be no discrimination [against anybody].
정의는 요구한다 // 어떤 차별도 없어야 한다고 [어느 누구에 대해서도]e.g. Animal protection groups insist / that the rights of animals (should) be acknowledged and respected.
동물 보호 단체는 주장한다 / 동물의 권리가 인정되어야 하고 존중받아야 한다고.
cf. The zoo keeper insisted / that the rights of animals were respected in the zoo.
- 놀라움, 뜻밖, 노여움, 유감 등의 감정을 나타낼 때 should(~하다니)를 쓰기도 한다. should를 쓰지 않고 현재, 과거시제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감정’보다는 that절의 내용을 좀 더 객관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된다. 주로 다음과 같은 형용사나 명사 뒤에 오는 that절에 사용된다.
유형 | 형용사, 명사 |
---|---|
이상한 | surprising, strange, odd 등 |
유감인 일 | a pity[shame] 등 |
e.g. It is a pity // that he should miss / such a golden opportunity.
(~이) 유감이다 // 그가 놓치다니 / 그런 황금 같은 기회를.e.g. It is certainly surprising // that such a highly reputable magazine / should print such a childish article.
(~이) 분명히 놀랍다 // 그렇게 평판이 좋은 잡지가 / 그런 유치한 기사를 싣는다는 것이.
(= It is certainly surprising // that such a highly reputable magazine / prints such a childish article.)
should가 ‘~해야 한다’가 아닌 경우
that절의 내용이 ‘당위성(~해야 한다)’이 아닌, 현재나 과거의 ‘사실’을 나타낼 때는 should를 쓰지 않고 that절의 동사를 주절의 인칭, 수, 시제에 일치시킨다.
e.g. He insisted that he had seen a UFO.
그는 UFO를 봤다고 주장했다.
should[ought to] have p.p.
- should[ought to] have p.p.는 과거 사실에 대한 추측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과거에 대한 후회, 유감’을 나타내는 경우가 더 많다.
과거에 대한 후회, 유감 | |
---|---|
should[ought to] have p.p. | ~했어야 하는데 (하지 않았다) |
should not[ought not to] have p.p. | ~하지 않았어야 하는데 (했다) |
should와 ought to는 ‘의무’를 나타내는 경우와 혼동이 될 수도 있으므로 ‘가능성, 추측’을 나타낼 때는 may, might, could를 더 많이 쓴다. 아래 예문처럼 두 가지 의미 모두 가능하므로 문맥을 잘 고려해서 판단하도록 한다.
e.g. He should[ought to] have arrived yesterday.
- 그는 어제 도착했을 것이다.
- 그는 어제 도착했어야 하는데. (도착하지 않았다)
- 그는 어제 도착했을 것이다.
의미에 주의해야 할 기타 조동사 표현들
조동사 표현 | 의미 | 비고 |
---|---|---|
would / used to | <과거의 습관> ~하곤 했다 | used to는 would와 달리 과거의 상태(예전에는 ~였다[했다])를 나타낼 수도 있다 |
cannot help v-ing | v하지 않을 수 없다 (= cannot (help) but + 동사원형) | |
cannot ~ too … |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다 | |
may well ~ | 아마 ~일 것 같다 (= be likely to-v) | ‘~하는 것도 당연하다’란 의미도 가능하나, 대부분 ‘추측’의 의미로 쓰인다. |
may as well ~ (as …) | (…하느니) ~하는 게 더 낫다 | |
would like to-v | v하고 싶다 | |
would rather ~ (than …) | (…하느니) 차라리 ~하고 싶다 |
e.g. I used to eat meat, // but now I`m a vegetarian.
나는 고기를 먹곤 했다. // 그러나 이제는 채식주의자이다.e.g. I cannot help agreeing with you / on this matter.
나는 너에게 동의하지 않을 수 없다 / 이 문제에 있어서.
(= I cannot (help) but agree with you on this matter.)e.g. Shampoo and other hair products / used to cause trouble for my skin, // so I use fragrance-free items.
샴푸와 다른 모발 제품들은 / 내 피부에 문제를 일으키곤 했다, // 그래서 나는 향이 없는 제품을 사용한다.
cf. The old Chinese city / used to be surrounded by a wall / to defend against the enemy.
<과거의 상태> 그 중국의 옛 도시는 /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서.
조동사 used to(~하곤 했다)와 혼동하기 쉬운 표현
조동사 used to와 혼동하기 쉬운 표현 | 예문 |
---|---|
be used to v-ing v하는 것에 익숙하다 |
She is not used to eating spicy food. 그녀는 매운 음식을 먹는 것에 익숙하지 않다. |
be used to-v v하는 데 사용되다 |
Today microwave ovens are widely used to heat foods. 오늘날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데우는 데 널리 사용된다. |
가정법 구문
직설법(indicative mood, fact-mood)
vs
가정법(subjunctive mood, thought-mood)
직설법 | 가정법 : 직설법과는 다른 시제를 사용한다 |
---|---|
1. 사실을 ‘사실 그대로’ 말하는 것이다. If I have time, I surf the Internet. 나는 시간이 있으면, 인터넷 서핑을 한다. I think that he is honest. 나는 그가 정직하다고 생각한다. (현재를 현재시제로 표현) |
1. ‘사실을 반대로’ 가정, 상상, 소망하는 것이다. If I had time, I could surf the Internet. 내게 시간이 있다면, 인터넷 서핑을 할 텐데. (-> 나는 시간이 없어서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없다.) |
2. ‘일어날 가능성이 꽤 있다’고 보는 일을 말한다. If I have time, I will surf the Internet. 나는 시간이 있으면, 인터넷 서핑을 할 것이다. |
2. ‘일어날 가능성이 아주 희박하거나 불가능하다’고 보는 일을 가정, 상상, 소망하는 것이다. If it snowed during the summer, it would be fantastic. 여름 동안 눈이 온다면, 환상적일 텐데. |
3. 지금껏 알고 있는 시제 그대로 적용된다. I will employ him if he is honest. 그가 정직하다면, 나를 고용할 것이다. (현재를 현재시제로, 미래를 미래시제로 표현) |
3. 직설법으로 나타내는 시제와는 다른 시제를 이용하여, 가정법임을 표현한다. I would employ him if he were honest. 그가 정직하다면, 나는 그를 고용할 텐데. (미래, 현재를 모두 과거시제로 표현) |
직설법과 가정법이 다 사용될 수 있는 경우
말하는 내용이 ‘가능성’에 대해 서술하는 경우, ‘가능성이 있다, 없다’는 사람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처한 상황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직설법과 가정법이 다 사용될 수 있다.
직설법 : 주관적 판단으로 가능성이 있다고 보거나, 정부가 유가 인하 시책을 발표한 경우 등 | 가정법 : 주관적 판단으로 가능성이 없다고 보거나, 정부 시책이 계속 유가 인상인 경우 등 |
---|---|
If the price of oil comes down, more people will buy it. 유가가 내려가면, 더 많은 사람들이 구매할 것이다. |
If the price of oil come down, more people would buy it. 유가가 내려가면, 더 많은 사람들이 구매할 텐데. |
가정법의 시제
if절에 사용된 시제가 과거(were, began 등)이면 가정법 과거이고, 과거완료(had been, had begun)이면 가정법 과거완료이다. 각 구문에서 사용된 시제에 따라 가리키는 때와 의미를 잘 구분하여 알아두어야 한다. ‘가정법 시제’와 그것이 가리키는 ‘때’는 일치하지 않는다. 즉 가정법 과거는 ‘현재나 미래’를, 가정법 과거완료는 ‘과거’를 나타낸다.
가정법 과거 | 가정법 과거완료 | |
---|---|---|
가정법 시제 | 과거(were, began 등) | 과거완료(had been, had begun) |
가리키는 ‘때’ | 현재나 미래 | 과거 |
가정법 과거
현재의 사실과 반대로 가정, 상상, 소망하거나 현재나 미래에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일을 가정, 상상, 소망할 때 가정법 과거로 표현한다. if를 생략하면 [(조)동사 + 주어]의 어순으로 도치되는데, if절의 (조)동사가 were, should, had인 경우에 잘 일어난다. 또한, 정중하고 덜 단정적인 요청이나 제안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가정법 과거 | 의미 |
---|---|
If + S` + 동사의 과거형[were] ~, S +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 |
만약 ~라면, …할 텐데 |
If + S` + were to-v ~, S +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 |
만약 ~라면, …할 텐데 |
S + wish + S` + 동사의 과거형 |
(지금) ~라면 좋을 텐데 |
as if/as though + S + 동사의 과거형 |
마치 ~인 것처럼 |
It`s (high/about) time (that) + S + 동사의 과거형[should + 동사원형] |
~해야 할 때다, ~할 시간이다 |
e.g. If you truly loved yourself, // you could never hurt another.
만약 자기 자신을 진심으로 사랑한다면, // 다른 이에게 절대 상처주지 못할 것이다.e.g. If I had eight hours [to chop down a tree], // I would spend six / sharpening my axe.
만약 나에게 나무를 벨 8시간이 있다면, // 나는 6시간을 쓸 것이다 / 내 도끼를 가는 데.e.g. People would worry less / about what others think of them // if they only realized / how seldom they do.
사람들은 덜 걱정할 텐데 /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지에 대해 // 자신이 깨닫기만 한다면 / 얼마나 드물게 그들(다른 사람들)이 그러는지.
should / were to
if절에 should나 were to를 쓰면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욱 희박하다는 느낌을 준다. were to와 달리 should는 주절에 조동사의 현재형이나 과거형이 모두 올 수 있다.
should / were to의 문장구조 |
---|
If + S` + should ~ , 명령문 If + S` + should ~ , S + 조동사 현재형 (will, can, may) If + S` + should ~ , S + 조동사 과거형 (would, should, could, might) |
If + S` + were to ~ , S + 조동사 과거형 (would, should, could, might) |
e.g. If all the ice in the Arctic should melt, // many coastal areas would[will] disappear.
혹시라도 북극의 모든 얼음이 녹는다면, // 많은 해안 지역이 사라질 것이다.e.g. If the Internet were to suddenly stop functioning, // the results could be catastrophic.
만약 인터넷이 갑자기 작동을 멈춘다면, // 그 결과는 엄청난 재앙일 것이다.
S + wish 가정법 과거
가정법이 [S + wish] 다음에 이어지는 명사절에 사용될 때에는, 현재나 과거에 이룰 수 없는 소망을 표현한다. [S + wish] 가정법 과거는 소망 시점과 소망 내용의 시점이 일치한다.
S + wish 가정법 과거 | 의미 |
---|---|
S + wish + S` + (조)동사 과거형 | (지금) ~이기를 바란다, (지금) ~하면 좋을 텐데 |
S + wished + S` + (조)동사 과거형 | (그때) ~이기를 바랐다, (그때) ~했다면 좋을 텐데 |
e.g. When I read a good book, // I wish my life were three thousand years long.
내가 좋은 책을 읽을 때, // 내 삶이 3천년이라면 좋을 텐데.e.g. I wished / my real life had a deleted key // when I fell in front of many people.
나는 바랐다 / 내 실제 삶에 (컴퓨터의) 삭제키가 있기를 // 내가 많은 사람들 앞에서 넘어졌을 때.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의 사실과 반대로 가정, 상상, 소망하거나 과거에 실현 가능성이 희박했던 일을 가정, 상상, 소망할 때 가정법 과거완료로 표현한다. if를 생략하면 조동사 had와 주어가 도치되는데 문어체 표현이다.
가정법 과거완료 | 의미 |
---|---|
If + S` + had p.p. ~ , S + 조동사 과거형 + have p.p. … |
만약 ~했더라면, …했을 텐데 |
S + wish + S + had p.p. | (그때) ~했으면 (지금) 좋을 텐데 |
cf. S + wished + S + 동사의 과거형(주절의 동사와 같은 시점) | (그때) ~했으면 좋았을 텐데 |
cf. S + wished + S + had p.p. |
(그 전에) ~했다면 (그때) 좋았을 텐데 |
as if/as though + S + had p.p. |
마치 ~였던 것처럼 |
e.g. If I had not dared to be risky, // I could never have dared to be great.
만약 내가 감히 위험해지려고 하지 않았다면, // 나는 절대로 훌륭해질 수 없었을 텐데.e.g. If Edison had been born before Gutenberg, // book might have been distributed as sound recordings.
에디슨이 구텐베르크보다 먼저 태어났다면, // 책은 녹음물로 유통되었을지도 모른다.e.g. They used to say // I could have been a professional ballet dancer / if I`d had the training.
그들은 말하곤 했다 // 내가 프로 발레 무용수가 될 수 있었을 거라고 / 만약 내가 훈련을 받았더라면.
S + wish 가정법 과거완료
[S + wish] 가정법 과거완료는 소망 시점보다 소망 내용의 시점이 더 먼저이다.
S + wish 가정법 과거완료 | 의미 |
---|---|
S + wish + S` + had p.p. | (그때) ~이었기를 소망한다 (그때) ~했다면 (지금) 좋을 텐데 |
S + wished + S` + 조동사 과거형 + have p.p. | (그전에) ~이었기를 소망했다,) (그전에) ~했다면 (그때) 좋았을 텐데 |
e.g. I wish / I had expressed my gratitude to my parents / more often.
(~라면) 좋을 텐데 / 내가 부모님께 나의 감사함을 표현했다면 / 더 자주.e.g. The city was so beautiful, // and I really wished / we could have stayed longer.
그 도시는 매우 아름다웠다, // 그리고 나는 정말로 바랐다 / 우리가 더 오래 머물 수 있었기를.
혼합 가정법
if절은 가정법 과거완료이고 주절은 가정법 과거인 경우로, if절과 주절이 가리키는 때가 서로 다른 경우이다.
- If + S` + had p.p. ~, S + 조동사 과거형 + 동사원형
((과거에) 만약 ~했더라면, (지금) …할 텐데)
e.g. If you had taken a different path, // what would you be doing now?
만약 당신이 (과거에) 다른 진로를 택했더라면, // 지금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e.g. If hunter had not killed elephants so cruelly / for food and ivory / for many years, // they would have much larger populations nowadays.
만약 사냥꾼들이 코끼리를 그렇게 잔인하게 죽이지 않았더라면 / 식량과 상아를 얻기 위해 / 오랫동안, // 오늘날 코끼리는 훨씬 더 많은 개체 수를 보유하고 있을 텐데.
if의 생략
if절의 (조)동사가 were, had, should인 경우, if를 생략할 수 있다.
if가 생략되면 주어와 (조)동사가 도치되는데, 이는 매우 격식을 차린 문어체 표현이다.
e.g. If anyone should arrive late, admission is likely to be refused.
혹시라도 누가 늦게 도착하면, 입장이 거부될 것이다.
(= Should anyone arrive late, admission ~.)
as if[though] 가정법 vs 직설법
가정법은 as if 다음에 이어지는 절에도 사용될 수 있다. [S + wish] 가정법과 마찬가지로, as if 가정법 과거는 주절과 동일한 때, 가정법 과거완료는 주절보다 앞선 때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이나 사실일 가능성이 희박한 일에 대한 가정, 상상을 나타낸다. [S + wish] 절과 달리, 직설법도 올 수 있다.
as if[though] 가정법
as if 가정법 | 의미 |
---|---|
S + 동사의 현재형 + as if[though] + S` + 동사의 과거형 | 마치 ~인 것처럼 …한다 |
S + 동사의 과거형 + as if[though] + S` + 동사의 과거형 | 마치 ~인 것처럼 …했다 |
S + 동사의 현재형 + as if[though] + S` + had p.p. | 마치 ~였던 것처럼 …한다 |
S + 동사의 과거형 + as if[though] + S` + had p.p. | 마치 ~였던 것처럼 …했다 |
e.g. I always try to live my life // as if there were no second chances.
나는 항상 내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한다 // 마치 두 번째 기회들이 없는 것처럼.e.g. Some people waste your time // as if they had bought it.
어떤 사람들은 당신의 시간을 낭비한다 // 마치 자기들이 그것을 샀던 것처럼.
as if[though] 직설법
as if[though] 뒤에는 직설법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기에 사실일 가능성이 상당히 있을 때 사용된다.
e.g. Tom acts as if he is very angry.
그는 화가 난 것처럼 행동한다. (실제로 화가 나 있을 것으로 생각할 때)e.g. Tom acts as if he were very angry.
그는 마치 화라도 난 것처럼 행동한다. (화가 나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때)
if only 가정법
if only 가정법은 아주 강한 ‘소망’이나 ‘아쉬움, 후회’를 나타낸다.
if only 가정법 | 의미 |
---|---|
if only + 가정법 과거 | ~이면 좋을 텐데, ~이면 얼마나 좋을까 |
if only + 가정법 과거완료 | ~였다면 좋을 텐데, ~였다면 얼마나 좋을까 |
e.g. If only I could see you again.
널 다시 볼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e.g. If only you had been there!
네가 그 곳에 있기만 했어도! (좋을 텐데.)
if조건절을 대신하는 여러 표현
if가 없지만 가정법인 문장들도 있다. if 또는 if절 대신 쓰이는 아래의 어구들이 조건의 의미를 포함한다. 따라서 if가 없더라도 과거형 조동사가 있으면, 가정법이 아닌지 확인해야 한다.
if조건절을 대신하는 표현 | 의미 |
---|---|
otherwise | 그렇지 않으면 (= if ~ not) |
suppose[supposing] (that) | 만약 ~라면 |
without, but for | 1) (지금) ~이 없다면 (= if it were not for) (= were it not for) 2) (그때) ~이 없었더라면 (= if it had not been for) (= had it not been for) |
It`s (high/about) time (that) + S + 동사의 과거형 |
~해야 할 때다, ~할 시간이다 |
It`s (high/about) time (that) + S + should + 동사원형 |
~해야 할 때다, ~할 시간이다 |
부사(구)에 조건의 뜻이 함축된 경우 | |
주어에 조건의 뜻이 함축된 경우 | |
to부정사 또는 분사구문이 조건을 나타내는 경우 |
e.g. He is a genius in communication. Otherwise, / he would never be my choice for the position.
그는 의사소통의 천재이다. 그렇지 않다면, / 그는 그 자리에 대한 내 선택이 절대 되지 못할 것이다.
(Otherwise = If he were not a genius in communication)e.g. Without music, / life would be a mistake.
음악이 없다면, / 삶은 실수일 것이다.
(= If it were not for music, life would be a mistake.)
(= But for music, life would be a mistake.)e.g. Without the dark, / we would never see the stars.
어둠이 없다면, / 우리는 별을 보지 못할 텐데.
수식어의 이해
형용사적 수식어 1
형용사적 수식어는 명사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나, 수식어구가 길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명사 뒤에 위치하는 경우도 많다.
e.g. a good friend
e.g. anice
green
table
e.g. a friend kind, considerate, and thoughtful
e.g. alittle
cheaper
pants (little은 부사)형용사적 수식어의 위치
영어에서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어구가 명사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한다.e.g. the latest information available
이용 가능한 최신 정보
형용사적 수식어의 여러 형태
형용사적 수식어의 형태 | 예문 |
---|---|
명사 + 형용사(구) | a friend kind and thoughtful 친절하고 사려 깊은 친구 practical methods 실현 가능한 방법들 |
명사 + 전명구 | a friend from New York 뉴욕에서 온 친구 the fruits on the shelf 선반 위의 과일들 |
명사 + to-v | a friend to help me 나를 도와줄 친구 more work to do 해야 할 더 많은 일 |
명사 + v-ing | a friend waiting for me 나를 기다리고 있는 친구 food containing vitamin E 비타민 E를 포함한 음식 |
명사 + p.p. | a friend loved by everyone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는 친구 the display products 전시된 제품들 |
명사 + 관계사절 | a friend who lives next door 옆집에 사는 친구 the animals that live on land 육지에 사는 동물들 |
형용사(구)의 수식
- 형용사는 대개 명사 앞에 오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명사 뒤에 온다.
- 수식을 받는 명사가 -thing, -body, -one으로 끝날 때
- 형용사가 전명구 등의 수식어구를 동반하여 길 때
- 형용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전명구는 항상 명사 뒤에서 수식한다. 한편, 형용사(구)가 주어를 수식하는 경우 동사와의 수일치에 주의한다.
e.g. Having someone special in your life / is a true blessing.
당신의 인생에 특별한 누군가가 있다는 것은 / 진정한 축복이다.e.g. A bird [in the hand]. is worth two [in the bush].
한 마리 새가 [손 안의] / 두 마리만큼의 가치가 있다 [덤불 속의].
형용사 위치에 따른 의미 변화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올 때와 뒤에 올 때 의미가 달라지는 것에 주의하자
형용사가 명사 앞에 올 때 | 형용사가 명사 뒤에 올 때 |
---|---|
the concerned parents 걱정하는 부모들 |
the parents concerned (with) (~에) 관련된 부모들 |
the present principal 현직 교장 |
the principal present (at) (~에) 참석한 교장 |
the responsible boy 책임감이 있는 소년 |
the boy responsible (for) (~에 대해) 책임이 있는 소년 |
to-v의 형용사적 수식
to-v는 항상 명사 뒤에서 그 명사를 수식한다. 주로 ‘v할 ~, v해야 할 ~, v할 수 있는 ~’으로 해석된다.
수식받는 명사와 to-v의 관계 | 예문 |
---|---|
명사가 to-v의 의미상 주어 | I need a good friend to give me advice. 나는 내게 충고를 해줄 수 있는 좋은 친구가 필요하다. |
명사가 to-v의 의미상 목적어 | Do you need more work to do? 할 일이 더 필요하세요? |
명사와 to-v가 동격 | She didn`t keep the promise to help me. 그녀는 나를 도와주기로 한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
to-v가 명사를 수식 | I have no time to watch TV this week. 나는 이번 주에 TV를 볼 시간이 없다. |
e.g. Let me have time [to think about your suggestion].
내게 시간을 좀 줘 [네 제안에 대해 생각해 볼].e.g. I had a lot of school and friend issues [to deal with] / last month.
나는 학교 및 친구 문제가 많았다 [처리해야 할] / 지난달에.e.g. Don`t let the noise of others` opinions / drown out your own inner voice. Have the courage [to follow your heart and intuition].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라는 소음이 (~하도록) 하지 마라 / 당신 자신의 마음속 목소리를 안 들리게 하도록. 용기를 가져라 [당신의 마음과 직관을 따를].
[명사 + to-v] 해석의 주의사항
[명사 + to-v]의 to-v가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으로 쓰일 수도 있으므로 해석에 주의한다.
e.g. She raised her right hand to ask a question.
그녀는 질문하기 위해서 오른손을 들었다.
자주 쓰이는 형용사적 [to-v + 전치사] 표현
to-v + 전치사 | 예문 |
---|---|
to sit on | a chair to sit on 앉을 의자 |
to live in | a house to live in 살 집 |
to talk to | someone to talk to 얘기할 사람 |
to be afraid of | nothing to be afraid of 두려워할 아무것도 아닌 것 |
to write with | a pen to write with 쓸 펜 |
to ride in | a bus to ride in 탈 버스 |
to write on | a piece of paper to write on 쓸 종이 |
분사(v-ing, p.p.)의 형용사적 수식
분사의 경우, 단독으로 쓰일 때는 명사 앞에서, 다른 어구(목적어, 보어, 부사 등)를 동반할 때는 명사 뒤에서 수식한다. 현재분사는 ‘능동, 진행’의 의미, 과거분사는 ‘수동, 완료’의 의미를 나타낸다.
v-ing의 형용사적 수식
v-ing가 단독일 때는 명사 앞에, 다른 어구(목적어, 보어, 부사 등)를 동반할 때는 명사 뒤에 온다.
‘v하는 ~, v하고 있는 ~’ 등으로 해석하며 능동, 진행의 의미를 나타낸다.
e.g. A barking dog seldom bites.
짖는 개는 좀처럼 물지 않는다.e.g. Anyone [attending the seminar] / should register in advance.
세미나에 참석하는 누구나 / 사전에 등록해야 한다.e.g. A surprising result [from the marketing report] shows // that nearly two out of every three college students / never scan the QR codes [found on ads].
놀라운 결과는 [마케팅 보고서의] (~을) 보여준다 // 거의 대학생 3명 중 2명이 / QR 코드를 전혀 스캔하지 않는다는 것을 [광고에서 발견되는].
자주 쓰이는 [v-ing(현재분사) + 명사] 표현
v-ing(현재분사) + 명사 | 예문 |
---|---|
demanding + 명사 | a demanding course 어려운 과목 |
inviting + 명사 | an inviting prospect 매력적인 전망 |
striking + 명사 | a strikng difference 현저한 차이 |
overwhelming + 명사 | an overwhelming victory 앞도적인 승리 |
understanding + 명사 | an understanding mother 이해심이 많은 어머니 |
insulting + 명사 | an insulting remark 모욕적인 발언 |
rewarding + 명사 | a rewarding job 보람 있는 직업 |
loving + 명사 | a loving smile 사랑스러운 미소 |
p.p.의 형용사적 수식
타동사의 p.p.가 명사를 수식할 때는 수동(v되어진)을, 자동사의 p.p.가 수식할 때는 완료(v된)를 대부분 나타낸다. 동사의 과거형과 p.p.의 형태가 서로 같을 경우(e.g. made-made), 명사를 수식하는 p.p.를 문장의 동사로 잘못 판단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e.g. Life is a journey, / not a guided tour.
인생은 여정이다, / 안내를 받는 관광이 아니라.e.g. Only a life [lived for others] / is a life worthwhile.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산 인생만이 / 가치 있는 삶이다.
자주 쓰이는 [p.p.(과거분사) + 명사] 표현
p.p.(과거분사) + 명사 | 예문 |
---|---|
developed[advanced] | developed[advanced] countries 선진국 |
endangered | endangered species 멸종 위기에 처한 (동, 식물의) 종 |
finished | finished products 완제품 |
frozen | frozen food 냉동식품 |
limited | limited capacity 한정된 수용 능력 |
attached | an attached file 첨부 파일 |
fallen | fallen leaves 낙엽 |
fixed[marked] | a fixed[marked] price 정찰가 |
registered | registered mail 등기우편 |
broken | broken heart 상처받은 마음 |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의 역할을 하면서 형용사절을 이끌어 그 앞의 명사, 즉 선행사를 수식한다.
명사(선행사)
+관계사 + (S) + V ~
관계사절에서의 역할에 따라 관계대명사를 주격, 소유격, 목적격으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선행사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
사람 | who / that | whose | whom / that |
동물, 사람 | which / that | whose / of which | which / that |
e.g. A man [who does not know a foreign language] / is ignorant of his own.
(~하는) 사람은 [외국어를 모르는] / 그 자신의 것(언어)에도 무지하다.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부사절
관계부사 when, where, why, how는 그 앞에 오는 명사(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을 이끈다. 관계 부사 how와 그 선행사 the way는 둘 중 하나가 반드시 생략된다. 관계부사 대신 that을 쓸 수도 있는데 특히 when, how를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선행사 | 관계부사 |
---|---|
시간 (the time) | when / that |
장소 (the place) | where / that |
이유 (the reason) | why / that |
방법 (the way) | how / that |
e.g. There will be times [when you are very busy] / and other times [when it is quieter], // so please be prepared to be flexible.
(~할) 때가 있을 것이다 [당신이 아주 바쁠] / 그리고 다른 때도 (있을 것이다) [더 한산할], // 그러므로 부디 유연할 수 있도록 준비하라.
형용사적 수식어 2
관계사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형용사절을 이끌어 앞의 명사, 즉 선행사를 수식, 한정하는 것이다.명사(선행사)
+관계사 + (S) + V ~
- 이 챕터에서는 독해에서 특히 유의해야 할 다음과 같은 사항들에 대해 알아본다.
- 관계사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
- [전치사 + 관계대명사]의 형태
- 선행사가 관계사 바로 앞에 있지 않은 경우
- 관계사절이 두 개 이상인 경우
- 관계사절이 선행사를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보충 설명하는 경우
관계사의 생략
-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which, that은 종종 생략된다.
- 관계부사 when, why도 종종 생략된다
- the way를 선행사로 하는 관계부사 how는 반드시 생략된다.
따라서 (대)명사 다음에 [S + V ~]의 형태가 이어지면, 그 사이에 있던 관계사가 생략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주격 관계대명사 뒤에 be동사가 올 경우, 해당 관계대명사와 be동사를 함께 생략할 수 있다. 이때 뒤에는 형용사구나 분사구만 남아 앞의 선행사를 수식한다.
(대)명사
+(관계사) + S + V ~
e.g. You must cite / the author [(whom)you are quoting _] // whether you are directly quoting the author / or paraphrasing the quote.
당신은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 저자를 [인용하고 있는 (문구의)] // 당신이 저자(의 문구)를 직접적으로 인용하고 있는지 / 혹은 인용구를 다른 말로 바꾸어 쓰든지.
전치사 +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관계사절 내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전치사는 관계대명사 바로 앞이나 관계사절의 끝에 온다. 구어체에서는 전치사를 보통 관계사절 끝에 두며 whom 대신에 who를 쓴다. 이때 who(m)은 생략할 수 있다.
… the girl about whom I told you
… the girl (who(m)) I told you about
- 전치사 뒤에 whom 대신 who를 쓸 수 없음에 주의한다.
e.g. She is the person with whom I work. (O) (~ with who (X))
그녀는 내가 함께 일하는 사람이다.
e.g. In science, / the credit goes to the man [who convinces the world], / not the man [to whom the idea first occurs].
과학에서, / 공로는 (~한) 사람에게 주어진다 [세상을 설득한], / (~한) 사람이 아니라 [아이디어가 처음 떠오른].
(= …, not the man (who(m)) the idea first occurs to.)
선행사와 떨어져 있는 관계사
선행사는 관계사의 바로 앞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떨어져 있는 경우도 있다. 관계사절은 선행사를 수식하는 것이므로, 바로 앞에 선행사가 될 만한 명사가 없으면 문맥을 잘 살펴서 절 안의 명사들 중에 관계사절이 수식하고 있는 것을 찾는다. 바로 앞에 명사가 있을 경우에도 무조건 선행사로 간주하지 말고, 문맥상 관계사절이 수식하고 있는 것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e.g. If
technology
is created [that uses less energy], // that should have / the same basic effect / as increasing the total amount of energy available.
(~한) 기술이 만들어진다면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 그것은 (~을) 가질 것이다 / 똑같은 기본적 효과를 / 사용 가능한 에너지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과.
복잡한 관계사절
하나의 문장 안에도 두 개 이상의 관계사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관계사절의 선행사는 각각 다를 수도 있고 같을 수도 있다.
- 각각의 선행사와 연결되는 관계사가 하나씩 있는 경우
선행사1 관계사1 선행사2 관계사2- 두 개의 관계사절이 동일한 선행사를 가질 경우
선행사1,2 관계사1 관계사2
각각의 관계사절이 수식하는 선행사가 무엇인지를 알아낼 때는 앞서 배운 바와 같이 문맥에 따라 수식관계를 확인하면 된다.
두 개의 관계사절이 동일한 선행사를 가질 경우, 접속사나 콤마(,)로 연결되기도 하고 접속사 없이 연결되기도 한다. 접속사 없이 연결될 때 처음의 관계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e.g. Second-hand smoke is // the smoke inhaled by
people
[who are not themselves smoking] / but [who are near others [who are smoking]].
간접흡연은 ~이다 // (~한) 사람들에 의해 들이마셔진 연기 [그들 자신은 담배를 피우고 있지 않은] / 하지만 [(~한) 다른 사람들 근처에 있는 [담배를 피우고 있는]].
관계대명사 뒤에 [S + V]가 삽입되는 경우
관계대명사 뒤에 [S + V]가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삽입절 [S + V]를 괄호로 묶어두면, 문장의 구조를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자주 삽입되는 어구 : S + think[believe, suppose, hear]
e.g. We vote for
the person
[who(we think)
expresses our interests best].
우리는 (~한) 사람에게 투표한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우리의 이익을 가장 잘 표현하는].
보충 설명하는 관계사절
관계사는 선행사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을 이끌기도 한다. 관계사 앞에 콤마(,)가 있으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대부분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해석하며, [접속사 + 대명사]로 풀어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선행사, who / which ~
그리고[그런데] 그 사람은 / 그것은 ~선행사, where / when ~
그리고[그런데] 거기서 / 그때 ~e.g. A person eats / around 60,000 pounds` worth of food / during his life, // which is the equivalent of six elephants.
한 사람은 먹는데 / 약 6만 파운드에 달하는 음식을 / 평생 동안, // 이는 코끼리 여섯 마리(의 무게)에 상응하는 것이다.
which는 앞에 나온 단어뿐 아니라 어구나 절도 선행사로 할 수 있다.
e.g. The secret of genius is / to carry the spirit of the child into old age, // which means / never losing your enthusiasm.
천재성의 비결은 ~인데 / 어린아이의 마음을 노년으로 가져가는 것, // 그것은 의미한다 / 당신의 열정을 절대 잃지 않는 것을.
-> (문맥상 which ~가 보충 설명하는 선행사는 to carry the sprit of the child into old age이다.)
선행사의 수식과 보충 설명 간의 차이
콤마가 없는 관계사절
선행사를 명확히 한정하여 선행사 이해에 필수적인 정보이다. 즉 선행사가 누구 또는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그 정보가 필요하다.
He is the man. (?)
그는 그 남자이다.He is the man who lives next door. (O)
그는 옆집에 사는 남자이다.
콤마가 있는 관계사절
추가적인 의미로서 선행사 이해에 필수적인 정보는 아니다. 즉 선행사가 누구 또는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그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
He is an old friend of mine, who didn`t recognize me.
그는 내 오랜 친구인데, 나를 알아보지 못했다.
주의해야 할 점
선행사만으로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명백한 것은 콤마 없는 관계사절과 같이 쓸 수 없다.
[1] I have seen the Eiffel Tower, which was built in 1889. (O)
[2] I have seen the Eiffel Tower which was built in 1889. (X)
즉, [2]는 여러 개의 에펠탑이 있다는 전제하에 그중에서 1889년에 세워진 것을 보았다고 하는 의미가 되므로 사실과 맞지 않아 쓸 수 없다.콤마의 유무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는 것을 독해할 때 유의하자.
[1] His brother, who works at the supermarket, is a friend of mine.
그의 남동생이 슈퍼마켓에서 일하는데, 내 친구이다.
-> 그는 남동생이 한 명이고, 그 남동생이 슈퍼마켓에서 일하는 것이다.
[2] His brother who works at the supermarket is a friend of mine.
슈퍼마켓에서 일하는 그의 남동생이 내 친구이다.
-> 그는 남동생이 둘 이상이고, 내 친구는 그중에 슈퍼마켓에서 일하는 사람이다.
점검하기
다음 1, 2의 문장의 의미와 연결되는 것을 보기에서 찾으시오
- We will raise 1,000,000 won for local charities, which help those in need.
- We will raise 1,000,000 won for local charities which help those in need.
[보기]
a. All the local charities help those in need.
b. Some of the local charities help those in need. There are other local charities as well as these.
[정답]
1. a
2. b
[해설]
1. 우리는 형편이 어려운 이들을 돕는 지역 자선단체들을 위해 100만 원을 모금할 것이다.<br/>
-> 지역 자선 단체들 중 형편이 어려운 이들을 돕는 것이 아닌 다른 일을 하는 단체도 있음.<br/><br/>
2. 우리는 지역 자선단체들을 위해 100만 원을 모금할 것인데, 그 단체들은 형편이 어려운 이들을 돕는다.<br/>
-> 지역 자선단체들은 모두 형편이 어려운 이들을 도움.
부사적 수식어
- 부사적 수식어의 종류 : 부사, 전명구, to-v, 분사구문
- 부사적 수식어의 역할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 구, 절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즉, 명사 이외의 모든 것을 수식할 수 있다.
수식 대상 | 예문 |
---|---|
동사 수식 | Please read the instructions carefully. |
형용사 수식 | You look so beautiful tonight. |
부사 수식 | The car was running very fast . |
구 수식 | They won a few games early in the season . |
절 수식 | I agreed, but only because I was frightened . |
문장 전체 수식 | Fortunately, I arrived in time . |
- 부사의 기능
부사의 기능을 딱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차라리 명사, 형용사, 동사, 전치사의 기능에 속하지 않는 모든 것을 ‘부사’로 생각하는 것이 더 쉽다. 특히 전명구, to-v 등의 경우 정확히 무엇을 수식하는지 모호한 때도 있다.
그러므로 아래 표처럼, 부사구와 부사절은 수식의 역할보다 그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통이다.
부사 / 전명구 | to-v | 분사구문 | 부사절 |
---|---|---|---|
시간 | 목적 | 동시 동작 | 시간 |
장소 | 감정의 원인 | 연속 동작 | 원인 |
방법 | 판단의 근거, 이유 | 결과 | 조건 |
빈도 | 결과 | 원인 | 양보 |
정도 | 조건 | 조건 | 목적 |
원인 | 정도 | 양보 | 결과 |
이유 | 한정(형용사 수식) | 양태 | |
결과 |
- 이 챕터에서는 부사(구)와 to-v(부사 역할)를 학습한다. 부사 역할을 하는 to-v는 여러 의미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문맥을 잘 살피는 것이 필수적이다.
부사(구)의 수식
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구, 절 또는 문장 전체를 수식한다. 대개 시간, 장소, 방법, 빈도, 정도, 원인, 이유 등을 나타내며, 전명구도 부사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 동사 수식 : 동작이 어떤 식으로 행해지는지를 나타낸다.
종류 | 부사 |
---|---|
상태 | slowly, carefully 등 |
시간 | now, yesterday, later 등 |
장소 | here, there, everywhere 등 |
빈도 | always, often 등 |
정도 | greatly, completely, really, almost 등 |
형용사, 부사 수식 : 수식하는 형용사, 부사 가까이 위치하며 그 의미를 더하여 준다.
(very, quite 등)문장 수식 : 주로 말하는 이의 태도나 판단을 의미한다.
(unfortunately, luckily, surely 등)
e.g. Now / he has completely finished the work / by himself.
지금 / 그는 그 일을 완전히 끝냈다 / 혼자 힘으로.e.g. If the climate continues to warm / at the current rate, // polar bears could
disappear
completely / in the next hundred years.
기후가 계속해서 따뜻해진다면 / 현재 속도로, // 북극곰들은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 / 향후 100년 내에.
부사절
- 부사절이란?
주절에 대한 부사적 수식어를 말한다. 부사의 기능적(동사, 형용사, 다른부사, 문장 전체 수식) 측면에서 생각하여 수식 관계를 따지기보다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의미를 기반으로 부사절과 주절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좋다. -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의 의미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그 내용에 따라 시간, 원인, 조건, 양보, 목적, 결과, 양태 등으로 나뉘며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유형 |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
시간 | when, while, as, since, until, before, after 등 |
이유, 원인 | because, since, as 등 |
조건 | if, unless 등 |
양보, 대조 | though, although, even though, (even) if 등 |
목적, 결과 | so that, so ~ that …, such ~ that …등 |
양태 | as, as if 등 |
시간의 부사절
시간의 부사절 | 의미 |
---|---|
when | ~할 때 |
while | ~하는 동안 |
as | ~하면서 |
since | ~한 이래로 |
until | ~할 때까지 |
not A until B | B할 때까지 A 하지 않다, B하고 나서야 비로소 A하다 |
once | ~하자마자, 일단 ~하면 |
before | ~하기 전에 |
after | ~하고 나서 |
as soon as | ~하자마자 |
no sooner ~ than … (= hardly[scarcely] ~ when …) |
~하자마자 |
the moment[the minute, the instant] | ~하는 순간에 |
by the time | ~할 때까지(는), ~할 무렵에는 |
every time[each time] | ~할 때마다 (= whenever) |
as[so] long as | ~하는 동안 |
it will not be long before ~ | 머지않아 ~할 것이다 |
e.g. When the well is dry, // we know the worth of water.
우물이 마를 때, // 우리는 물의 가치를 알게 된다.e.g. We do not know the value of health // until we lose it.
우리는 건강의 가치를 알지 못한다 // 우리가 그것을 잃을 때까지.e.g. As soon as the fear approaches near, // attack and destroy it.
두려움이 가까이 다가오면 바로, // 그것을 공격하여 없애버려라.
이유, 원인의 부사절
이유, 원인의 부사절 | 의미 |
---|---|
because / since / as | ~이기 때문에 |
now (that) | (지금) ~이므로, ~이기 때문에 |
seeing (that) | ~이므로, ~이라는 점에서 보면 |
that ~ | ~이므로, ~때문에 |
e.g. A bad plan is better than no plan // because it can be improved.
좋지 않은 계획이 무계획보다 낫다 // 그것은 개선될 수 있기 때문에.
조건의 부사절
조건의 부사절 | 의미 |
---|---|
if | 만약 ~라면 |
unless | 만약 ~이 아니라면 (= if ~ not) |
in case (that) | 만약 ~인 경우에는 (= if) |
suppose (that), supposing (that), provided (that), providing (that) | 만일 ~하면 (= if) |
as[so] long as | ~하는 한, ~하기만 하면 |
e.g. I`d rather sit down, // if you don`t mind.
저는 앉고 싶습니다, // 당신이 싫어하지 않으시면.e.g. People rarely succeed // unless they have fun / in what they are doing.
사람들은 좀처럼 성공하지 못한다 // 그들이 즐겁지 않으면 / 그들이 하고 있는 것에서.
양보, 대조의 부사절
양보, 대조의 부사절 | 의미 |
---|---|
(even) though, although | 비록 ~이지만, ~에도 불구하고 |
(even) if | 비록 ~일지라도, ~이든 아니든 |
whether A or B | A이든 B이든 |
형용사[부사, 명사] + as + S + V | 비록 ~이지만 |
whoever, whichever, whatever | 누가[어느 쪽을, 무엇을] ~하더라도 (= no matter who[which, what]) |
whenever, wherever, however | 언제[어디서, 아무리] ~하더라도 (= no matter when[where, how]) |
while | ~인 반면에 (= whereas) |
e.g. Although the world is full of suffering, // it is full also of the overcoming of it.
비록 세상은 고난으로 가득하지만, // 고난의 극복으로도 가득하다.e.g. Whether our experiences were good or bad, // it`s better to see the positive side of them.
우리의 경험이 좋았든 나빴든, // 그것들의 긍정적인 면을 보는 것이 더 낫다.e.g. However humble it may be, // there is no place like home.
아무리 초라하다 할지라도, // 집과 같은 곳은 없다.
(= No matter how humble it may be, // there is no place like home.)e.g. The left brain analyzes the parts // while the right looks at the whole.
좌뇌는 부분들을 분석한다 // 반면에 우뇌는 전체를 본다.
형용사[부사, 명사] + as + S + V
- 형용사[부사, 명사] + as + S + V
= Though + S + V + 형용사[부사, (a/an) + 명사]
도치된 as 구문에서는 명사가 문두에 올 때 관사가 붙지 않지만, though를 써서 보통의 부사절 어순으로 고쳐 쓰면 관사가 붙는다.
even though와 even if 차이
even though(비록 ~이지만)와 even if(비록 ~일지라도)는 흔히 같은 의미로 설명되지만, 정확히 말하자면 다음과 같은 의미 차이가 있다.
even though와 even if 차이 | 의미 | 예문 |
---|---|---|
even though + 사실 | (~이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 despite the fact) | You should visit Vienna even though it is expensive. 비록 물가가 비싸지만(= 비싼 물가에도 불구하고), 너는 비엔나를 방문해봐야 한다.) -> 화자는 이미 비엔나 물가가 비싸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 |
even if + 가정 | ~이든 아니든 (= whether or not) | You should visit Vienna even if it is expensive. 비록 물가가 비싸더라도(= 비싸든 싸든), 너는 비엔나를 방문해봐야 한다. -> 화자는 비엔나가 물가가 싼지 비싼지 모르는 상태 |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문장에는 even if가 알맞다.
e.g. Even if he wins ten million dollars, he won`t be happy.
그가 천만 달러를 얻는다 할지라도,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
목적의 부사절
목적의 부사절 | 의미 |
---|---|
so that = so | ~하기 위해서, ~하도록 (= in order that) |
lest[for fear (that)] + S + (should) + V | ~하지 않기 위해서, ~하지 않도록 <문어체> |
in case (that) | ~할 경우에 대비하여 |
e.g. Accept the challenges // so that you can feel the exhilaration of victory.
도전을 받아들여라 // 당신이 승리의 흥분을 느낄 수 있도록.
결과의 부사절
결과의 부사절 | 의미 |
---|---|
so + 형용사[부사] ~ (that) … | 아주 ~해서 …하다 |
such (a/an) + (형용사) + 명사 ~ that … | 아주 ~해서 …하다 |
~(,) so (that) | 그래서, ~하여 |
e.g. She was so tired // that she couldn`t move even a finger.
그녀는 너무 피곤해서 // 손가락 하나조차 움직일 수 없었다.
양태의 부사절
양태의 부사절 | 의미 |
---|---|
as | ~처럼, ~이듯이, ~대로 |
as if | 마치 ~인 것처럼 (= as though) |
(just) as ~, so … | (꼭) ~인 것처럼 …하다 |
the way | ~처럼 |
e.g. Do to others // as you would have them do to you.
다른 사람들에게 하라 // 그들이 당신에게 해주길 바라는 대로.e.g. As you sow, // so shall you reap.
뿌리는 대로, // 거둘 것이다.
독해에 부사절이 걸림돌이 되는 이유
독해에 부사절이 걸림돌이 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하나의 접속사가 두 가지 이상의 의미로 쓰일 수 있다.
- 형태가 비슷하여 의미 혼동을 가져오는 것들이 있다.
- 접속사가 아닌, 다른 품사 형태로 착각할 만한 것들이 있다.
여러 의미를 가지고 있는 접속사
우선 각 접속사가 나타낼 수 있는 여러 의미를 숙지하고 주절과 부사절의 문맥을 살펴서 논리관계에 알맞게 해석하면 된다.
여러 의미를 지닌 접속사 | 의미 |
---|---|
when | [1] ~인 때[경우]에, ~이라면 (= if) [2] ~임에도 불구하고 (= although); ~인데 |
while | [1] ~하는 동안 [2] ~하는 반면에 (= whereas) <대조> |
as | [1] ~할 때, ~하면서 [2] ~이기 때문에 [3] ~처럼, ~이듯이, ~대로 [4] ~함에 따라서 [5] 비록 ~이지만 (형용사[부사, 무관사 명사] + as + S + V) |
since | [1] ~한 이래로 [2] ~이기 때문에 |
if | [1] 만약 ~라면 <조건> [2] 비록 ~일지라도 (= even if) [3] ~인지 아닌지 (= whether) <명사절> |
e.g. Most people choose to drive // when they know / their destination is within walking distance.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전하기를 선택한다 // 그들이 알면서도 / 목적지가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인 것을.e.g. while one person hesitates / because he feels inferior, // another person is busy / making mistakes and becoming superior.
어떤 사람은 머뭇거리는 반면에 / 열등감을 느끼기 때문에, // 다른 사람은 (~하느라) 바쁘다 / 실수를 저지르고 우수해지느라.e.g. When you take a man / as he is, // you make him worse. When you take a man / as he can be, // you make him better.
당신이 한 사람을 받아들일 때 / 있는 그대로, // 당신은 그를 더 좋지 않게 만든다. 당신이 한 사람을 받아들일 때 / 그가 될 수 있는 바대로, // 당신은 그를 더 낫게 만든다.e.g. People are lonely // since they build walls instead of bridges.
사람들은 외롭다 // 그들이 다리 대신 벽을 쌓아 올리기 때문에.e.g. If a man is proud of his wealth, // he should not be praised / until it is known / how he employs it.
어떤 사람이 자신의 부에 대해 자랑스러워한다고 해도, // 그는 칭찬받아서는 안 된다 / 알려질 때까지는 / 그가 어떻게 그것을 쓰는지.
해석에 주의해야 할 when
[주절 + when ~] 형태인 문장에서 주절의 동사가 다음과 같을 경우, ‘…이었는데 (바로) 그때 ~했다’로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해석해야 자연스러울 때가 있다.
- be v-ing 진행형
- be ready[about] to-v
e.g. I was taking my holiday in Paris when her husband died.
내가 파리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이었는데 그때 그녀의 남편이 사망했다.e.g. I was about to leave when the clerk called me back.
내가 막 떠나려던 참이었는데 바로 그때 점원이 나를 다시 불렀다.
as의 다양한 의미
as 뒤에 명사가 오면 전치사, [S + V] 형태의 절이 오면 접속사로 쓰인 것이다. as는 다양한 뜻이 있어서 문맥을 잘 살펴 적절한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
as의 다양한 의미 | 예문 |
---|---|
전치사 : ~로서 | He is famous as an English lecturer. 그는 영어 강사로서 유명하다. |
접속사 : ~할 때 | As we were having dinner, the doorbell rang. 우리가 저녁 식사를 하고 있을 때 초인종이 울렸다. |
접속사 : ~이기 때문에 | As it`s snowing, you should carry tire chains in your car. 눈이 내리고 있기 때문에 타이어체인을 차에 챙겨놔야 해. |
접속사 : ~처럼, ~이듯이 | Life has its sorrows, as every rose has its thorns. 모든 장미에 가시가 있듯이 인생에도 슬픔이 있다. |
접속사 : ~함에 따라서 | She becomes wiser as she gets older. 그녀는 나이가 들면서 더 현명해지고 있다. |
접속사 : 비록 ~일지라도 | Strange as it may sound, I`ve never thought that I want to be rich. 비록 이상하게 들릴지라도, 나는 부자가 되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다. |
접속사 : ~만큼 | He has as much money as I do. 그는 나만큼 돈이 많다. |
형태가 비슷해서 혼동될 수 있는 접속사
접속사 | 의미 |
---|---|
so that = so (that) | ~하기 위해서, ~하도록 (= in order that) |
so + 형용사•부사 + that … | 아주 ~해서 …하다; …할 정도로 ~하다 |
such + (a/an) + (형용사) + 명사 + that … | 아주 ~해서 …하다; …할 정도로 ~하다 |
…(,) so (that) ~ | …하다, 그래서 ~하다 |
as if | 마치 ~인 것처럼 |
if, even if | 비록 ~일지라도, ~이든 아니든 |
though, although, even though | 비록 ~이지만, ~에도 불구하고 |
e.g. During World War 1, Marie Curie persuaded wealthy people to donate their cars // so that mobile X-ray machines / could be used to locate bullets / in wounded soldiers.
제1차 세계대전 동안, / 마리 퀴리는 부유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차를 기부하도록 설득했다 // 이동식 X선 기계가 / 총알의 위치를 찾는 데 이용될 수 있도록 / 부상당한 병사들에게서.e.g. There are two ways to live; you can live / as if nothing is a miracle; / you can live / as if everything is a miracle.
(삶을) 사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당신은 살 수 있다 / 아무것도 기적이 아닌 것처럼, / (또는) 살 수 있다 / 모든 것이 기적인 것처럼.
특이한 형태의 접속사
명사, 부사, 동사, v-ing, p.p., 전명구 등의 형태로서 접속사 역할을 하는 것들이다. 엄격한 의미로는 접속사가 아니라 접속사 상당어구 또는 대용어구로 보기도 하지만 편의상 접속사로 구분하여 알아두자.
접속사 (상당어구 or 대용어구) | 의미 |
---|---|
the moment | ~하자마자 (= as soon as, the minute, on v-ing, no sooner ~than …, hardly[scarcely] ~ when …) |
by the time | ~할 무렵에는; ~할 때까지는 |
every[each] time | ~할 때마다 (= whenever) |
seeing (that) | ~이므로, ~이라는 점에서 보면 (= because, considering that, in that) |
once | ~하자마자; 일단 ~하면 |
now (that) | ~이므로, ~이기 때문에 |
suppose, supposing, provided, providing (that) | 만일 ~하면 (= if) |
(just) the way | ~처럼 |
in case (that) | 만약 ~인 경우에는 (= if); ~인 경우에 대비해서 |
e.g. There is an expiry date / on blaming your parents / for steering you in the wrong direction; // the moment you are old enough to take the wheel, / responsibility lies with you.
만기일이 있다 / 부모님을 탓하는 것에는 / 당신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끄는 것에 대해 // 당신이 운전대를 잡을 만틈 나이가 들자마자, / 책임은 당신에게 있다.e.g. Seeing that the amount of money involved is huge, // it is not surprising / that top-selling beverages have / advertising budgets [in excess of one billion dollars].
관련된 자금의 양이 막대하다는 점에서 보면, // (~하는 것이) 놀랍지 않다 / 가장 잘 팔리는 음료수들이 (~을) 가진다는 것이 / 광고 예산을 [10억 달러 이상의].
해석에 주의해야 할 기타 접속사
접속사 | 의미 |
---|---|
no sooner ~ than … | ~하자마자 …하다 |
hardly[scarcely] ~ when … | ~하자마자 …하다 |
not because ~, but because … | ~대문이 아니라, … 때문에 |
whether A or B | <부사절> A이든 B이든 <명사절> A인지 B인지 |
(just) as ~, so … | (꼭) ~인 것처럼 …하다 |
as[so] long as | <시간> ~하는 동안 <조건> ~하는 한; ~하기만 하면 (= on condition that, only if) |
it will not be long before ~ | 머지않아 ~할 것이다 |
just[only] because ~ not … | ~이라고 해서 … 아니다 |
unless | 만약 ~이 아니라면 (= if ~not); ~한 경우[때] 외에는 |
not A until B | B할 때까지 A하지 않다, B하고 나서야 비로소 A하다 |
for | <등위접속사> 그 이유는 ~이기 때문에 |
whoever, whichever, whatever | 누가[어느 쪽을, 무엇을] ~하더라도 (= no matter who[which, what]) |
whenever, wherever, however | 언제[어디서, 아무리] ~하더라도 (= no matter when[where, how]) |
e.g. No sooner had the pianist finished his performance // that the audience gave him a big hand.
피아니스트가 공연을 마치자마자 // 청중은 그에게 큰 박수를 보냈다.e.g. Sharks continue to produce new teeth / as long as they are alive, // which is / why shark teeth can often be found washed onto beaches.
상어는 계속 새 이빨을 만들어낸다 / 그것들이 살아 있는 동안, // 그리고 이것이 ~이다 / 상어의 이빨이 해변으로 밀려와 종종 발견될 수 있는 이유.
cf. It doesn`t matter / if the guy is perfect or the girl is perfect, // as long as they are perfect for each other.
(~은) 중요하지 않다 / 남자가 완벽한지 또는 여자가 완벽한지는, // 그들이 서로에게 완벽하기만 하면.e.g. Whatever the good or bad things in your life are, // they are bound to change.
당신의 삶에 어떤 좋은 일이나 나쁜 일이 있더라도, // 그것들은 바뀔 가능성이 크다.
before의 해석
- ~하기 전에
e.g. Do it before you forget.
잊어버리기 전에 그걸 해. - ~하기까지
e.g. It took some time before I realized the truth.
내가 그 진실을 깨닫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렸다.
to-v의 부사적 수식
to-v의 부사적 수식 <목적>
to-v가 부사의 역할을 할 때는 ‘v하기 위해서, v하도록’이란 목적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가장 많다. 목적의 의미를 명확히 하거나 강조하기 위해서 to-v 앞에 in order나 so as를 덧붙이기도 한다.
e.g. To learn anything new, / you have to have an open mind.
새로운 어떤 것을 배우기 위해서, / 당신은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e.g. Attempt the impossible / in order to improve your work.
불가능한 것을 시도해라 / 당신의 일을 향상시키기 위해서.e.g. To think creatively, // we must be able to look afresh at / what we normally take for granted.
창의적으로 생각하기 위해서, // 우리는 (~을) 새롭게 볼 수 있어야 한다 / 우리가 보통은 당연히 여기는 것을.
to-v의 부사적 수식 <원인>
구문 | 예문 |
---|---|
감정을 나타내는 어구 + to-v (v해서) <주로 그 감정의 원인> |
I was shocked + to hear the news.그 뉴스를 듣고서 나는 충격 받았다. |
e.g. I`m really sorry / to hear that.
나는 정말 유감이야 / 그 말을 듣게 돼서.e.g. Students were no doubt relieved / to hear that it was the last subject of this lecture.
학생들은 확실히 안도했다 / 그것이 이 강의의 마지막 주제라는 것을 듣고서.
to-v의 부사적 수식 <판단의 근거>
구문 | 예문 |
---|---|
판단이나 추측의 내용 + to-v (v하다니, v하는 것을 보니) <그 이유나 근거> |
He was foolish + to give up writing English essays.영어 수필 쓰는 것을 포기하다니 그는 어리석었다. |
e.g. They must be crazy / to believe such nonsense.
그들은 미쳤음이 틀림없다 / 그런 터무니없는 말을 믿는 것을 보니.e.g. You were considerate to provide help, since it took days for me / to make my last mobile-friendly website.
도움을 주다니 당신은 사려 깊었다. // 나에게 수일이 걸렸기 때문에 / 지난번 모바일에 적합한 웹사이트를 만드는 데.
to-v의 부사적 수식 <결과>
to-v가 앞에 나온 행위에 대한 결과(‘~해서 …하다’)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구문 | 뜻 | 예문 |
---|---|---|
live to be | ~살까지 살다 | He didn`t live / to see his masterpiece completed. 그는 살지 못했다 / 그의 걸작이 완성되는 것을 보기까지. |
wake up[awake(n)] to-v | 깨어나서 v를 알아차리다 | She woke up to find that it was already 9:00. 그녀가 깨어나 보니 벌써 9시라는 것을 알아차렸다. |
grow up to be | 성장해서 ~가 되다 | Many young Koreans are growing up / to be taller than their parents. 많은 한국의 청소년들은 자라고 있다 / 자신의 부모들보다 키가 더 크게. |
~, only to-v (= ~, but) |
~하지만, 결국 v하다 | Many of us attempt change, / only to give up after a few tries. 우리 중 많은 사람이 변화를 시도한다, / 그러나 몇 번의 시도 후에 결국 포기한다. |
~, never to-v (= ~, and never) |
~하지만[~해서], 결코 v하지 못하다 | One day / he disappeared from the town, / never to be seen again. 어느 날 / 그는 마을에서 사라졌는데, / 결국 다시는 보이지 않았다. |
주어의 의지와 무관한 동작을 나타내는 동사(awake, wake up, live, grow up 등) 뒤, 또는 only, never 등의 부사 뒤에 오는 to-v는 앞에 나온 행위에 대한 결과(~해서 v하다)를 나타낸다. to-v의 내용은 주어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난 것임을 뜻한다.
e.g. I woke up to find / the sun shining brilliantly.
나는 깨어나서 발견했다 / 해가 찬란히 빛나고 있는 것을.
only to-v는 앞뒤 관계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석한다.
only to-v | 예문 |
---|---|
단지 v하기 위해 (강조) | e.g. He worked hard only to make more money. 그는 단지 돈을 더 많이 벌기 위해 열심히 일했다. |
그러나 결국 v했다 (결과) | e.g. He studied hard only to fail the test (= but he failed the test). 그는 열심히 공부했지만 결국 시험에서 떨어지고 말았다. |
to-v의 부사적 수식 <조건>
부정사구에 가정의 의미가 포함된 경우가 있다. if가 없더라도 과거형 조동사가 있으면 숨어 있는 가정법이 아닐지 생각해봐야 한다.
to-v가 조건(v하면)의 의미일 경우도 있다.
e.g. To see the scene, you would never forget it.
그 풍경을 보면, / 당신은 결코 그것을 잊을 수 없을 것이다.e.g. To hear him talk about our childhoods, // you`d think / he was my brother.
그가 우리의 어린 시절에 대해 말하는 것을 듣는다면, // 너는 (~라고) 생각할 것이다 / 그가 내 남동생이라고.
to-v의 부사적 수식 <형용사 수식>
to-v가 형용사 뒤에 와서 그 형용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막연한 형용사의 의미 범위를 to-v가 ‘v하는 것이[v하기에] ~하다’로 한정해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Your writing is really difficult. (?)
네 글씨는 정말 힘들다 (?)Your writing is really difficult to read. (O)
네 글씨는 정말 읽기가 힘들다.e.g. His theory is impossible / to understand.
그의 이론은 불가능하다 / 이해하기에.e.g. You are sure to like this movie.
너는 분명히 이 영화를 좋아할 거야.e.g. E-publishing companies say // e-books are more convenient to use / than paper books.
전자(책) 출판사들은 (~라고) 말한다 // 전자책이 사용하기에 더 편리하다고 / 종이책보다.
유의해야 할 [S + be + 형용사 + (for A) + to-v] 구조
유형 | [S + be + 형용사 + (for A) + to-v] 형태로 잘 쓰는 형용사 |
---|---|
어렵거나 쉬움 | difficult, hard, tough, easy, (im)possible |
위험, 안전 | dangerous, safe |
유쾌, 안락 | pleasant, comfortable, interesting, (in)convenient |
기타 | (un)important, (un)necessary, natural |
It`s difficult for me to read this book. (O)
내가 이 책을 읽기는 어렵다.It`s easy to please him. (O)
그를 기쁘게 하는 것은 쉽다.
이때 to-v의 목적어를 주어로 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형용사가 (im)possible, (un)important, (un)necessary인 경우는 그렇지 않다.
This book is difficult for me to read. (O)
He is easy to please. (O)
It`s possible for me to read this book. (O)
This book is possible for me to read. (X)
관용적으로 쓰이는 [be + 형용사 + to-v]
관용적으로 쓰이는 여러 표현을 어구처럼 알아두도록 하자.
be + 형용사 + to-v | 의미 |
---|---|
be sure[certain] to-v | 분명히 v하다 |
be free to-v | 마음대로 v하다 |
be apt[liable] to-v | v하기 쉽다 |
be anxious[eager] to-v | v하기를 갈망하다 |
be likely to-v | v할 것 같다 (<-> be unlikely to-v) |
be willing to-v | 기꺼이 v하다 (<-> be unwilling[reluctant] to-v) |
to-v의 부사적 수식 <부사 수식>
정도, 결과를 나타내는 to-v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정도, 결과를 나타내는 to-v | 의미 | 예문 |
---|---|---|
~ enough (for A) to-v | <정도> (A가) v하기에 (충분히) ~한 <결과> ~하여 (A가) v하는 |
He was fortunate enough / to pass the exam. 그는 충분히 운이 좋았다 / 그 시험에 합격할 만큼. |
too ~ (for A) to-v | <결과> 너무 ~해서 (A가) v할 수 없는 <정도> (A가) v하기에는 너무 ~한 |
I was too embarrassed / to look her in the eye. 나는 너무 당황해서 / 그녀를 똑바로 볼 수 없었다. |
so ~ as to-v | <정도> v할 만큼 ~한 <결과> 아주 ~해서 v하는 |
Fear can be so strong / as to limit people`s behaviors. 두려움은 매우 강할 수 있다 / 사람들의 행동을 제한할 만큼. |
e.g. Be wise enough / not to be reckless, // but brave enough / to take great risks.
충분히 현명해져라 / 무모하지 않을 정도로, // 그러나 충분히 용감해져라 / 큰 위험을 감수할 정도로.
해석에 주의해야 할 [too ~ to-v]
[too ~ to-v]가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너무 ~해서 v할 수 없는’으로 해석하면 안 된다.
He is too ready to criticize others.
≈ He is ready to criticize others.
- 그는 너무 준비가 되어 다른 사람들을 비판할 수 없다. (X)
- 그는 다른 사람들을 비판할 준비가 되어 있다. (O)
위 예문은 단순히 too가 형용사 ready를 강조하는 것으로, too를 빼도 의미가 통한다. ‘너무 ~해서 v할 수 없는’으로 해석되는 경우에는 too를 생략하면 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This room is too warm for us to sleep in.
이 방은 너무 따뜻해서 우리가 그 안에서 잘 수 없다.
≠ This room is warm for us to sleep in.
이 방은 우리가 그 안에서 자기에 따뜻하다.to-v의 부사적 수식 <문장 전체 수식>
to-v는 문장의 앞이나 중간, 끝에 위치하여 문장 전체를 수식하기도 한다. 관용적으로 자주 쓰이는 표현들을 기억해두자.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to-v의 관용적 표현 | 의미 |
---|---|
to tell the truth | 진실을 말하자면 |
to make matters worse | 설상가상으로 (= what is worse) |
to be sure | 확실히 (= no doubt) |
to begin with | 우선 (= firstly) |
to be frank[honest] (with you) | 솔직히[정직하게] 말해서 |
to put it simply | 간단히 말해서 |
needless to say | 말할 필요도 없이 |
to be exact | 정확히 말하자면 |
so to speak | 말하자면 |
not to mention | ~은 말할 것도 없이 (= not to speak of, to say nothing of) |
not to say | ~라고 말할 수는 없어도 |
to do A justice | A를 공정하게 평가하자면 |
strange to say | 이상한 이야기지만 |
to put it another way | 다시 말해서 (= in other words) |
to sum up | 요약하면 |
to make a long story short | 짧게 말하자면 (= to be short) |
needless to say | 말할 필요도 없이 |
to say the least of it | 조금도 과장하지 않고 |
e.g. Your interference is, / (to say the least of it), / out of place.
너의 간섭은 (~)이다, / (조금도 과장하지 않고), / 부적절한.
분사구문
분사(v-ing / p.p)가 이끄는 어구가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할 때 이를 분사구문이라고 한다. 이때 분사는 동사와 접속사의 역할을 겸하며, 분사의 의미상 주어는 문장 전체의 주어와 같을 경우 생략된다.
e.g. Seeing the police officer, he ran away.
(= When he saw the police officer, he ran away.)
- 분사구문이란?
다음과 같이 두 개의 문장을 합쳐서 하나의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두 문장의 주어는 반드시 같아야 한다.
I tried to open the can. I cut my hand.
-> While I tried to open the can, I cut my hand.
-> Trying to open the can, I cut my hand.
He walked out of the room. He slammed the door behind him.
-> He walked out of the room and slammed the door behind him.
-> He walked out of the room, slamming the door behind him.
이때 v-ing의 분사 형태로 바뀐 것을 분사구문이라고 한다.
분사구문은 위에서처럼 문장의 앞, 뒤에 올 수 있고 중간에 오기도 한다.
분사구문, S + V / S, 분사구문, V / S + V, 분사구문
분사구문의 의미
분사구문의 의미는 [S + V ~] 부분과의 논리적 의미 관계에 따라 결정되며 적절한 우리말 연결어를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해석한다. 주로, [S + V ~]와 동시에 일어난 일, [S + V ~]의 원인 등 부가적인 정보에 해당한다.
e.g. Being sick, I went to bed early.
아프기 때문에, 나는 일찍 자러 갔다.
(= Because I was sick, I went to bed early.)
분사구문의 위치
분사구문은 문장의 앞, 중간, 또는 뒤에 올 수 있다.
분사구문의 해석
챕터 서두에서도 살펴보았듯이 대부분은 ‘동시’나 ‘연속’으로 일어나는 행동을 나타내며,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이해해 나가면 된다. 좀 더 자연스럽게 해석하려면 ‘그리고, 그래서, 그러다가, 그러나, 그러면, 왜냐하면’ 등의 적절한 우리말 연결사를 사용한다.
e.g. Recognizing the healing power of humor, / many hospitals are starting / to take laughing matters seriously.
유머의 치유력을 인식해서, / 많은 병원들이 시작하고 있다 / 웃음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를.
- 분사구문의 해석
분사구문은 대부분 ‘부대상황(시간)’을 나타내며 ‘~할 때, ~하는 동안(동시 동작), ~하고 나서(연속 동작)’로 해석된다. 그 외에, 간간이 ‘원인(~하므로, ~이므로)’, ‘조건(만약 ~하면)’, 드물게는 ‘양보(비록 ~일지라도)’를 나타낸다.
하지만 위 예문들에서 볼 수 있듯이, 분사구문은 원래 두 개의 문장이던 것을 하나로 합한 것이다. 접속사를 없앤 것은 바꿔 말하자면 없애더라도 이해가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냥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자연스럽게 이해해 나가면 될 뿐 부대상황인지 원인인지 조건인지 등을 엄격히 구분하지 않아도 된다.
Trying to open the can, I cut my hand.
캔을 따려고 애썼다. (그러다가) 나는 손을 베었다.
He walked out of the room, slamming the door behind him.
그는 방 밖으로 걸어나갔다. (그리고) 뒤에 있는 문을 세차게 탕 닫았다.
분사구문과 의미상의 주어
분사구문을 이용하여 합치려는 두 문장의 주어는 반드시 같아야 한다. 주어가 다르면 의미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It was a holiday. Most shops were closed. (It ≠ Most shops)
-> Being a holiday, most shops were closed. (X)
그러므로 서로 주어가 다른 문장들을 합치려면 반드시 분사 앞에 그 의미상 주어를 써주어야 한다.
-> It being a holiday, most shops were closed. (O)
휴일이라서, 대부분의 상점이 문을 닫았다.
e.g. Bats are surprisingly long-lived creatures, / some having a life expectancy of around twenty years.
박쥐는 놀라울 만큼 장수하는 생물로, 어떤 것들은 수명이 20년 정도이다.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S`)가 일반인인 경우 문장의 주어(S)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이를 명시하지 않고 생략한다.
[with + O + v-ing/p.p.]에서 O는 뒤에 나오는 분사의 의미상 주어로서 문장의 주어와 다르기 때문에 분사 앞에 써 준 경우에 해당한다. 해석은 ‘O가 ~한 채로, ~하면서, ~하여’로 문장의 동사와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을 나타낸다.
e.g. With oil prices rising during this month, // many people are looking to public transportation / for their daily commute.
이번 달에 유가가 올라서, // 많은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생각해보고 있다 / 매일의 출퇴근을 위해.
[with + O + 형용사/부사/전명구]
분사 대신 형용사, 부사, 전명구도 사용된다.
e.g. Don`t speak with your mouth full.
(음식물을) 입에 가득 넣은 채로 말하지 마라.e.g. Don`t leave the room with the heater on.
히터를 켜놓은 채로 방을 나서지 마라.e.g. He stood still with his hands in his pockets.
그는 손을 호주머니에 넣은 채로 가만히 서 있었다.
분사구문의 의미 <시간의 논리관계>
분사구문과 [S + V ~]의 논리적 관계는 대부분 ‘시간’ 관계, 즉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일이다. 분사의 동작과 문장의 V가 일어난 때의 선후 관계를 살펴보고 아래 중 가장 자연스러운 것으로 해석한다.
시간의 논리관계 | 의미 | 예문 |
---|---|---|
때 | ~할 때, ~하고 있는 동안에 | Crossing the street / you should look both ways. 길을 건널 때는, / 길 양쪽을 살펴야 한다. |
동시동작 | 하면서[한 채로] …하다 | Shouting for joy, / the players celebrated their own victory. 환성을 지르면서, / 선수들은 자신들의 승리를 축하했다. |
연속동작 | ~하고 나서 …하다; ~하여 (그 결과) …하다 | Entering the room, / I switched on the light. 방에 들어가서, / 나는 전등 스위치를 켰다. |
분사구문의 의미 <원인, 조건, 양보의 논리관계>
분사구문과 [S + V ~]의 논리적 관계를 살펴, 아래 의미 중 가장 자연스러운 것으로 해석한다. 드문 경우지만, 분사구문과 [S + V ~]의 내용이 상반되면 ‘양보’로 이해하면 된다.
논리관계 | 의미 | 예문 |
---|---|---|
원인 | ~하므로, ~이므로 | Feeling rather ill. / I declined his invitation to dinner. 몸이 좀 아파서, / 나는 그의 저녁식사 초대를 거절했다. |
조건 | 만약 ~하면 | Turning to the left, / you will find the building / on your right. 왼쪽으로 돌면, / 당신은 그 건물을 발견할 것입니다 / 오른편에서. |
양보 | 비록 ~일지라도 |
분사구문이 ‘때, 원인, 조건, 양보’ 등의 의미 중에 두 가지로 해석될 경우
분사구문이 ‘때, 원인, 조건, 양보’ 등의 의미 중에 두 가지로 해석될 수도 있으므로 앞뒤 문맥에 따라 자연스러운 의미로 해석하면 된다.
e.g. Surprised to see her crying, I tried to cheer her up.
-> Because I was surprised to see her crying, ~.
(그녀가 우는 것을 보고 놀라서)
-> I was surprised to see her crying, and I tried ~.
(그녀가 우는 것을 보고 놀랐고)
분사구문의 관용적 표현 1 : (의미상 주어 = 일반인)인 경우에도 생략하는 관용적 표현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가 일반인인 경우 문장 전체의 주어와 일치하지 않더라도 생략할 수 있다.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들은 익혀 두자.
관용적 표현 | 의미 |
---|---|
generally[frankly, strictly, roughly] speaking | 일반적으로[솔직히, 엄격히, 대략] 말해서 |
speaking[talking] of | ~에 관해 말하자면 |
judging from[by] | ~으로 판단하건대 |
granting (that) | ~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
e.g. When first exercising, / it is important to set specific goals.
처음 운동할 때, /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e.g. Generally speaking, / what you eat is more important / than when you eat.
일반적으로 말해서, / 무엇을 먹는지가 더 중요하다 / 언제 먹느냐보다.
분사구문의 관용적 표현 2 : [with + O + v-ing/p.p.]
[with + O + v-ing/p.p.]에서 O는 뒤에 나오는 분사의 의미상 주어로, 문장의 주어와 다르기 때문에 분사 앞에 둔 것이다. ‘O가 ~한 채로, ~하면서, ~하여’로 해석한다. O와 분사의 관계가 능동인 경우에는 v-ing가, 수동인 경우에는 p.p.가 이어진다.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가 있을 때 | 의미 |
---|---|
with + O + v-ing/p.p. | O가 ~한 채로, ~하면서, ~하여 |
e.g. I can`t feel relaxed / with you watching me like that.
나는 마음이 편할 수 없다 / 당신이 나를 그렇게 쳐다보고 있으니.e.g. Sitting with legs crossed for a long period / can raise blood pressure.
다리를 꼰 채로 오랫동안 앉아 있는 것은 /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
[with + O + 형용사, 부사, 전명구 등]
v-ing/p.p. 대신 형용사, 부사, 전명구 등이 쓰이는 경우도 매우 많다.
e.g. Don`t talk with your mouth full.
입속 가득히 음식을 넣은 채 말하지 마라.e.g. It`s not good for you to sleep with the lights on.
전등을 켜 놓은 채 잠을 자면 좋지 않다.e.g. She said her last goodbye with tears in her eyes.
그녀는 눈에 눈물이 고인 채로 마지막 작별인사를 했다.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의 형태 1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의 형태 | 설명 | 예문 |
---|---|---|
Having p.p. ~, S + V … | 분사구문이 [S + V ~] 보다 앞서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 Having had a big lunch, / I had no appetite for dinner. 점심을 많이 먹어서, / 나는 저녁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었다. |
p.p. ~, S + V … | ‘수동’의 의미로서 앞에 being 또는 having been이 생략된 형태. | Worn properly, / safety belts can save many lives / each year. 제대로 착용 되면, / 안전띠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 / 매해. |
명사/형용사 ~, S + V … | 앞에 being 또는 having been이 생략된 형태이다. |
주의해야 할 분사구문의 형태 2
분사구문은 접속사와 의미상 주어가 생략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접속사 or 의미상 주어가 생략되지 않은 형태의 분사구문 | 설명 | 예문 |
---|---|---|
S` + v-ing[p.p.] ~, S + V … |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를 생략하는 것은 문장 전체의 주어와 같을 때이다. 다를 경우는 분사 앞에 둔다. | Other things being equal, / I prefer this one. 다른 점들이 동일하다면, / 나는 이것이 더 좋다. |
접속사 + v-ing[p.p.] ~, S + V … | 분사구문과 [S + V ~]의 논리적 관계가 불문명하여 여러 의미로 해석이 가능할 경우, 접속사를 분사 앞에 두어 논리 관계를 명확히 한다. | Small acts, / when multiplied by millions of people, / can transform the world. 작은 행동들이, /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 의해 크게 늘어날 때, /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
분사구문으로 혼동할 수 있는 v-ing형 전치사
v-ing형 전치사 | 예문 |
---|---|
considering | Considering her age, she is very active. 나이를 감안하면, 그녀는 매우 활동적이다. |
including | including lectures and performances 강연과 공연을 포함하여 including buffet breakfast. 뷔페식 아침식사를 포함해서 |
excluding (= excepting) | excluding travel expenses 여행 경비를 제외하고 excluding national holidays 국경일을 제외하고 |
barring | barring accidents 사고가 없으면 |
regarding (= concerning, respecting) | regarding social customs 사회 관습에 관해서는 regarding our next project 우리의 다음 프로젝트에 관해서는 |
pending | pending further inquiries 추가 조사를 기다리는 동안에 |
문장의 확장
등위절과 병렬구조
- 등위접속사의 연결 기능 :
등위접속사의 연결 기능 | 예문 |
---|---|
단어와 단어 |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느리면서도 꾸준한 것이 경주에서 이긴다. |
구와 구 | To be or not to be, that is the question.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이다. |
절과 절 | They left and we remained. 그들은 떠났고 우리는 남았다. |
- 등위절 : 접속사 and, but, or, for 등에 의해 대등하게 연결되어 있는 절을 등위절이라 한다.
S + V ~
+등위접속사
+S + V ...
상관접속사 : 등위접속사 and, or, but 등이 다른 단어와 짝을 이룰 때 이를 (등위)상관접속사라 한다.
e.g. The movie was both long and boring.
그 영화는 길고 지루했다.e.g. What I want is not money but time.
내가 원하는 것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다.
- 위의 예문들에서 볼 수 있듯이 등위접속사나 상관접속사로 연결되는 어구들은 문법적으로 서로 대등한 형태(명사와 명사, 형용사와 형용사, to-v와 to-v, 절과 절 등)를 취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병렬구조라 한다.
- 위의 예문들에서 볼 수 있듯이 등위접속사나 상관접속사로 연결되는 어구들은 문법적으로 서로 대등한 형태(명사와 명사, 형용사와 형용사, to-v와 to-v, 절과 절 등)를 취하는데, 이러한 구조를 병렬구조라 한다.
접속사로 연결된 문장에서는 해당 접속사가 무엇과 무엇을 연결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그것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e.g. I don`t know why they lied to you, but don`t be sorry for telling me.
나는 그들이 왜 네게 거짓말했는지 모르겠지만, 나한테 말한 걸 후회하지 마라. (O)
나는 그들이 네게 거짓말했지만 나한테 말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지 그 이유를 모른다. (X)
등위접속사 and, but, or가 이끄는 등위절
등위접속사는 문법상 동일한 역할을 하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대등하게 연결한다. 명령문 뒤에 and나 or로 절이 연결될 때는 다음과 같은 의미 차이가 있다.
명령문 + 등위접속사 | 의미 |
---|---|
명령문 + and … | ~하라, 그러면 … |
명령문 + or … | ~하라, 그렇지 않으면 … |
e.g. I enjoy the physical work, // and I like the sense of achievement.
나는 신체 활동을 즐긴다, // 그리고 나는 성취감을 좋아한다.e.g. Change your thoughts // and you change your world.
당신의 생각을 변화시켜라 // 그러면 당신의 세계를 변화시킬 것이다.
(= If you change your thoughts, you will change your world.)
and의 여러 가지 의미
and는 ‘~ 그리고 ~’의 의미만이 아니라 여러 의미에 쓰일 수 있으므로 문맥에 따라 적절하게 해석하면 된다.
and의 여러 가지 의미 | 예문 |
---|---|
부가 | We were talking and laughing. 우리는 대화하고 웃고 있었다. |
결과 | He fell heavily and broke his arm. 그는 심하게 넘어져서 팔이 부러졌다. |
조건 | Weed the garden and I`ll pay you $10. 정원에서 잡초를 뽑으면 10달러를 줄게. |
연속 | She switched off the television and went to bed. 그녀는 텔레비전을 끄고 잠자리에 들었다. |
대조 | I`m on a diet and still don`t lose weight. 나는 다이어트 중인데 여전히 몸무게가 줄지 않는다. |
등위접속사 for가 이끄는 등위절
for(왜냐하면 ~)는 앞서 말한 내용의 간접적, 부가적인 이유를 덧붙일 때 쓰이므로, for가 이끄는 절은 반드시 다른 절의 뒤에 위치한다.
e.g. Because I felt sick, I went to bed early.
나는 아팠기 때문에,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 For I felt sick, I went to bed early. (X)
-> I went to bed early, because[for] I felt sick. (O)e.g. Strive to have friends, // for life [without friends] / is like life [on a desert island].
친구를 얻으려고 애써라, // 왜냐하면 친구가 없는 삶은 / 무인도에서의 삶과 같기 때문이다.
등위접속사 nor가 이끄는 등위절
nor가 이끄는 등위절 | 의미 | 예문 |
---|---|---|
nor + 조동사[be동사] + S … | S도 또한 …이 아니다 (= and ~ not … either) | I never did anything by accident, // nor did any of my inventions come by accident. 나는 어떤 일도 결코 우연히 하지 않았다, // 내 발명 중 어느 것도 우연히 나오지 않았다. |
명사절
유형 |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
접속사 | that, whether, if |
의문사 | who, when, where, what, how, why, which |
관계대명사 | what |
복합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 ever) | whoever, whichever, whatever |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that이 이끄는 명사절은 문장에서 대부분 동사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데 이때 that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는 앞선 명사의 동격이 되거나 문장의 보어 역할을 하기도 하며,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는 경우도 제한적이나마 있다. 주어 역할을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가주어 it으로 대체된다.
e.g. Doctors say // (that) fruit and vegetables help prevent diseases / like cancer.
의사들은 말한다 // 과일과 채소가 질병 예방을 돕는다고 / 암과 같은.e.g. The best scientist / has an open mind to experience // and begins with the idea / that anything is possible.
최고의 과학자는 / 경험에 대해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 // 그리고 (~한) 생각으로 시작한다 / 무엇이든 가능하다는.
명사 뒤에 that이 이끄는 절이 오는 경우
that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오면 동격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이고, 주어나 목적어, 보어가 빠진 절이 오면 관계대명사 that이다. 둘 다 ‘~하는’의 뜻으로 해석하면 된다.
명사 뒤에 that이 이끄는 절이 오는 경우 | 예문 |
---|---|
동격절 that + 완전한 구조 |
I don`t believe the rumor that he stole that money. 나는 그가 그 돈을 훔쳤다는 소문을 믿지 않는다. |
관계대명사절 that + 주어가 빠진 불완전한 구조 |
Trees give us all kinds of fruit that are good to eat. 나무는 우리에게 먹기 좋은 온갖 종류의 열매를 제공한다. |
접속사 whether, if가 이끄는 명사절
접속사 whether와 if는 명사절을 이끌어 ‘~인지 (아닌지, (아니면 ~인지)’의 의미를 나타낸다.
whether 명사절은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할 수 있으나, if 명사절은 대부분 목적어로만 쓰이고 그 외에는 진주어절만 이끌 수 있다.
e.g. The question is // whether I should give him another chance or not.
문제는 ~이다 // 내가 그에게 또 다른 기회를 주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e.g. You can tell // if someone has a good heart / by his respect for others.
당신은 알 수 있다 // 어떤 사람이 상냥한 마음을 가졌는지를 / 다른 사람들에게 대한 그의 존중으로.
의문사가 이끄는 명사절
의문사가 이끄는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하는데, 목적어로 쓰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어순이 중요하다. 원칙적으로 [의문사 + (S) + V]의 어순이지만, 주절이 do you think[guess, suppose, believe, imagine, say 등]일 때는 의문사가 문장 맨 앞에 위치한다.
e.g. You don`t know / what you are capable of // until you try.
당신은 모른다 / 당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 시도할 때까지는.e.g. Who / do you think // the best musician of our generation is?
누가 / 네가 생각하기에 // 우리 세대의 최고의 음악가인가?
의문대명사 what과 관계대명사 what
의문대명사 ‘무엇’, 관계대명사는 ‘(~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두 해석이 모두 가능한 문장도 있어 굳이 구분하려 애쓰지 않아도 된다.
의문대명사 | 관계대명사 |
---|---|
Tell me what you can see. 네가 무엇을 볼 수 있는지 말해줘. |
Tell me what you can see. 네가 볼 수 있는 것을 알려줘. |
관계대명사 what이 이끄는 명사절
관계대명사 what은 명사절을 이끌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한다.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며 the thing(s) which와 같은 의미이다. ‘(~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e.g. What is learned in the cradle // is carried to the grave.
요람에서 배운 것이 // 무덤까지 간다.
관계대명사 what이 이끄는 관용적 표현
e.g. Reading is to the mind // what exercise is to the body.
독서와 정신의 관계는 // 운동과 신체의 관계와 같다.e.g. She is what we call a bookworm.
그녀는 이른바 공부벌레이다.
(= She is what is called a bookworm.)e.g. It`s a good book, and what is more[better], it`s quite a popular one.
그것은 좋은 책이다. 게다가 그것은 상당히 인기 있는 책이다.e.g. He lost his money, and what was worse, his health.
그는 돈을 잃었다. 설상가상으로 건강도 잃었다.
what with A and (what with) B :
A이기도 하고 B이기도 해서 (보통, 좋지 않은 이유를 나열할 때 쓰는 표현)e.g. what with overwork and stress, she lost her appetite.
과로도 하고 스트레스를 받기도 해서, 그녀는 식욕을 잃었다.
복합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명사절
관계대명사(that 제외)에 ‘강조’ 어미 -ever를 붙인 것으로서 선행사를 포함한다. 명사절을 이끌어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한다. (‘양보’ 부사절을 이끄는 용법도 있다)
원래 의문사 고유의 어미에 -ever가 붙어 그 의미가 강조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좀 더 쉽다. 의문사 who의 의미는 ‘누구, 누가’이지만 -ever가 붙으면 ‘~하는 누구든지’, ‘누가 ~하더라도(양보)’의 의미가 되는 식이다.
복합관계대명사가 이끄는 명사절 | 의미 |
---|---|
whoever | ~하는 누구든지 (= anyone who(m) |
whichever | ~하는 어느 쪽이든지 (= any (one) that) |
whatever | ~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 anything that) |
e.g. Whatever has a beginning // also has an end.
시작이 있는 것은 무엇이든지 // 또한 끝이 있다.e.g. You can take // whichever eat is available.
당신은 가질 수 있다 // 이용 가능한 어느 좌석이든.
whichever와 whatever
명사 앞에 쓰여 명사를 수식할 수 있다.
e.g. Customers will choose whichever product is cheaper.
고객들은 어느 상품이든 값이 더 싼 것을 선택할 것이다.
(= Customers will choose any product [that is cheaper].)e.g. Take whatever action is needed.
필요한 조치는 무엇이든 취해라.
(= Take any action [that is needed].)
관계사절
- 관계사에는 [접속사 + 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대명사, [접속사 + 부사]의 역할을 하는 관계부사가 있다.
관계사의 가장 기본적인 용법은 형용사절을 이끌어 앞의 명사, 즉 선행사를 수식하는 것이다.
e.g. At that time I met some people [who included me in their group].
명사(선행사) +관계사
+ (S) + V ~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 the thing을 포함하고 있으며, 명사절을 이끈다.
선행사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
사람 | who | whose | who(m) |
동물, 사물 | which | whose, of which | which |
사람, 동물, 사물 | that | that | |
선행사 포함 | what | what |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은 그 앞에 오는 명사(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을 이끈다.
e.g. All men [who have achieved great things] / have been great dreamers.
모든 사람은 [위대한 일을 이루어낸] / 위대한 몽상가들이었다.e.g. You need to doubt the value of things [which you get _ easily].
당신은 물건의 가치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당신이 쉽게 얻은].
전치사 +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관계싸절 내에서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일 때, 전치사는 관계때명사 바로 앞이나 관계때명사절의 끝에 온다. 끝에 둘 때는 관계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다.
e.g. Behavior is the mirror [in which everyone shows their true image]
행동은 거울이다 [모든 사람이 자신들의 본 모습을 보여주는]
관계대명사 뒤에 [S + V]가 삽입되는 경우
관계대명사 뒤에 [S + V]가 삽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삽입절 [S + V]를 괄호로 묶어두면, 문장의 구조를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e.g. I voted for
the person
[who (I thought) was the best candidate].
나는 그 사람에게 투표했다 [(내가 생각하기에) 최고의 후보자인].
관계부사
선행사 | 관계부사 |
---|---|
시간(time, day 등) | when, that |
장소(place, house 등) | where, that |
이유(reason(s)) | why, that |
없음 | how, that |
명사를 수식하는 관계부사절
관계부사 when, where, why는 그 앞에 오는 명사(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을 이끌며, 대신 that을 쓰기도 한다. 관계부사 how(~하는 방법)는 선행사가 없고, the way (that), the way in which로 대신할 수 있다.
e.g. There are times [when everyone want to be alone].
때가 있다 [누구나 혼자 있고 싶어 하는].
관계부사의 선행사 생략
관계부사의 선행사가 the time, the place, the reason 등 일반적인 시간, 장소, 이유를 나타낼 때는 흔히 생략된다. 선행사가 생략되면 관계사는 명사절을 이끌게 된다.
e.g. Spring is (the time) when life is alive in everything.
봄은 생명이 만물에 살아 있는 때이다.
관계사의 생략
목적격 관계때명사 whom, which, that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고 관계부사 when, where, why도 생략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명사 다음에 [S + V ~]의 형태가 이어지면, 그 사이에 있던 관계싸가 생략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 (대)명사 + (관계사) + S + V ~
e.g. Even the student [(whom) I thought to be clever] / could not solve the problem.
학생조차도 [내가 영리하다고 생각한] / 그 문제를 풀지 못했다.e.g. The achievement of your goal is assured / at the moment [(when) you commit yourself to it].
목표의 달성은 보장된다 / 그것에 전념하는 그 순간에.
선행사와 떨어져 있는 관계사
선행사가 주어인 문장에서 주어 부분에 비해 술어 부분이 짧은 경우, 또는 선행사 뒤에 수식어구가 있는 경우에는 선행사와 관계사가 떨어져 있게 된다. 따라서 관계사절이 바로 앞에 명사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선행사로 간주하지 말고, 문맥상 관계사절의 수식을 받는 것이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e.g.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
is increasing /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외국인 학생들의 숫자가 늘어나고 있다 / [한국어를 배우는].
복잡한 관계사절
두 개의 관계사절이 동일한 선행사를 수식할 경우, 접속사나 콤마(,)로 연결되기도 하고 접속사 없이 연결되기도 한다. 접속사 없이 연결될 때 처음의 관계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e.g. You are
the only person
[(whom) I`ve ever met _] [who understands me].
당신은 유일한 사람이다 [내가 만난] [나를 이해하는].
보충 설명하는 관계사절
(형용사절은 아니지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이곳에서 설명한다.)
보충 설명하는 관계대명사절
관계사는 선행사를 수식하는 역할 외에 선행사에 대해 보충 설명을 하기도 한다. 이 경우 관계사 앞에 콤마(,)를 표시한다. 문맥에 따라 여러 접속사(and, but 등)의 의미를 취할 수 있으므로 앞뒤 내용의 흐름을 보고 해석한다.
- 선행사, who ~ : 그리고[그런데] 그 사람은 ~
- 선행사, which ~ : 그리고[그런데] 그것은 ~
이때 which는 (대)명사뿐 아니라 앞에 나온 어구나 절을 선행사로 취할 수 있다.
관계대명사 that은 보충 설명하는 절을 이끌지 않는다.
e.g. I met an old friend of mine, // who didn`t recognize me at first.
나는 나의 옛 친구를 만났는데, // 그 친구는 처음에 나를 알아보지 못했다.e.g. One of the best way to learn / is to teach others, // which enhances our own learning experience.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 중에 하나는 / 다른 이들을 가르치는 것인데, // 그것은 우리 자신의 학습 경험을 향상시킨다.
보충 설명하는 관계부사절
관계부사도 관계대명사처럼 선행사를 보충 설명할 수 있고 문맥에 따라 여러 접속사(and, but 등)의 의미를 취한다. why와 how는 이렇게 쓰이지 않고 where, when만 쓰인다.
- 선행사, where ~ : 그리고[그런데] 거기서 ~
- 선행사, when ~ : 그리고[그런데] 그때 ~
e.g. In China, / where silence is valued, // you find the Chinese proverb / “Loud thunder brings little rain.”.
중국에서, / 그곳에서는 침묵을 가치 있게 여기는데, // 당신은 중국 속담을 발견한다 / ‘시끄러운 천둥은 비를 거의 가져오지 않는다.’라는.
보충 설명하는 관계사절의 선행사
고유명사나 유일한 것과 같이 특정한 사람, 사물인 때가 많다.
e.g. I want to visit the Eiffel Tower, which is in Paris.
나는 에펠탑을 방문하고 싶은데, 그것은 파리에 있다.
선행사의 수식과 보충 설명 간의 의미 차이
콤마(,)의 유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콤마가 없으면 수식하는 내용에 의해 비로소 선행사가 특정한 것이 되고, 콤마가 있으면 이미 특정한 선행사를 보충 설명하는 것이다.
콤마가 없는 관계사절 : 선행사를 수식 | 콤마가 있는 관계사절 : 선행사를 보충 설명 |
---|---|
There were few passengers who escaped without injury.부상 없이 탈출한 승객은 거의 없었다. |
There were few passengers, who escaped without injury. 승객들이 거의 없었고, 그들은 부상 없이 탈출했다. |
주요 구문
비교구문
비교구문이란, 두 가지 대상의 성질이나 상태를 비교하여 그 정도의 차이를 표현하는 것으로,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 비교급, 최상급을 활용하여 나타낸다. 영어에서 비교나 최상의 의미를 표현하는 구조는 다양하고 복잡한 편이다. 결국은 서로 비교해서 그 정도가 같은지, 다른지, 아니면 가장 심한지를 표현하려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각 구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그중 무엇인지를 판단해내는 것이 학습 목표가 된다.
위에 말을 요약해보면, 비교 구문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과 무엇을 비교하고 있는지 즉, 비교 대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구문은 다음과 같다.
가장 대표적인 비교구문 | 예문 |
---|---|
원급 as + 원급 + as (만큼 …하다) |
He is as tall as I[me]. 그는 나만큼 키가 크다. |
비교급 -er(비교급) + than (보다 더 …하다) |
He is taller than I[me]. 그는 나보다 더 키가 크다. |
최상급 the + -est(최상급) + in[of] ( (중)에서 가장 …하다) |
He is the tallest boy in his class. 그는 반에서 가장 키가 크다. |
e.g. There frozen vegetables taste as good as fresh ones.
이 냉동 야채는 신선한 것만큼 맛이 좋다.e.g. These frozen vegetables taste worse than fresh ones.
이 냉동 야채는 신선한 것보다 맛이 떨어진다.
원급의 주요 구문
원급의 주요 구문 | 의미 |
---|---|
as many[much] as ~ | 무려 ~나 되는 수의[양의] |
as ~ as possible (= as ~ as + 주어 + can[could]) |
가능한 한 ~한[하게] |
not so much A as B (= B rather than A) (= rather B than A) (= more B than A) |
A라기 보다는 오히려 B (A < B) |
[as 원급 as ~ (~만큼 …하다)]
[as 원급 as ~ (~만큼 …하다)]
두 대상을 비교하여 정도의 차이가 없으면 [as 원급 as ~ (~만큼 …하다)]로 표현한다. 이 구문은 두 개의 문장을 두 번째 as(접속사)로 결합한 것이다.
- A is as(부사) tall as(접속사) + B (is)
tall.
-> A is as(부사) tall as(접속사) B.
문맥이 명확하면 접속사 as 뒤의 (조)동사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e.g. The ability [to express an idea] / is as
important
/ as the idea itself.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은 / 중요하다 / 그 생각 자체(가 중요한 것)만큼.
두 대상을 비교하여 정도의 차이가 날 때도 다음과 같이 원급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A not as[so] ~ as B : A는 B만큼 ~하지는 않다 (A < B)
e.g. Reading ten thousand books / is not as
useful
/ as traveling ten thousand miles.
만 권의 책을 읽는 것은 / 유용하지 않다 / 10,000 마일을 여행하는 것만큼은.
접속사 as 뒤 (조)동사의 생략
앞부분과 같을 때 생략이 가능하며, be동사는 인칭이 다르더라도 생략할 수 있다.
e.g. She is as confident as I (am).
그녀는 나만큼 자신만만하다.동사 이하가 모두 생략되고 인칭대명사만 남을 경우 구어에서는 주격보다 목적격을 더 자주 사용한다.
e.g. She is as confident as me.
그녀는 나만큼 자신만만하다.
비교급의 주요 구문
두 대상을 비교하여 정도의 차이가 날 때 [비교급 + than (보다 더 …한)]으로 표현한다. 이 구문은 than(접속사)에 의해 두 개의 문장이 결합된 것이다.
원문 | 비교급으로 변환 |
---|---|
The film is exciting. + more(부사) exciting than(접속사) + The novel (is) |
The film is more exciting than the novel. |
그 정도의 차이가 크고 작음을 강조할 때는 다음과 같은 어구를 비교급 앞에 붙인다.
유형 | 정도의 차이가 크고 작음을 강조하는 부사 |
---|---|
훨씬 | much, (by) far, a lot, still, even |
조금 | a little, a bit |
e.g. Imagination is more important / than knowledge.
상상력이 더 중요하다 / 지식보다.
비교급을 사용한 다음 구문도 함께 알아두자.
비교급 주요 구문 | 의미 |
---|---|
the + 비교급 ~, the + 비교급 … | ~하면 할수록 더욱 …하다 |
비교급 + and + 비교급 | 점점 더 ~ |
less 원급 than | ~보다 덜 …한 (사용 빈도 매우 낮고 not as ~ as를 대부분 사용) |
than 대신 전치사 to를 쓰는 비교급 | 의미 |
---|---|
superior to + 명사 상당어구 | ~보다 월등한 |
inferior to + 명사 상당어구 | ~보다 열등한 |
senior to + 명사 상당어구 | ~보다 손위의 |
junior to + 명사 상당어구 | ~보다 손아래의 |
preferable to + 명사 상당어구 | ~보다 좋아하는 |
e.g. The more we study, // the more we discover our ignorance.
우리가 더 많이 공부할수록, // 우리는 더 많이 우리의 무지를 깨닫는다.
than 이하의 생략
than 앞에 있는 어구와 중복되는 부분은 거의 생략하고 쓴다.
e.g. He can play the piano better than I can (play the piano).
그는 내가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는 것보다 피아노를 더 잘 연주할 수 있다.be동사, 조동사, 대동사 do도 생략 가능한데, 이때 구어에서는 주격보다 목적격을 더 자주 사용한다.
e.g. He can play the piano better than me.
그는 나보다 피아노를 더 잘 연주할 수 있다.
[the + 비교급 ~, the + 비교급 …] 구문의 형태와 어순
비교급 뒤에 나오는 [주어 + 동사]는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e.g. The sooner you go to see a doctor, the better (it is).
의사에게 진찰을 더 빨리 받아볼수록 더 좋다.more ~의 경우, 뒤에 나오는 형용사나 부사는 바로 뒤에 붙여 쓴다.
e.g. The more interested I got in history, the more I wanted to know about it. (O)
내가 역사에 흥미를 더 가질수록, 나는 그것에 관해 더 알고 싶었다.
-> The more I got interested in history, the more I wanted to know about it. (X)[the + 비교급 + 명사]의 경우에도 비교급 뒤에 명사를 붙여 쓴다.
e.g. The more time you have, the more work you can do. (O)
시간이 더 많을수록 일을 더 많이 할 수 있다.
-> The more you have time, the more you can do work. (X)
배수표현
원급, 비교급을 이용하는 배수 표현
배수나 분수 표현을 추가하여 비교하는 대상이 서로 몇 배 차이가 나는지를 나타낸다.
원급, 비교급을 이용하는 배수 표현 | |
---|---|
twice[a third, half, three times, …] as … as ~ twice[a third, half, three times, …] 비교급 than ~ |
~보다 두 배[3분의 1, 절반, 세 배, …] …한 |
[배수사 + as 원급 as ~]와 [배수사 + 비교급 than ~]은 같은 뜻으로 쓰이나, 원급 형태가 쓰이는 것이 원칙이다.
e.g. The government spent three times as much money / on national defense / as last year.
정부는 세 배만큼 많은 돈을 지출했다 / 국방에 / 작년보다.
(= The government spent three times more money on national defense than last year.)
명사를 사용하는 배수 표현
large, long, tall, old, many, heavy와 같은 형용사 원급 대신에 size(크기), length(길이), height(키), age(나이), number(수), weight(무게)와 같은 명사를 사용하는 배수 표현도 가능하다.
e.g. Your piece of bread is three times as large as mine.
네 빵조각은 내 것의 세 배 크기이다.
(= Your piece of bread is three times the size of mine.)
e.g. This bridge is one and a half times as long as that one.
이 다리는 저 다리의 1.5배 길이이다.
(= This bridge is one and a half times the lenght of that one.)
혼동하기 쉬운 비교급 구문
비교급 앞의 not이 문장의 동사를 부정한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 A is not more funny than B.
A가 B보다 더 재밌는 것은 아니다
(= A는 B와 똑같이 재밌거나 덜 재미있다.)
혼동하기 쉬운 비교급 구문 | 의미 |
---|---|
A not more ~ than | A, B 모두 ~하나, A가 B보다 덜 ~하다 (A ≤ B) |
A not less ~ than B | A는 B보다 (나을지언정) 못지않게 ~하다 (A ≥ B) |
e.g. The length of your education / is not more important / than its breadth.
교육의 기간은 / 더 중요하지는 않다 / 그것의 폭넓음보다.e.g. Cultural development is not less significant / than economic development.
문화적인 발전은 (더 중요하면 중요하지) 덜 중요하지 않다 / 경제적인 발전보다.
비교급 앞의 no는 비교 자체를 강하게 부정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두 대상이 서로 차이가 있다는 것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서 A = B의 의미가 성립한다. 단, 아래와 같이 than 앞뒤를 모두 부정 또는 긍정하는 의미가 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혼동하기 쉬운 비교급 구문 | 의미 |
---|---|
A no more ~ than B … | A가 ~이 아닌 것은 B가 …아닌 것과 같다 (A = B) |
A no less ~ than B | A는 꼭 B만큼 ~하다 (A = B) |
e.g. Too much is no more desirable // than too little is.
너무 많은 것이 바람직하지 않음은 // 너무 적은 것이 바람직하지 않음과 같다.e.g. Exercise is / no less important to our health / than nourishment.
운동은 / 우리의 건강에 (꼭 ~만큼) 중요하다 / 음식만큼.
not에 비해 no는 뒤에 오는 비교급을 더 강하게 부정한다.
not을 쓰는 비교급 | no를 쓰는 비교급 |
---|---|
There was not / more than an hour of free time 여가는 한 시간보다 많지는 않았다. - 많아봤자 한 시간이었다는 의미. (여가 ≤ 한 시간) |
There was / no more than an hour of free time. 여가는 한 시간보다 절대로 더 많지 않았다. - 겨우 한 시간에 불과했다는 의미. |
혼동하기 쉬운 비교급 구문 | 의미 | 예문 |
---|---|---|
not more than ~ | ~보다 많지 않은 -> 많아야, 기껏해야 (= at most) | Occasionally I have fast food, / but not more than once a month. 가끔 나는 패스트푸드를 먹는다, / 하지만 많아야 한 달에 한 번이다. |
not less than ~ | ~보다 적지 않은 -> 적어도 (= at (the) least) | The candidates for mayor of this city / must collect / not less than 40,000 signatures / for registration. 이 도시의 시장 후보자들은 / 모아야 한다 / 적어도 40,000명의 서명을 / 등록을 위해서. |
no more than ~ | [1] ~보다 절대로 더 많지 않은 -> <부정적> 겨우 ~인 [2] ~ 밖에 되지 않는 (= as few[little] as = only) |
My school is no more than five minutes` walk / from my house. 나의 학교는 겨우 5분 걷는 거리에 있다 / 나의 집에서부터. |
no less than ~ | [1] ~보다 절대로 더 적지 않은 -> <긍정적> ~나 되는 [2] ~만큼의 (= as many[much] as) |
For a butterfly to fly / it must have a body temperature / of no less than 30 degrees Celsius. 나비가 날기 위해서는 / 체온을 갖고 있어야 한다 / 섭씨 30도나 되는. |
최상급을 나타내는 주요 구문
최상급은 셋 이상을 비교하여 하나가 다른 것들보다 정도가 가장 심하다는 뜻을 나타낸다.
[the + 최상급] 다음에 오는 한정사 |
---|
in + 단수명사 |
of + 복수명사 |
(that) + have ever p.p. (지금까지 ~ 중에 가장 …한) |
e.g. Music is the most powerful form of communication / in the world.
음악은 가장 강력한 의사소통 형태이다 / 세상에서.
최상급의 의미를 나타내는 원급, 비교급 표현도 잘 익혀두자.
최상급의 의미를 나타내는 원급, 비교급 표현 |
---|
no (other) 단수명사 … as[so] 원급 as ~ |
no (other) 단수명사 … 비교급 than ~ |
비교급 than any other 단수명사 |
nothing … as[so] 원급 as ~ |
nothing … 비교급 than ~ |
비교급 than anything else |
e.g. No entertainment is so cheap as reading, / nor any pleasure so lasting.
독서만큼 값이 싼 오락 거리도 없고, / (독서만큼) 오래가는 즐거움도 없다.
(= Reading is the cheapest entertainment, and the most lasting pleasure, too.)
다음은 최상급의 기타 구문들이다.
최상급의 기타 구문 | 의미 |
---|---|
the least + 원급 (of[in] ~) | (~중에서) 가장 …이 아닌 |
much, by far, the very + 최상급 | 최상급 강조 |
the + 서수 + 최상급 | ~번째로 가장 …인 |
one of the 최상급 + 복수명사 | 가장 ~한 것들 중 하나 |
양보의 의미를 나타내는 최상급
주어 부분과 술어 부분의 내용이 모순이 되는 경우 [the + 최상급] 바로 앞에 even의 의미를 보충하여 ‘가장 ~한 …조차’로 해석한다.
e.g. The most beautiful city has its problems.
가장 아름다운 도시조차 문제를 가지고 있다.
원급, 비교급, 최상급 구문의 관용적 표현
원급, 비교급, 최상급 구문의 관용적 표현 | 예문 |
---|---|
as many[much] ((앞서 나온 수량과) 같은 수의[양의]) |
We visited 5 cities in as many days. 우리는 5일간 다섯 개 도시를 방문했다. |
as good as (~이나 다름없는[마찬가지인]) (= almost) |
The matter is as good as settled. 그 일은 해결된 것이나 다름없다. |
know better than to-v (v할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다) (= be not so foolish as to-v) |
You should know better than to drive after drinking. 너는 음주 후 운전을 할 정도로 어리석어서는 안 된다. |
부정문, much[still, even] less ~ (~은 커녕) (= let alone) |
I cannot afford to by a used car, much less a new one. 나는 새차는커녕, 중고차를 살 여유도 없다. |
all the + 비교급 + because[for] ~ (~이니까 더욱 더[오히려] …한) |
We respect him all the more for his honesty. 우리는 그의 정직함 때문에 그를 더욱 존경한다. His achievement is all the more impressive because he had no help at all. 그의 업적은 그가 도움을 전혀 받지 못했기 때문에 더 인상 적이다. |
at one`s best (가장 좋은 상태에서, 한창 때인) |
I don`t really feel at my best today. 오늘은 정말로 내 몸의 상태가 최상이 아닌 것 같다. |
at (the) best (잘 해야, 기껏해야) (<-> at (the) worst 아무리 나빠도, 최악의 경우에도) |
At best, about five people will come to the meeting. 기껏해야, 다섯 명 정도가 모임에 나올 것이다. |
비교 대상의 확인 방법
- 비교 대상은 문법적으로나 의미적으로 대등한 것이다.
[1] She is taller now than her friends are.
그녀는 지금 그녀의 친구들보다 더 키가 크다.
[2] She is taller now than five years ago.
그녀는 5년 전보다 지금이 더 키가 크다.
[3] In the summer, the humidity of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New York. (O)
여름에, 서울의 습도가 뉴욕의 그것(습도)보다 더 높다.
-> than New York. (X)
[4] The price is usually higher when you are buying the work of a dead artist than when you are buying the work of an artist who hasn`t yet passed away.
가격은 보통 아직 생존해 있는 예술가의 작품을 살 때보다 사망한 예술가의 작품을 살 때가 더 높다. - 두 번째 as나 than의 뒤에 반드시 있다.
두 번째 as나 than 뒤에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 중요한 정보인 비교 대상은 남아 있기 마련이다.
When lightning occurs, it is safer to stand under a group of trees shorter than surrounding trees than to stay in an open field.
번개가 칠 때, 주위의 나무들보다 더 작은 나무들 아래에 서 있는 것이 트인 공간에 있는 것보다 더 안전하다.
위에서 비교 대상은 to stand under a group of trees shorter than surrounding trees와 to stay in an open field이며, than 뒤에는 it is가 생략되었다. - as나 than 이하가 통째로 생략된 경우가 있다.
때로는 비교 대상이 통째로 생략된 경우가 있다. 이때는 무엇과 무엇을 비교하는지가 문맥상 분명하므로 추론이 그리 어렵지 않다.
다음에서 밑줄 뒤에 각각 생략된 것을 추론해보자.
- Formal and informal English differ in word choice, word usage, and grammatical structures. Informal writing might use the words “fire”, “kid”, and “how come” freely. A formal writer might prefer “dismiss”, “child”, and “why”. Informal writing may sound more like conversation while formal writing may be more polished. An informal style may make listeners feel more comfortable when you are speaking, but a formal writing style can make a good impression.
- We tend to think of the skin as a separate organ - just a wrapping of our more delicate inner parts.
[정답]
1. than formal writing / than informal writing / than a formal style
2. than our skin
[해설]
1. 형식적, 비형식적 영어는 단어 선택, 어법, 그리고 문법 구조가 서로 다르다. 비형식적인 글에서는 ‘fire’, ‘kid’, 그리고 ‘how come’과 같은 단어를 자유롭게 사용할지도 모른다. 형식적인 작가는 ‘dismiss’, ‘child’, 그리고 ‘why’를 더 선호할지도 모른다. 비형식적인 글은 (형식적인 글보다) 좀 더 대화같이 들릴 수 있는 반면, 형식적인 글은 (비형식적인 글보다) 더 다듬어져 있을 수 있다. 비형식적인 어조는 청자들로 하여금 당신이 말을 할 때 (형식적인 어조보다) 더 편안한 느낌이 들게 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형식적인 문체는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다.
2. 우리는 피부를 별개의 신체 기관, 즉 (우리 피부보다) 더 섬세한 우리의 내부 기관들을 감싸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비교 대상은 의미나 형태가 대등해야 한다.
서로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 모양, 상태 등을 비교하는 것이므로 비교 대상으로 적절하도록 그 의미나 형태가 대등해야 한다.
e.g. Our group has as many members as yours. (O)
-> Our group has as many members as you. (X)e.g. Learning English online is as good as learning English face to face. (O)
-> Learning English online is as good as to learn English face to face. (X)
비교 결과가 서로 같은 경우
비교 대상이 되는 A와 B를 어떤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결국 같거나 비슷하다고 말하는 경우이다.
비교 결과가 서로 같은 경우 | 의미 |
---|---|
as … as ~ | ~만큼 …하다 |
no less … than ~ | 꼭 ~만큼 …하다 |
no more … than ~ | …이 아닌 것은 ~이 아닌 것과 같다 |
e.g. A rumor is as hard to unspread / as butter.
소문은 퍼지지 않기가 어렵다 / 버터만큼이나.
비교급 구문의 수식어
- much, (by) far, even, a lot, still, a great[good] deal + 비교급 : 훨씬 ~
형용사나 부사를 수식하는 very, too, quite 등은 비교급을 수식하지 못한다.
It has been much/far/a lot colder this year than it was last year.
올해는 작년보다 훨씬 더 추웠다.
- a little, a bit + 비교급 : 조금 ~
I feel a little better today.
오늘은 조금 기분이 낫다.
- just(꼭), nearly, almost(거의), half(절반), twicetwo times, three times(세 배) + as … as ~
Is the full moon twice as bright as the half-moon?
보름달이 반달보다 두 배 더 밝을까?
비교 결과가 서로 차이 나는 경우
A, B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하거나 덜하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므로 그것이 어느 것인지를 빨리 판단해내는 것이 핵심이다.
A > B | A < B |
---|---|
A more … than B | A less … than B not so much A as B (B rather than A) A not as[so] … as B |
cf. A ≥ B : A not less … than B | cf. A ≤ B : A not more … than B |
e.g. Even a short pencil is more reliable / than the longest memory.
짧은 연필일지라도 더 믿을 만하다 / 가장 오래가는 기억력보다.e.g. My proposal is less attractive / than the other plans, // but would be less expensive [to implement].
나의 제안은 덜 매력적이다 / 나머지 계획들보다, // 하지만 덜 비쌀 것이다 [시행하기에].
as, than 뒤에 바로 동사가 뒤따르는 구조
- as, than이 관계대명사처럼 그 절에서 주어 역할을 하는 경우
Make friends with such people as will do you good.
너에게 이로운 그런 사람들과 친구가 되라.
Don`t use more words than are necessary.
필요 이상의 말은 쓰지 마라.
- 도치 : 비교 대상이 ‘주어’와 ‘주어’일 경우 as, than 절에서 도치가 일어난다.
Obesity contributes more to diabetes than does inactivity.
비만은 게으름보다 당뇨병의 더 큰 원인이다.
여러 가지 것 중 가장 정도가 심한 경우
‘the + 최상급’ 다음에는 ‘in + 단수명사’, ‘of + 복수명사’, 또는 that절이 온다.
원급이나 비교급을 사용한 표현도 잘 익혀두자.
비교 표현 | |
---|---|
no (other) + 단수명사 … as[so] + 원급 + as ~ | |
no (other) + 단수명사 … 비교급 + than ~ | |
nothing … as[so] + 원급 + as ~ | |
nothing … 비교급 + than ~ | |
비교급 + than any other + 단수명사 | |
as + 원급 + as any (+ 단수명사) | |
as + 원급 … as ever |
e.g. The flower [that blooms in adversity] / is the most rare and beautiful of all.
(~하는) 꽃이 [역경 속에서 피어나는] / 모든 꽃 중에 가장 귀하고 아름답다.
최상급 구문의 수식어
e.g. by far the best winter sport
정말 최고의 겨울 스포츠e.g. the very best student
정말 최고의 학생e.g. the second largest country in the world after Russia
러시아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가장 큰 나라
기타 주요 비교구문
비교구문 | 의미 |
---|---|
the + 비교급 ~, the + 비교급 … | (더) ~할수록, 더 …하다 |
비교급 + and + 비교급 | 점점 더 ~한[하게] |
as ~as possible[주어 + can] | 가능한 한 ~하게 |
양보의 의미로 쓰인 [the + 최상급] | 가장 ~한 …조차도 |
e.g. The more man meditates upon good thoughts, / the better will be / his world and the world at large.
인간이 좋은 생각에 관해 더 많이 숙고할수록, / 더 좋아질 것이다 / 그의 세계와 전체적인 세상도.
[the more ~, the more … ]의 어순
- more의 경우 more와 형용사/부사는 분리하지 않는다.
The more I got interested in English, the more I wanted to know about it. (X)
-> The more interested I god in English, the more I wanted to know about it. (O)
내가 영어를 더 재미있어 할수록, 나는 그것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었다.
- [the + 비교급 + 명사]인 경우 비교급과 명사를 분리하지 않는다.
The more you have opportunities, the more you should take up challenges. (X)
-> The more opportunities you have, the more challenges you should take up. (O)
네게 더 많은 기회가 있을수록, 너는 더 많은 도전을 받아들여야 한다.
상관구문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어구가 하나의 접속사 역할을 하는 것(상관접속사)이 있는데 이를 상관구문이라 한다.
상관접속사 구문
접속사 중에는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어구가 짝을 이루어 하나의 접속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들도 있는데, 이들을 상관접속사라고 한다. 상관접속사로 연결되는 A와 B는 문법적으로 대등한 형태여야 한다.
상관접속사 구문 | 예문 |
---|---|
both A and B : A와 B 둘 다 | Make each day both useful and pleasant. 매일을 유용하면서도 즐겁게 만들어라. |
either A or B : A와 B 둘 중 하나 | Life is either a daring adventure or nothing. 인생은 대담한 모험이거나,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다. |
neither A nor B : A도 B도 아닌 (= not either A or B) |
Keep in mind // that neither success nor failure is ever final. 명심해라 // 성공도 실패도 결코 마지막이 아니라는 것을. |
not A but B : A가 아니라 B (= B but not A) |
Try not to become a man of success / but rather try to become a man of value. 성공한 사람이 되려고 애쓰지 말고 / 오히려 가치 있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해라. |
not only[just, merely, simply] A but (also) B : A뿐만 아니라 B도 (= B as well as A) |
Education is not only a ladder of opportunity, // but it is also an investment in our future. 교육은 기회의 사다리일 뿐만 아니라, // 우리의 미래에 대한 투자이다. (= Education is an investment in our future as well as a ladder of opportunity.) |
상관접속사와 수의 일치
주어가 상관접속사로 연결된 경우 동사는 기본적으로 가까이 있는 명사에 수를 일치시킨다.
e.g. Either he or I am responsible for this mess.
그와 나 둘 중 하나가 이렇게 엉망이 된 것에 책임이 있다.e.g. Neither you nor I am wrong.
너도 나도 둘 다 틀리지 않았다.e.g. Not only you but also he is wrong.
너뿐만 아니라 그도 틀렸다.e.g. Neither you nor I am late.
너도 나도 둘 다 지각이 아니다.e.g. Not only you but also she is late.
너뿐만 아니라 그녀도 지각이다.다만, both A and B 다음에는 복수동사가 오며, B as well as A는 내용상 강조하고 있는 B에 수를 일치시킨다.
e.g. Both you and I are wrong.
너와 나 모두 틀렸다.e.g. All the furniture as well as books is for sale.
책뿐만 아니라 모든 가구도 판매 중이다.e.g. Both you and I are late.
너와 나 모두 지각이다.e.g. You, as well as Martin, are late.
마틴뿐만 아니라, 너도 지각이다.
병렬구조
병렬구조에서는 접속사로 연결된 부분이 어디와 어디인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문장 전체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절과 절이 연결된 것을 단어와 단어가 연결된 것 등으로 착각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비교 대상이 되는 것들은 문법적으로 서로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들로서 등위접속사나 상관접속사로 대등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병렬구조라 한다.
e.g. There were lots of clouds and the mountains looked so high.
구름이 많았고 산은 아주 높아보였다. (O)
-> 구름과 산이 많았고 높아보였다. (X)e.g. The excitement of watching sports games comes / from
cheering on your team
, /celebrating its skills
, andcomplaining about the opposing team’s good luck
.
스포츠 경기를 보는 것의 즐거움은 온다 / 당신의 팀을 응원하고, / 그 팀의 기술을 칭찬하고, / 상대 팀의 행운에 대해 불평하는 것에서.e.g. From the 5th to the 15th century, // barbers performed many services, / including
cutting hair
,pulling teeth
, andtreating medical conditions
.
5세기에서 15세기까지, // 이발사들은 많은 서비스를 수행했다, /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 이를 뽑는 것, 그리고 의학적 질환을 치료하는 것을 포함하여.
전명구를 동반하는 동사구문
어떤 동사들은 목적어 다음에 전명구를 짝으로 취하기도 한다. 문장의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동사들을 숙어처럼 익혀 둘 필요가 있다.
전명구 유형 | 전명구를 동반하는 동사구문 |
---|---|
간주의 as | think of[look upon, regard, view, see] A as B (A를 B로 여기다) |
이유, 교환의 for | blame A for B (A를 B의 이유로 비난하다) thank A for B (A에게 B에 대해 감사하다) substitute A for B (A로 B를 대신하다, B 대신 A를 쓰다) |
방지, 금지의 from | prevent A from v-ing (A가 v하지 못하게 하다) |
구별, 분리의 from | distinguish A from B (A를 B와 구별하다) separate A from B (A를 B로부터 분리하다) |
분리, 박탈의 of | rob A of B (A에게서 B를 빼앗다) cure A of B (A의 B(병, 상처 등)를 치료하다, 고치다) |
인식, 행위 대상의 of | remind A of B (A에게 B를 상기시키다) accuse A of B (A를 B의 이유로 고소[비난]하다) convince A of B (A에게 B를 확신시키다) |
이유, 탓의 to | owe A to B (A는 B의 덕분이다) attribute A to B (A를 B의 탓으로 돌리다) |
재료, 공급의 with | provide A with B (A에게 B를 공급하다) fill A with B (A를 B로 채우다) equip A with B (A에 B를 갖추어 주다, 장비하다) |
간주의 as (think of A as B)
간주의 as | 의미 |
---|---|
A를 B로 여기다 |
e.g. I think of life itself now / as a wonderful play [that I`ve written for myself].
나는 지금의 인생 그 자체를 (~로) 여긴다 / 멋진 연극으로 [내가 내 자신으 위해 쓴].
이유, 교환의 for (blame A for B)
이유, 교환의 for | 의미 |
---|---|
blame[criticize, scold] A for B | A를 B의 이유로 비난하다[비판하다, 꾸짖다] |
thank A for B | A에게 B에 대해 감사하다 |
substitute A for B | A로 B를 대신하다, B 대신 A를 쓰다 (= substitute[replace] B with A) |
e.g. We suffer as a result of our own actions; // it is unfair / to blame anybody for it.
우리는 우리 자신의 행동들의 결과로 고통 받는다; // (~은) 부당하다 / 누군가를 그것 때문에 비난하는 것은.
방해, 금지의 from (prevent A from B)
방해, 금지의 from | 의미 |
---|---|
prevent[keep, stop, discourage, deter] A from v-ing | A가 ~하지 못하게 하다 |
e.g. Judgements prevent us from seeing the good [that lies beyond appearances].
판단은 우리가 좋은 것을 보는 것을 막는다 [외모 너머에 놓인].
구별, 분리의 from (distinguish A from B)
구별, 분리의 from | 의미 |
---|---|
distinguish[tell, know] A from B | A를 B와 구별하다 |
separate A from B | A를 B로부터 분리하다 |
e.g. It is important / to distinguish fact from opinion.
(~은) 중요하다 / 사실을 의견과 구별하는 것은.
분리, 박탈의 of (rob A of B)
분리, 박탈의 of | 의미 |
---|---|
rob[relieve, deprive, clear] A of B | A에게서 B를 빼앗다[덜다, 빼앗다, 제거하다] |
cure A of B | A의 B(병, 상처 등)를 치료하다, 고치다 |
e.g. Two armed men robbed the bank / of all the money.
두 명의 무장한 남자들이 은행에서 강탈했다 / 모든 돈을.
인식, 행위 대상 of (remind A of B)
인식, 행위 대상 of | 의미 |
---|---|
remind[inform, notify] A of B | A에게 B를 상기시키다[알리다] |
accuse A of B | A를 B의 이유로 고소[비난]하다 |
convince[assure] A of B | A에게 B를 확신시키다 |
e.g. You remind me of myself // when I was your age.
너는 나에게 내 자신을 상기시켜 준다 // 내가 네 나이였을 때의.
이유, 탓의 to (owe A to B)
이유, 탓의 to | 의미 |
---|---|
owe A to B | A는 B의 덕분이다 |
attribute[ascribe] A to B | A를 B의 탓으로 돌리다 |
e.g. Any creator owes their creation / to past creations.
어떤 창안자라도 자신의 창조물을 (~에) 돌린다 / 과거의 창조물에.
공급의 with (provide A with B)
공급의 with | 의미 |
---|---|
provide[supply, present] A with B | A에게 B를 공급하다 |
fill A with B | A를 B로 채우다 |
equip A with B | A에 B를 갖추어 주다, 장비하다 |
e.g. My job provides me with the opportunity [to meet new people every day].
나의 일은 내게 기회를 제공한다 [매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그 밖의 전치사
그 밖의 전치사 | 의미 |
---|---|
compare A with B | A를 B와 비교하다 |
compare A to B | A를 B에 비유하다 |
take A for B | A를 B로 (잘못) 여기다 |
take A to B | A를 B로 데려가다 |
prefer A to B | A를 B보다 더 좋아하다 |
apply A to B | A를 B에 적용하다 |
transform A into B | A를 B로 바꾸다 |
add A to B | A를 B에 더하다 |
congratulate A on B | A에게 B에 대해서 축하하다 |
lead A to B | A를 B로 이끌다 |
e.g. Don`t compare what you have / with what others have.
당신이 가진 것을 비교하지 말라 / 다른 사람들이 가진 것과.
특수구문
특수구문이란, 내용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문장의 기본 형태에 각종 변형을 가한 구문들이다.
특수구문을 사용하게 되는 각각의 배경이나 목적을 생각하면서 학습하면 영문을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도치 : 주로 주어와 (조)동사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를 말한다. 넓은 의미의 ‘도치’는 목적어, 보어 등이 원래 자리에 쓰이지 않는 것도 포함한다. 도치는 특정 어구를 강조하기 위해 문장 앞으로 보내는 경우, 문장의 균형(어구의 길이)을 맞추기 위한 경우에 나타난다.
- 특정 어구 강조
Not a word
did she say.
한 마디도 그녀는 말하지 않았다. - 문장의 균형 : 수식어구가 붙어 길어진 주어에 비해 보어가 너무 짧은 경우
Happy
are those who share their joy.
기쁨을 나누려는 사람들은 행복하다.
- 특정 어구 강조
- 강조 : 문장 중에서 가장 강하게 전달하고 싶은 단어(wash)에 다른 어구(do/does/did)를 부가한다.
I didwash
the dishes this morning.
나는 오늘 아침에 설거지를 정말 했어요.
- 생략 : 같은 말을 반복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We talked about the test while (we were) going home on the bus.
우리는 (우리가) 버스를 타고 집에 가는 동안 시험에 관해 이야기했다.
- 공통 : 대부분 생략의 결과로 나타난다.
I`m surprised but (I`m) glad to hear that.
나는 그것을 들으니 놀랍지만 기쁘다.
(= I`m surprised to hear that. + but + I`m glad to hear that.)
- 삽입, 동격 : 이해를 돕거나 추가 설명을 위해서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다.
You will both, it seems, be in London.
너희 둘 다 런던에 있을 것 같아.
He studiesbotany
, or the science of plants.
그는 식물학, 즉 식물에 대한 학문을 공부한다.
- 부정구문, 대용어 : 특수구문으로는 볼 수 없으나, 편의상 이 챕터에서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특수구문의 종류 | 설명 | 예문 |
---|---|---|
도치 | 주어와 동사의 위치가 바뀐다. | Down came the shower. 소나기가 내렸다. |
강조 | 문장에서 가장 강하게 전달하고 싶은 어구(saw)에 다른 어구를 부가한다. | I did see a UFO yesterday in the sky.어제 하늘에서 UFO를 정말 봤다고요. |
생략 | 문장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반복되는 어구를 생략한다. | They were good friends when (they were) young. 그들은 (그들이) 어렸을 때 좋은 친구였다. |
공통 | 대부분, 반복되는 어구를 생략한 결과로 나타난다. | you should buy and read the book.너는 그 책을 사서 읽어야 한다. |
삽입, 동격 | 이해를 돕거나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서 정보를 부가한다. | John Brown is, so to speak, a walking dictionary. <삽입> 존 브라운은, 말하자면, 만물박사이다. James, your friend , has just called.<동격> 네 친구 제임스가 방금 전화했어. |
강조를 위한 도치구문
의문문이 아니라면 문장은 [주어 + (조)동사 ~]의 어순이어야 하나, ‘강조’나 ‘어구 길이’ 등의 요인으로 인해 특정 어구가 문장 앞으로 나간 경우 [(조)동사 + 주어]의 어순이 될 때가 있다. 이를 ‘도치’라 한다. 부정어(not, no, never 등)를 포함한 어구가 문두로 나가면 주어와 동사의 도치는 반드시 일어나고, 부사(구)나 보어가 문두로 가도 도치 되는 경우가 많다.
e.g. Not only is a good listener popular everywhere, // but he gets to learn something.
잘 경청하는 사람은 어디서나 인기가 많을 뿐 아니라, // 무언가를 배워가게 된다.e.g. Not only does a pet provide company, / but it has to be fed, exercised, and cleaned; // owners feel needed by their pets.
애완동물은 친구가 되어줄 뿐만 아니라, / 또한 그것을 먹이고, 운동시키고, 목욕시켜야 한다 // (따라서) 주인들은 애완동물에게 (자기가) 필요하다고 느낀다.e.g. Behind every success / are many hours of sweat and pain.
모든 성공 뒤에는 / 오랜 시간의 땀과 고통이 있다.
방향,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나 보어가 문두로 올 때의 도치
방향,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구나 보어가 문두로 나가면 주어, (조)동사의 도치가 일어난다. 그러나 주어가 대명사인 경우, 도치는 일어나지 않는다.
e.g. Into the room he walked.
방 안으로 그가 걸어 들어왔다.e.g. Very happy he was.
그는 매우 행복했다.
목적어의 도치
e.g. The kitchen we`ve already painted.
부엌은 우리가 이미 칠했다.
그 외 도치가 일어나는 경우
- so[neither, nor] + V + S : S도 역시 그렇다[그렇지 않다]
- There + V + S
- if가 생략된 조건절
- 양보절
e.g. In life, / love is never planned // nor does it happen for a reason.
인생에서, / 사랑은 결코 계획되지 않으며 // 이유가 있어서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e.g. There were no free parking spaces left, // so I had to pay for parking.
남은 무료 주차 공간이 전혀 없었다, // 그래서 나는 주차료를 내야만 했다.e.g. When the tree`s leaves die, // so does / its ability to produce food through photosynthesis.
나무의 잎이 시들면, // (~도) 그렇다(-> 퇴화한다) /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생산하는 그것의 능력.
강조구문
[It is ~ that …] 강조 구문이나 강조 어구를 더하여 특정 어구(주어, 목적어, 부사(구, 절) 등)를 강조한다.
주어 강조
It is[was] ~ that[who] … (…하는 것은 바로 ~이다[였다])
강조하려는 어구는 ~ 자리에 들어가며, 동사를 제외한 문장의 주어, 목적어, 부사(구, 절)가 올 수 있다.강조하는 주어가 사람이면 that 대신 who를, 사물이면 which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강조하는 주어가 인칭대명사인 경우, 주격보다는 목적격을 사용하고 who보다 that을 사용한다.
I visited New York with my friend last summer.
나는 작년 여름에 친구와 함께 뉴옥을 방문했다.
-> It was me that visited New York with my friend last summer.
작년 여름에 친구와 함께 뉴욕을 방문한 건 바로 나였다.- 동사 강조
do[does, did] + 동사원형 (정말[꼭] ~하다) - 명사 강조
the very + 명사, 또는 재귀대명사 (바로 그 ~) - 부정 의미 강조
not ~ at all[in the least, a bit, by any means] 등 (절대[전혀, 조금도] ~아닌) - 의문문 강조
의문사 + on earth[in the world, ever]
e.g. It is confidence // that allows us to have unlimited success.
<주어 강조> 바로 자신감이다 // 우리가 무한정한 성공을 가지게 하는 것은.e.g. Experience really does make you a better man.
<동사 강조> 경험은 정말 당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e.g. Dreams feel real // while we`re in them. It`s only when we wake up // that we realize something was actually strange.
꿈은 현실처럼 느껴진다 // 우리가 꿈속에 있는 동안. 우리는 잠에서 깨어난 때라야 // 무언가 실제로 이상했음을 깨닫는다.
[It is 명사 that ~]일 때, [가주어 - 진주어] 구문과 강조구문을 구분하는 방법
강조구문 | [가주어 - 진주어] 구문 |
---|---|
that 이하가 불완전한 구조 | that 이하가 완전한 구조 |
It is this movie that _ made me cry. 이 영화가 바로 나를 울게 한 영화이다. |
It is a wonder that more people weren`t hurt. 더 많은 사람들이 다치지 않은 것이 놀랍다. It is obvious that we made a big difference. 우리가 큰 차이를 만들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
생략구문
문장의 일부분이 없어도 의미 파악에 지장이 없는 경우, 그 부분을 생략하여 문장을 간결하게 만든 것을 생략구문이라 한다. 생략은 다음과 같은 경우 자주 일어난다.
- 앞에 나온 어구가 반복되는 것
- 부사절과 주절의 주어가 같을 경우 부사절의 [S + be]
- 대부정사 : 같은 동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to-v의 v를 생략한 것
- 없어도 의미 이해에 지장을 주지 않는 어구
- 관용어구로 쓰이는 생략어구 : if any(만약 있다면) 등
e.g. Lost wealth can be regained, // but lost time (can) never (be regained).
잃어버린 재산은 되찾을 수 있다, // 하지만 잃어버린 시간은 결코 되찾을 수 없다.e.g. When (you are) in Rome, // do as the Romans do.
로마에 있을 때는, // 로마인들이 하는 대로 해라.e.g. Don`t judge each day by the harvest [you reap], // but (judge each day) by the seeds [you plant].
네가 거두는 수확물로 하루를 판단하지 마라, // 그러나 네가 심은 씨앗으로 (하루를 판단하라).
공통구문
두 개 이상의 어구가 한 어구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공통관계라고 하는데, 대부분 반복되는 요소를 생략하여 문장을 간결하게 만든 결과로 나타난다.
AX + BX -> (A + B)X
XA + XB -> X(A + B)
원문 | 공통구문을 생략한 형태 |
---|---|
There are so many places and |
There are so many place and events to enjoy there. |
e.g. I have loved // and will love / only you.
나는 사랑해왔다 // 그리고 사랑할 것이다 / 당신만을.
(<- I have loved only you and will love only you.)e.g. Education means development, / not only of the brain, / but also of the whole person.
교육은 발달을 의미한다, / 두뇌뿐만 아니라 / 그 사람 전체의.
(<- Education means not only development of the brain but also development of the whole person.)e.g. In many cases stress is caused, // not by the event itself, / but rather by our response to the event.
많은 경우에 스트레스는 발생한다, // 사건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 오히려 사건에 대한 우리의 반응에 의해서.
삽입구문
문장 내에서 설명을 덧붙이거나, 의미를 보충하기 위해서 어구나 절이 삽입되기도 한다.
삽입되는 구문 앞뒤에는 콤마(,)나 대시(ㅡ)가 오기도 하지만, 그러한 표시가 없을 때도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삽입어구를 ( )로 묶어서 생각해 보면 문장의 구조를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문장에서 삽입어구를 제외해도 문장은 성립한다.
e.g. Words once spoken, / (like bullets once fired), / can`t be recovered.
일단 내뱉은 말은, / (일단 발사된 총알처럼), / 되돌릴 수 없다.e.g. The greatest pleasure in life / is doing what (people say) you cannot do.
인생에서 가장 큰 즐거움은 / (사람들이 말하기에) 당신이 할 수 없다는 것을 하는 것이다.e.g. A good name, / (like goodwill), / is got by many actions / and lost by one.
명성은, (선의와 마찬가지로), / 많은 행위로 얻게 된다 / 그리고 하나(의 행위)로 잃게 된다.
동격구문
명사, 대명사를 달리 말하거나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보충하기 위해서, 그 뒤에 명사구[절]의 형태로 덧붙이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그 명사와 설명 사이에 콤마(,), of, or, that 등을 둔다.
e.g. Eric and Tom, / both friends of mine, / are starting a band.
에릭과 톰은, / 둘 다 내 친구인데, / 밴드를 결성하고 있다.e.g. Evidence suggests // that fish oil boosts serotonin, / a neurotransmitter [known for its “feel-good” qualities].
증거는 (~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어유가 세로토닌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 즉, 신경전달물질인 [‘기분을 좋게 해주는’ 특성으로 알려진].
동격절을 이끄는 주요 명사
news, fact, belief, theory, idea, thought, doubt, question, hope, possibility, opinion 등
동격의 or
‘즉, 바꾸어 말하면’ 이라는 뜻(= that is (to say), namely, in other words)
e.g. She majored in botany, or the study of plants, at university.
그녀는 대학에서 식물학, 즉 식물에 관한 학문을 전공했다.
that의 이해
that은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중 지시대명사(그것, 저것), 지시형용사(그, 저), 부사(그렇게, 그 정도로)로 쓰인 경우는 그나마 ‘의미’가 있으므로 구별이 어렵지 않지만, 별다른 의미 없이 ‘기능적’으로 쓰이는 것들은 독해할 때 문제가 된다. 특히 서로 비슷한 구조일 때 혼동되기 쉬우므로 구별법을 확실히 정리해두도록 하자.
명사 + that절 형태
that절이 완전하면 동격의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고, 불완전하면 관계대명사이다.
I got the news that they won the gold medal.
<접속사> 그들이 금메달을 땄다는 소식을 들었다.
I got the news that I had anted to hear _.
<관계대명사> 내가 듣고 싶어 했던 소식을 들었다.
It is[was] ~ that 형태
It is[was], that을 제하고 문장 의미가 성립하면 강조구문, 성립하지 않으면 that절은 진주어가 되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다.
It`s true that he is kind.
<진주어> 그가 친절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True, he is kind. (X))
It was yesterday that she played the piano.
<강조구문> 그녀가 피아노를 연주한 것은 바로 어제였다.
(Yesterday, she played the piano. (O))
기타 역할
I`m afraid that I should be fired.
<‘이유’의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나는 해고당할까 봐 두렵다.
April 1st is the day that people play childish tricks on each other.
<관계부사 when의 대용>
4월 1일은 사람들이 서로 유치한 장난을 하는 날이다.
The survey indicated that 30 percent would prefer to buy a house.
<목적어가 되는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그 조사는 30퍼센트의 사람들이 집을 사는 것을 선호할 것임을 시사했다.
다음 that의 역할에 대해 각각 생각해보자.
- She picked up the hairbrush that she had left on the bed.
- It was Ricky that I had been waiting for.
- It`s no wonder that a man of his ability should succeed in life.
- The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that a bomb was planted on the jet.
[정답]
1. 관계대명사
2. 강조구문을 이루는 that
3. 진주어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4. 동격의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해설]
1. 그녀는 침대 위에 놓아두었던 머리빗을 집어 들었다.
> that이 이끄는 절이 불완전하다. 즉 that은 the hairbrush를 선행사로 하면서 had left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목적격 관계대명사이다.
2. 내가 기다리고 있었던 사람은 바로 리키였다.
> It was, that을 제했을 때 문장 의미가 성립한다.
(I had been waiting for Ricky.)
3. 능력 있는 사람이 인생에서 성공하리라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 it\`s, that을 제하고 문장 의미가 성립하지 않는다.
4. 그들은 폭탄이 제트기에 설치됐을 가능성을 조사했다.
> that이 이끄는 절이 완전하다.
물주구문
영어에서는 의지가 없는 무생물이 타동사의 주어가 되는 경우가 많다. 즉, ‘무생물’인 것이 다른 ‘(무)생물’에게 어떤 동작을 행한다는 의미인데, 그것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기면 어색하게 들릴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물주구문을 우리말로 옮길 때는 ‘(무)생물’ 주어를 ‘때, 이유, 원인, 수단, 조건, 양보’를 나타내는 부사적인 의미로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목적어(대체로 사람)일때는 주어로 해석한다)
e.g. A moment`s thought / will make the matter clear.
잠깐의 생각이 / 그 문제를 분명하게 만들 것이다.
(= If you think for a moment, the matter will become clear.)e.g. That music makes me happy.
그 음악은 나를 행복하게 한다.
(= When I hear that music, I feel happy.)
(그 음악을 들으면 나는 행복해진다.)e.g. Processed food cause younger people / to have different sensations of taste / from the older generation.
가공식품은 젊은이들이 (~하도록) 유발한다 / 다른 미각을 가지도록 / 더 나이 든 세대와.
부정구문
부정구문은 잘 알아두지 않으면 문장의 의미를 정반대로 이해할 수도 있으므로 특히 주의해야 한다.
부정구문 | 예시 |
---|---|
전체부정 : 모두를 부정한다. | no not ~ any nobody none(아무도 ~ 않다) neither(어느 쪽도 ~ 않다) |
부분부정 : 일부만 부정하는 것으로, 바꿔 말하면 일부는 긍정하는 것이다. | not all[every, both] (모두[둘 다] ~은 아니다, 즉 일부만 ~하다) not always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not necessarily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not entirely (전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
이중부정 : 한 문장에 부정어가 두 개 있는 경우로서, 부정을 부정함으로써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 부정어 A without B (A하면 반드시 B한다) |
e.g. I know neither of them.
<전체부정> 나는 그들을 둘 다 몰라.
(= I don`t know either of them.)e.g. You cannot satisfy everybody around you.
<부분부정> 당신은 당신 주변의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는 없습니다.e.g. You cannot achieve the impossible / without attempting the absurd.
<이중부정> 당신은 불가능한 것을 이루어낼 수 없다 / 터무니없는 것을 시도하지 않고는.e.g. There are many different genres of art, // and they don`t all appeal / to every visitor to a museum.
예술에는 많은 다양한 장르가 있다, // 그런데 그것들 모두가 관심을 끄는 것은 아니다 / 박물관의 모든 방문객에게.
부정의 관용적 표현
not, never 등과 같은 부정의 어구 외에,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와 표현들에 유의해야 한다.
부정어를 포함하지 않는 부정구문 | 예문 |
---|---|
far from | Far from being relaxed, we felt uncomfortable. 결코 긴장을 푼 것이 아니라, 우리는 불편했다. |
the last | He is the last person to praise someone. 그는 누구를 결코 칭찬할 사람이 아니다. |
free from | No one is free from faults. 결점이 없는 사람은 없다. |
beyond | The answer to that question is beyond me. 그 질문의 답변을 나는 할 수 없다. |
have yet to | I have yet to call my friend because I was so busy. 나는 너무 바빠서 내 친구에게 아직 전화하지 못했다. |
부정의 뜻을 포함하는 어구들
부정의 뜻을 포함하는 어구들 | 의미 | 예문 |
---|---|---|
few(수) / little(양) | 거의 없는 | Few writers have avoided making mistakes in English grammar. 영문법에서 실수를 하지 않는 작가는 거의 없다. |
seldom, rarely(빈도) / hardly, scarcely, barely(정도) | 좀처럼 ~않는 | I could hardly follow the voice on the tape. 나는 그 테이프의 목소리를 거의 알아들을 수 없었다. |
beyond | ~할 수 없는, ~에 미치지 못하는 | The view is beautiful beyond description. 그 경치는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답다. His explanation is beyond question. 그의 설명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
above | ~하지 않는, ~을 초월한 | She is above lying. 그녀는 거짓말을 할 사람이 아니다. |
anything but, far from, by no means | 결코 ~않는 | His first movie was anything but successful. 그의 첫 번째 영화는 결코 성공적이지 못했다. cf. He does nothing but complain. (nothing but = only) 그는 불평만 한다. Far from taking my advice, he did exactly what I warned him against. 나의 충고를 받아들이기는커녕, 그는 내가 그에게 하지 말라고 경고한 바로 그것을 했다. |
free from | ~이 없는 | Few people are free from cares. 근심이 없는 사람은 거의 없다. |
have yet to-v | 아직 v하고 있지 않다 (<- 아직 v해야 한다) |
We have yet to discover an effectual remedy for cancer. 우리는 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
the last + 명사 | 결코 ~하지 않을 (<- 가장 마지막으로 ~할) |
He was the last person I would have expected to see in such a place. 그는 내가 그런 곳에서 만나리라고는 결코 예상하지 못한 사람이었다. |
never fail to-v | 반드시 v하다 (<- 결코 v하는 데 실패하지 않다) |
Never fail to submit your report before Monday. 네 리포트를 월요일 전에 반드시 제출해라. |
수사의문문
상대방의 답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의문문으로 긍정의 수사의문문은 부정의 뜻을, 부정의 수사의문문은 긍정의 뜻을 나타낸다.
e.g. Who knows? (= Nobody knows.)
누가 알겠니? (= 아무도 몰라.)e.g.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 It makes no difference.)
그게 무슨 차이가 있니? (= 그것은 마찬가지야.)e.g. Who doesn`t love his own country? (= Everyone loves his own country.)
누가 조국을 사랑하지 않겠는가? (= 모두가 조국을 사랑한다.)
대용어
영어에서는 똑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되도록 피하기 때문에, 문장 중의 다른 어(구), 절을 대신하여 사용되는 표현들이 대명사를 비롯하여 여럿 있다. 대부분의 경우 무엇을 지칭하는지가 쉽게 판단되지만, 대용어가 연달아 나오거나 까다로운 구문과 합쳐져 있을 때는 쉽지 않다. 각각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문맥을 잘 살펴야 한다.
대용어 | 설명 |
---|---|
they | 복수명사를 대신한다. |
another | 또다른 (불특정한) 하나. an과 other가 합쳐진 것이므로 단수명사를 대신한다. |
the others | 나머지 모든 것. 복수명사를 대신한다. |
the former ~ the latter … | 전자(= the one)는 ~ 후자(= the other)는 … |
the other side of the coin | 동전의 뒷면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과 반대•대조되는 측면) |
e.g. Great opportunities come to all, // but many do not know they have met them. The only preparation to take advantage of them / is simple fidelity [to what each day brings].
멋진 기회는 모두에게 온다, // 그러나 많은 이들은 자신이 그것을 만난 것을 모른다. 그것을 이용하기 위한 유일한 준비는 / 단순한 충실함이다 [매일 주어지는 것에 대한].